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new woman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24초

사고로 남편을 잃은 여성의 경험 (A Study on Woman's Experience of Being Bereaved of Her Husband by an Accident)

  • 박성학;최미혜;정연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94-312
    • /
    • 1996
  • Relatively young widows, who are left with young children by a sudden death of their husbands, will be faced with not only psychological troubles such as individual anxiety and frustration but also the dual burden of playing both father and mother roles in a family, Also, family members have difficulty in adapting themselves to new circumstances of the family system, the training and raising of family members, and management of the family economy. In this study, the realistic resources on th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who are bereaved of their husbands by accidents were explo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widows adapt to life in society and live a more positive life by setting a new goals and recovering from a lost and twisted life. 11 women, who have experienced the loss their husbands and liv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tudied. The research took 116 days from December 15, 1995 to April 8, 1996. The method of research was direct interviews. While having interviews with them, the contents were recorded with their consent. The ground theory was that used by Strauss & Corbin(1990) in the analysis of the data. 81 concepts were analyzed and they were subdirided into 22 subordinate categories through the course of the analysis. These were then classified into 9 general categories. In the course of being categorized, 'absurdity' was showed as a core category. The subordinate categories 'surprise', 'gloom', 'grudge', 'helplessness', 'emptiness', and 'loss' were united in the core category 'absurdity'. Ominous presentiment, belated notice, death, surprise, gloom, grudge, helplessness, emptiness, loss, the situation of the children, lack of support from neighbors, support from neighbors, mulling over ways to live, choosing a job, strengthening, reinforcement, burden, sadness, smoldering, yearning, overcoming these 22 subordinate categories were re-composed into 9 general ones the husband's death, absurdity, presence of children, existence of support, self-support ability, preparation of countermeasures, self-reinforcement, toilsomeness, and overcoming. 'Absurdity' widows experience was shown in the results of 'toilsomeness' and 'overcoming' through reaction, confrontation, and adapt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entral phenomenon was absurdity, the causal condition of the death of a husband, the presence of children and the existence of support, and the meditated situation of self-support. To solve absurdity, the preparation of countermeasures and self-reinforcements were shown resulting in toilsomeness and overcoming. Through the contrast in the data, the following statements were deduced: (1) If the death of the husband is expected, the more a widow will feel absurdity. (2) The more children she has and the younger she is, the more a widow will feel absurdity. (3) The lower support she is given, the more a widow will feel absurdity. (4) The larger self-ability she has, the more actively she will prepare countermeasures. (5) The smaller self-ability she has, the more passively she will prepare countermeasures. (6) The larger self-ability she has, the weaker self-reinforcement she will preform. (7) The smaller self-ability she has, the stronger self-reinforcement she will perform. (8) The more actively she prepares countermeasures for absurdity, the better she will overcome. (9) The more passively she prepares counter measure for absurdity, the worse she will overcome. (10) The stronger self-reinforcement for absurdity she performs, the better she will overcome. (11) The weaker self-reinforcement for absurdity she performs, the worse she will overcome. Through the resul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ed: 1) A study whose object is all family members, and a comparative study on the case of a husband who has lost his wife should be done. These studies can be expected to develop a more refined theory. 2) Because of the collapse of the extended family system and the changes of family culture in Korea, a widow's status and position are apt to be ambiguous between her husband's home and her parent's. Therefore a new study on family culture should be made. 3) A continuous study on growing social Self Help Groups should be requested for the widows of this study to re-establish and recover from their twisted and scattered lives.

  • PDF

원색도감(原色圖鑑) 발간(發刊)을 위한 한국산(韓國産) 고등균류(高等菌類)의 분류학적(分類學約) 연구(硏究) (Taxonomical Studies on Korean Higher Fungi for the Publication of Colored Illustrations)

