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professionalism

검색결과 1,442건 처리시간 0.03초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MBTI Personality Types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 강원미;문혜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7-158
    • /
    • 2017
  • 본 연구는 영아반 보욕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전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반 보육교사 35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 중 판단형(J)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높은 전문성 인식을 보이며, 인식형(P)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낮은 전문성 인식을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외향형 교사가 내향형 교사보다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각형과 직관형에 따른 전문성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고형 교사가 감정형 교사보다 '공정성'과 '전문단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판단형 교사가 인식형 교사보다 '사회 경제적 지위', '사회 봉사성',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 채용시 MBTI 성격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반과 영아반 중 더 맞는 역할을 제공할 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과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서적 전문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병원행정직종사자의 포괄적 전문직업성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Professionalism Measurement Tools for Hospital Administration staffs)

  • 박기혁;정용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40-350
    • /
    • 2020
  •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에 적합한 직업 및 직무가치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인 포괄적 전문직업성 측정도구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부산·경남 지역 종합병원 및 병원에 근무하는 행정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들에서 사용된 개인의 심리적·태도적 속성과 관련된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분석은 직업 및 직무수행과 관련된 심리적·태도적 속성 측정내용의 타당성과 내적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타당성과 내적일관성이 확보된 5개 성분은 전체 신뢰도가 94.4%로 병원행정직 종사자들의 포괄적 전문직업성 측정도구로 매우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각 성분은 측정내용의 공통성과 명확한 의미전달이 될 수 있도록 직무수행 자신감, 보수 적절성, 직무 자부심, 업무목표 달성 능력, 업무수행 자율성으로 정의하였다. 현대적 관점에서의 전문직업성은 전통적 전문직업성 보다 넓은 개념으로 자격 및 면허 여부와 관계없이 직업 및 직무가치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 등에 대한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포괄적 전문직업성 측정도구는 병원행정직 종사자들의 직업 및 직무수행과 관련된 심리적·태도적 속성을 측정하는데 매우 적합하고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변화 탐색 연구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mprovement of Perception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Early Childhood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 이승은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7
    • /
    • 2019
  • 본 연구는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으로서 교육실습 과정을 경험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변화를 탐색하고, 예비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과정을 운영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N시의 4년제 대학 유아 교육학과에서 "교육실습"을 이수한 유아교육학과 4학년 학생 41명 및 지도 교사 41명이었고 예비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서 개방형 문항을 내용 분석을 통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업전문성 인식 총점 및 하위요인들의 평균값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실습 초반에는 실제 수업의 진행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다소 어려움을 겪지만 실습기간 중, 지도교사의 안내를 받으며 다양한 유형의 실전수업을 경험하면서, 실습이 마무리 될 무렵에는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변화하여 교육실습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전문성 인식 변화를 탐색하기 위하여 예비교사들이 기술한 개방형 설문을 내용분석 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실습과정에서 실제 수업을 처음 수행한 후에는 자신의 부족한 점 보완해야 할 점 등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장 마지막으로 이루어진 수업에서는 첫번째 수업에서 나타난 문제점의 발전 방안을 찾고, 적용해보는 과정을 통해 발전된 모습을 스스로 발견하면서 수업전문성 발달이 이루어지는 모습이 드러났다. 셋째 실습 지도교사가 강조한 수업전문성을 내용 분석한 결과, 지도교사들은 수업의 청사진으로서의 수업계획안 작성, 수업의 흐름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발문 구성, 철저한 준비를 바탕으로 한 융통성 있는 수업의 운영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의 전문직업성 척도 개발을 위한 Hall의 전문직업성 척도 번역 및 동등성 비교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Hall's Professionalism Inventory)

  • ;백희정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09-51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Hall's Professional Inventory(HPI) scale to assess levels of professionalism among Korean registered nurses. Method: The 25 item HPI scale was translated and content review was done by translation panel. After the content review, a bilingual nursing scholar performed the back-translation into English. A semantic equivalence test was conducted with 5 American nursing professors. A pilot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164 registered nurses in Korea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ranslated HPI. Result: The content equivalence for translated version of HPI was validated by a translation panel. The finding of the semantic equivalence test of back-translated version was 72.8%. The Cronbach's alpha for the Korean version of HPI was .820.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issues of translating an instrument such as the HPI. The Korean version of the HPI i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and can have psychometric properties equivalent to those of the original HPI. The translated version could be used for assessing levels of professionalism for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ism as well as nurses.

