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5.11.05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logical Literacy and the Sense of Happiness of Child Day Care Teachers  

Ahn, Hyo Jin (인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Kim, Sanglim (인천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1, no.5, 2015 , pp. 55-7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logical literacy and the sense of happiness of child day care teachers. One hundred twenty -five child care teachers in the Incheon and Kyunggi area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responses from day care teachers were analyzed sing SPSS 1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cological literacy depending on child day care teachers' carre,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and in-service teacher program.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ecological literacy except in ecological literacy attitude depending on child day care teachers' academic area. Second, there was a correlations between the ecological literacy and the sense of happiness of child day care teachers.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logical literacy and the sense of happiness of child day care teachers.
Keywords
the ecological literacy; the sense of happiness; day care teach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선보 (2003). 만남의 교육철학. 서울: 원미사.
2 김미진, 김병만 (2012).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29-55.
3 김선민, 김기대 (2013). 생물에 작용하는 비생물 환경을 담은 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생태소양에 미치는 효과. 홀리스틱교육연구, 17(2), 1-22.
4 김윤희, 황해익 (2011). 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0(2), 83-102.
5 김은영, 권성민 (2014). 유아교사의 생태실천행동, 경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효과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생태유아교육연구, 13(1), 131-153.
6 김현령 (2015). 유아들의 자연체험에서 나타나는 생태적 문해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9(3), 267-288.
7 권미량 (2005). 생태유아교사교육의 교육원리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75-99.
8 교육과학기술부(2012).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유아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 서울:교육과학기술부.
9 노상우 (2007). 생태주의에서 본 현대 교육학의 세 가지 과제. 교육철학, 39, 57-79.
10 노희정 (2014).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환경 윤리교육과 비판적 사고. 환경철학, 18, 119-143.
11 문경희, 남영숙, 김기대 (2011). 나딩스의 배려이론이 초등학교 환경가치교육에서 갖는 함의. 교사교육연구, 50(2), 79-98.
12 박선미, 조희숙, 임부연(2007). 텃밭활동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의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389-412.
13 박숙현 (2004).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조사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주연 (2006).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5(2), 47-72.
15 배성희 (2009). 보육교사의 행복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학연구, 22, 25-44.
16 배수희 (2009). 교사의 행복감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서소영, 조부경 (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2(2), 361-373.
18 안경숙, 임수진 (2011). 구성주의 생물학과 생태학적 관점의 자연에 대한 탐구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유아교육연구, 31(5), 113-137.
19 서현주(2006).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송미선 (2014). 유아교사의 행복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어린이미디어 연구, 13(3), 149-169.
21 양옥승, 손복영 (2006). 보살핌 텍스트로서 유아교육과정 이해(II): 다문화주의와 생태주의의 적용. 사회과학연구, 14, 75-90.
22 유네스코한국위원회교육팀 (2009).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3 이경민 (2009).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8(1), 165-181.
24 이경민, 최윤정 (2009). 유아교사의 행복, 감정, 직무만족의 관련성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29(3), 215-235.
25 이경렬, 최수경 (2013). 숲 활동을 경험한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대한 내러티브적 탐구. 영유아교육연구, 16, 57-72.
26 이미영, 성소영 (2011).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아동교육, 20(2), 147-170.
27 이명신, 권충훈 (2010). 나딩스의 배려교육론. 중등교육연구, 22, 59-78.
28 이병래, 나성식, 박용석, 이대균 (2015). 행복한 삶을 위한 관계지향 유아교육의 방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833-855.
29 임재택 (2008). 생태유아교육개론. 경기: 양서원.
30 장미연, 임재택 (2010).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생태유아교육연구, 9(3), 81-108.
31 장하나 (2005).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 실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정명자, 최혜순 (2014).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8, 21-39.
33 함경애, 김미옥, 최영옥, 천성문, 김미옥 (2012). 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1), 111-131.
34 서소영 조부경 (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2(2), 361-373.
35 주은정, 김재근 (2012). 생태적 소양 함양을 위한 토양 종자 은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초등과학교육, 31(3), 284-297.
36 최윤정 (2009).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Seligman의 강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7 허우정 (2012). 유아교사용 생태소양척도개발연구. 어린이미디어 연구, 113(3), 253-276.
38 환경부, 한국교원대학교유아교육원 (2014). 유아교사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 서울: 환경부.
39 Chaille, C., & Britain, L. (2003).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유아과학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이종희, 김선영 옮김). 서울: 교육과학사 (원판 2000).
40 Csikszentmihalyi, M. (2004). Flow, 몰입(최인수 옮김). 서울: 한울림(원판 1999년).
41 Dutcher, D. D., Finley, J. C., Luloff, A. E., & Johnson, J. (2004). Landowner perception of protecting and establishing riparian forests. A qualitative analysis. Society and Natural Resources, 17, 319-332.   DOI   ScienceOn
42 Emmons, R. A. (1999). The psychology of ultimate concerns: Motivation and spirituality in personality. New York: Guilford.
43 Headey, B. W., & Wearing, A. J. (1987). The sense of relative superiority-central to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 497-516.
44 Howes, E. (2002). Connecting girls and science: Constructivism, feminism, and science education reform.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5 Nodings, N.(2008). Happiness and education, 행복과 교육(이지현, 김선, 김희봉, 장정훈옮김). 서울: 학이당(원판 2003년).
46 Martin, P. (2007). Caring for the environment: Challenges from notions of caring. Austral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3, 57-64.   DOI
47 Myer, D. G. (1999). The pursuit of happiness. (출력일 2015년 8월 12일). http://internal.psychology.illinois.edu/-ediener/Documents/Pursuit.Happ.scientific%20american.pdf
48 Nodings, N.(2002). The Challenge to care in schools, 배려교육론(추병완, 박병춘, 황인표 옮김). 서울: 다른우리 (원판 1992년).
49 Odum, E. P. (1977) . The emergence of ecology as a new integrative discipline. Science, 195(4284), 1289-1293.   DOI
50 Orr. D. W. (2013). Ecological Literacy, 생태소양 (김기대, 이호진, 이성희 옮김). 서울: 교육과학사 (원판 1992년).
51 Palmer, M., Bernhardt, E., Chornesky, E., Collins, S., Dobson, A., & Duke, C. (2004). Ecology for a crowded planet. Science, 304, 1251-1252.   DOI   ScienceOn
52 Seligman, M. (2009).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긍정심리학(김인자 옮김). 경기: 물푸레. (원판 2002년도).
53 Stone, M. K. (2009). Smart by nature: Schooling for substantiality. Watershed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