  • 이지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7-91
    • /
    • 1981
  • 본연구(本硏究)는 원색(原色) 한국산(韓國産) 버섯도감발행사업(圖鑑發行事業)을 위하여 1980年 9月 1일부터 1981년(年년) 8월(月) 31일(日)까지 1년간(年間) 경기도 광양(京畿遵 光陸)을 주(主)로 하고 경기도(京畿道) 용문산(龍門山), 강원도(江原道) 치악산(稚岳山), 충청북도(忠淸北道) 속리산(俗離山), 경상남도(慶尙南道) 지리산(智異山), 전라남도(全羅南道) 무등산(無等山), 제주도(濟州道) 한라산(漢拏山), 등지(等地)에서 신선(新鮮)한 고등균류(高等菌類)를 채집(採集) 촬영(撮影)하여 원색(原色)슬라이드와와 건조표본(乾燥標本)을 작성(作成)하고 분류(分類)하였다. 조사(調査)된 결과(結果)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밝혀진 총고등균류수(總高等菌類數) 620여종중(餘種中) 흔히 볼 수 있는 균류(菌類) 151종(種)의 원색(原色)슬라이드와 분류상(分類上)의 검색표(檢索表)를 완성(完成)하였다. 이들은 2강(綱), 37과(科), 89속(屬), 149종(種), 1변종(變種), 1품종(品種)에 속(屬)하고 또 이들의 세계적분포(世界的分布)가 밝혀졌다. 그들중 Aleuria aurantia (Fr.) Fuckel, 자등색 들주발버섯, Patella scutellata (St. Amans) Lambotte, 분홍작은 접시버섯, Calocora viscosa Fr., 등황색끈적 싸리버섯, Hygrocybe turunda (Fr.) Karst., 조면 무명버섯, Suillus pictus (Peck) Smith et Thiers, 붉은 비단 그물 버섯, Marasmius purpureostriatus Hongo, 자주 색줄 낙엽버섯, Pleurocybella porrigens (Fr.) Sing., 넓은 옆버섯, Lepiota bresadoiae Schulzer, 과립갓버섯, Russula aurata Fr., 금무당 버섯, Lactarius hygrophoroides Berk. et Br., 넓은 갓 젖버섯, Thelephora multipartita Fr., 많은가지 사마귀버섯, Inonotus mikadoi (Lloyd) Imaz, 황갈색시루뻔버섯, Antrodia mollis (Sommerf.) Karst, 구멍 주름버섯, Ganoderma neo-japonicum Imaz. 일본 불노초, Tyromyces lacteus (Fr.) Murr. 젖색 개떡버섯 등(等) 15종(種)은 한국산말기녹종(韓國産末記錄種)이며, 그 보통명(普通名)과 기재(記載)가 붙혀졌다. 본논문(本論文)에서는 예정(豫定)대로 151종(種)의 균류중(菌類中) 원색도감(原色圖鑑) 1면(面)만을 게재(揭載)하였다.

  • PDF

Leflunomide에 의한 약물유발 간질성 폐렴 1예 (A Case of Interstitial Pneumonitis Caused by Leflunomide)

  • 이정화;천원석;서영일;엄광석;장승훈;반준우;김동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1호
    • /
    • pp.83-88
    • /
    • 2005
  • Leflunomide는 최근에 개발된 항류마티스 약물로서 기존의 약물과 작용기전이 다르면서 효과가 우수하여 활동성 류마티스관절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알려진 부작용에는 간독성과 피부독성, 조혈기능부전, 위장관계 증상등이 있는데, 시판후 조사에서는 호흡기계 부작용도 드물지만 경한 정도에서 치명적인 경우까지 모두 보고 되었다. 세계 각 처에서의 시판후 조사에 의하면 호흡기계 부작용으로 사망한 경우가 있어서 심각한 폐독성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leflunomide로 인한 호흡기계 부작용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저자들은 leflunomide에 의한 간질성 폐렴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renatal diagnosis of a de novo ring chromosome 11

  • Park, Ju-Yeon;Lee, Moon-Hee;Lee, Bom-Yi;Lee, Yeon-Woo;Ryu, Hyun-Mee;Park, So-Yeon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4권1호
    • /
    • pp.80-83
    • /
    • 2007
  • 고리염색체(Ring chromosome)는 매우 낮은 빈도로 발견되는 염색체 이상으로 모든 번호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끝곁 매듭 염색체(acrocentric chromosome)에서 빈번하게 관찰 된다. 본 증례는 ring chromosome(고리염색체)11의 산전진단에 관한 것이다. 산모는 36세의 여성으로 모체혈청검사에서 에드워드 증후군의 표시인자가 증가되어, 태아의 염색체 검사를 위해 임신 19.5주에 양수천자술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46,XX,r(11)[65]/45,XX,-11[16]/46,XX[34]로 고리염색체(ring chromosome) 11이 mosaic으로 관찰되었다. 혈액을 이용한 부모 염색체 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임신 20주에 실시된 정밀초음파 검사에서는 자궁내성장장애(IUGR) 소견을 보였다. 모자익시즘의 확인을 위해 임신 22주에 재대 혈액을 이용한 두번째 염색체 검사 결과는 46,XX,r(11)(p15.5q24.2)[229]/45,XX,-11 [15]이었으며 첫번째 검사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다양한 형태의 고리염색체(ring chromosome)가 소수의 세포에서 관찰되었다. 고리염색체(ring chromosome)11에 대한 FISH 검사에서는 11 염색체의 장완과 11 염색체의 단완의 subtelomeric 부위가 결실되어 있었다.