  • PDF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전문성에 대한 실무자와 전공학생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Practitioners and Students in Archives & Record Management on the Professionalism of Archivists)

  • 강은비;오효정;김찬영;김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47-17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전문성에 관하여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실무자와 기록관리학 전공학생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조사와 국내 외 사례조사 등을 통해 전문직으로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에게 요구되는 전문성 요소를 총 3개의 영역 내에 8가지 항목과 29가지의 세부 요소로 도출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연구 가설을 설계하고,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실무자와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전문성에 관하여 실무자와 전공학생의 인식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치기공과 학생의 전공선택확신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Convi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 정효경;곽동주;최주영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85-293
    • /
    • 2015
  • Purpose: The following study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s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convi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It i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th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an effective way to train professionals of the colleg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dental technolog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frequency, multiple-way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o test for significance on each item, p<0.05 has been decided as a standard. Result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students' age and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br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jor selection conviction, career decision level and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sm has been found to bring significance mediating effects in relation to major selection convi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Conclusion: To improve the quality and pride as a professional as well as satisfaction with major selection can be expected to raise the standard of th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ism of Children's Librarians and the Children's Program Operation in Public Libraries)

  • 윤혜진;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7-19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어린이서비스 중 프로그램 운영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문헌조사를 기초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은 6가지 영역으로 구성하고 프로그램 운영은 기획과 진행으로 나누어,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 담당 사서 262명(응답률 58%)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어린이 프로그램 기획은 어린이 사서 전문성의 모든 영역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프로그램 진행은 전문성 계발을 포함한 3가지 영역에 속한 역량과 관련성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강화 및 어린이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임상간호사의 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ism Measurement Scale for Clinical Nurses)

  • 김정현;이혜순;방양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9권2호
    • /
    • pp.186-197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professionalism of clinical nurses and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Methods: DeVellis's scale-development eight steps were applied. The initial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 with investigators,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seven exper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hospital nurses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217 hospital nurse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utilized to assess the construct validity. Cronbach's ⍺ was used to test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Results: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howed that the scale comprised four factors: professional skill(eight items), sense of ethics (five items), knowledge-seeking activities (four items), and autonomy(three items). The four-factor structure was validated (x 2 =600.85 p<.001, GFI=.88, CFI=.84, RMSEA=.07), and Cronbach's ⍺ for the total scale was .84.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ofessionalism measurement scale for clinical nurses. This scale has potential as an appropriate instrument for measuring clinical nurse professionalism.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능력, 의사소통능력, 리더십, 전문직관이 임상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Leadership, and Professionalism on Clinical Practice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이지아;장미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3권2호
    • /
    • pp.124-13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abilit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3 nursing students who had more than 500 hours of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um at 4 universiti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instruments consisted of 27 items of critical thinking, 19 items of professionalism, 40 items of self reported leadership, 20 items of communication evaluation tool, and 61 items of nursing practic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For the clinical practicum, most difficult for nursing students wer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ecal enema, stoma care, and blood transfusion. Clinical practice 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r=.26, p<.001), leadership (r=.16, p=.007) and critical thinking(r=.12, p=.031). Professionalism(${\beta}=.32$, p=.001)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clinical practi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was the second largest factor but not significant(${\beta}=.16$, p=.058).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ursing curriculum should include nursing knowledge and nursing skills as well as various case-based or field-based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s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and other abilities for clinical practice.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에 대한 수행도, 교육요구도 및 전문직업성 인식 (Job Performance, Educational Need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mong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송민선;김진학;양남영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6-17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mong care workers, and to organize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priorities of care work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9 care workers who were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31 to June 7, 2019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OVA, an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performance aspects of the job were as follows: care for safety and infection-related, communication and leisure support, and excretion. The most demanded educational needs were in first-aid. Care workers had more than average professional recognition. Job 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veral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areas with low frequency of job performance were high. First-aid is low in frequency, but it is important to cope with emergencies,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e education. Also, there is a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career.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care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