  • PDF

고립성 폐결절상을 보인 콕시디오이데스진균증 1예 (A Case of Coccidioidomycosis Manifested as Solitary Pulmonary Nodule)

  • 양현숙;이재천;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손광현;심태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266-272
    • /
    • 1999
  • 콕시디오이데스진균증 토착 지역인 미국 애리조나 피닉스 지역을 여행한 과거력이 있는 국내 거주 75세 여자 환자에서 무증상의 고립성 폐결절로 악성종양을 의심하여 폐절제술을 시행한 결과 콕시디오이도마로 진단된 1예를 국내에서 처음 경험하였기에 보고 하는 바이다.

  • PDF

<춘향전>에서의 법(法)과 사랑 (Law and Love in )

  • 김종철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8호
    • /
    • pp.175-200
    • /
    • 2018
  • 조선시대의 법과 관습을 기준으로 볼 때,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 춘향과 변학도의 갈등과 대결, 이몽룡의 암행어사 출도와 춘향 구출 등의 사건들은 새로운 의미를 함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은 당시의 법과 규범에 저촉되는 것이었지만 서술자는 이를 문제 삼지 않으며 오히려 지배 질서에 저항하는, 낭만적이고 새로운 사랑으로 그렸다. 그리고 춘향은 이몽룡에게 혼인을 보장한다는 증서(證書)를 요구하는데, 이는 전례 없는 법적 행위이다.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이 공적인 인정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춘향과 변학도의 갈등과 대립이 전개된다. 변학도는 춘향에 대한 성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청을 요구하다 거부당하자 춘향에게 관장(官長)의 명령을 따르지 않은 혐의와 관장을 능욕한 혐의를 씌워 형추(刑推)를 가하고, 이에 맞서 춘향은 법의 부당한 적용을 항의하고, 수청 요구를 유부녀를 겁간(劫姦)하는 범죄라고 맞선다. 흥미롭게도 이 과정에서 관장이 소속 관청의 기생에게 수청을 요구하는 것은 위법 행위라는 점이 문제로 제기되지 않으며, 사욕(私慾)을 위해 법을 남용하는 변학도의 행위와 춘향의 새로운 법의식이 더 부각된다. 춘향과 결연한 이몽룡이 암행어사 출도를 하여 변학도를 봉고파직(封庫罷職)하고 춘향을 구출하는 것은 어사의 권한을 사적(私的) 목적으로 이용한 혐의를 피하기 어렵다. 그러나 서술자나 남원 민중과 국왕 등 작중 인물들은 이를 문제 삼지 않는다. 변학도와 이몽룡의 법 집행에 대한 이러한 상이한 평가는 작중 인물들과 독자들의 법감정(法感情)에 의한 것으로 이해된다. 즉 이몽룡과 춘향의 새로운 사랑과 춘향의 인권 의식에 공감하는 관점에서 변학도는 징치되어야 마땅하다고 보는 법감정이 형성되었고, 암행어사 출도는 오히려 이 법감정에 극적 쾌감을 주는 장치로 수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은 당시의 실정법을 넘어서는 새로운 법감정을 동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법감정은 춘향의 인권의식에 대한 공감에 기초해 있다고 볼 수 있다.

기부와 자원봉사에의 참여 행동에 관한 연구 -누가 선택적으로 참여하고 누가 결합적으로 참여하는가?- (An Empirical Exploration on Selective & Combined Giving -Comparison of General Participation and Intensive Participation-)

  • 강철희;유재윤;박소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2호
    • /
    • pp.273-298
    • /
    • 2012
  • 본 연구는 나눔행동이 선택적으로 혹은 결합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나눔행동을 네 가지(비참여, 기부에만 참여, 자원봉사에만 참여, 기부와 자원봉사 모두 참여)로 세분화 한 후 다양한 형태의 나눔행동에의 영향 요인을 탐색해 보았다. 분석을 위해서는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고, 자료로는 서울복지패널 1차 및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다양한 나눔행동에의 참여여부 및 정기적 참여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과거의 나눔경험과 종교활동은 현재의 나눔행동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중, 성별(여성), 소득수준(+), 교육수준(+), 취업상태 등은 기부와 관련된 나눔행동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상태의 경우 미취업은 자원봉사행동과, 취업은 기부행동과 보다 큰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주관적 행복감 역시 기부와 자원봉사 모두에의 정기적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과되어온 질문인 '누가 각기 다른 형태의 나눔행동에 참여하는가?'와 관련해서 이의 영향 요인을 종합적으로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지닌다.

  • PDF

말기 암 환자의 장폐색성 복통에 대한 침구 및 족삼리 전침 치험 2례 (Acupuncture, ST-36 Electroacupuncture and Moxa Treatment of Abdominal Pain due to Bowel Obstruction in Cancer Patients : Case Report)

  • 김소연;최준용;박성하;권정남;이인;홍진우;한창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8-242
    • /
    • 2014
  • Here we described 2 cancer patients treated by acupuncture for abdominal pain as a complication of bowel obstruction. The patient 1, 43-year-old man was treated with surgery,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for rectal cancer. Two years after surgery, he complained of acute abdominal pain due to small bowel adhesion band. Bowel obstruction and symptoms were not improved by conservative therapy like as fasting, keeping Levin tube, and fluid therapy. 4 months later, he could eat a little rice water, but ileus and abdominal pain persisted despite of applying opiod drug and patch. Got started on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ST-36) and moxa treatment, pain was relived gradually. He could stop opioids 1 month later and ileus was improved after acupuncture therapy for 2 months. The patient 2, 65-year-old woman got hepatectomy, cholecystectomy, and chemotherapy with cholangiocarcinoma. 6 months after surgery, she got laparotomy again for biopsy of new mass around ascending colon. She started eating after gas passing, but felt abdominal distension. Diffuse paralytic ileus was diagnosed by abdominal X-ray, and she got started conservative therapy. During ST-36 electroacupuncture therapy, symptoms like abdominal pain and distension were improved and could stop opiod patch. But eating aggravated ileus again and clinical finding of mechanical bowel obstruction was appeared. Based on these cases, acupuncture and moxa therapy could be helpful for improving abdominal pain and ileus, but possibility of malignant bowel obstruction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in cancer patients.

한국.중국.일본 여성의 색조대장문화 (A Study on Make-up Cul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 박보영;황춘섭
    • 복식
    • /
    • 제39권
    • /
    • pp.217-237
    • /
    • 1998
  • The present research is to study the make-up culture of Kore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during the period from the prehistoric age to the 19th cen-tury. The research was made by documents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erised as follows : (1) A man has a basic instinct to beautify himself.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ke-up behavior of men and women in its primal stage. It was by the start of farming and the division of labor that made the make-up behavior as a feminine culture. The difference of sexual role caused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manly beauty and womanly beauty. It was very natural for women to regard the make-up as the best way for showing their feminine beauty. In Korea, China and Japan, there were vari-ous kinds of primal actions such as tattooing, body-painting, and tooth make-up which were used in the purpose of body protection, incantation, ornament, and so on. Ass their ornamental purpose was becoming more important, these primal actions became the basis of the feminine make-up culture. Nowadays make-up, having mental and emo-tional function, is helpful to increasing self-satisfaction, promoting good personal relation-ship, and attracting attention from the other sex. It also has other functions of showing social status, wealth, age, sex, courage, power, and so on. (2) The representative make-up product used widely in the three countries was Boon (powder) which decides the overall color of face. The key point in the production of Boon was to increase its power of adsorption. The invention of Yunboon (power mixed with lead) solved this major problem of Boon. Yeonji which decides the color of cheek was the mixture of Boon and the powder of Honghwa (a kind of red-colored flower or tree). Mimook (eyebrow pencil) was developed to match up with the various and changing currencies of penciling eyebrows in each nation and times, Yeonji and Joosa (red sand) were used as Jinji (lip stick). The predominant color of Jinji was red. As miscellaneous methods of partial make-up, there were Kon-ji used in a wedding cer-emony in korea, Aek-hwang, Hwa-jeon, Sa-hong, and Myun-yup in China, and Chi-heuk, a peculial method of partial make-up in japan. (3) There were various factors which decided the characteristics of make-up culture usually reflects international atmosphere, the form of government, economic situation, re-ligious and social ideology, aesthetic sense, symbolizing meanings of colors, and so on. The up and down of an influentian country was one of the major factors which deci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ke-up culture of its neighboring countries. When a country took a liberal form of government, it had diverse and splendid tendencies in its make-up culture. The better a nation's economic situation is, the more abandant and various its make-up culture is, and sometimes, the more eccentric and decadents it was. In the field of make-up production, the three countries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But, as a whole, China was the leading nation who spread the culture and products of make-up to Korea and Japan. Though the Chinese make-up culture and products were usually spread to Japan through Korean, there was some evidence of direct exchanges between China and Japan through its dispatches of Kyun-Tang-Sa(Japanese delegation to the Tang Dynasty). While relig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ake-up culture by introducing new methods of make-up, Confucianism exercised strict control over the make-up cul-ture. The currencies in arts and changes of esthetic sense introduced new methods and booms to the make-up culture. Literature made people pay increasing attentions to the countenances of women and changed the standards of esthetic sense. We can find out that the social status of woman was also reflected in the make-up culture. As the social status of women became higher, the feminine make-up culture also developed more then ever. As mentioned above, the make-up cultures of the three countries reflected their social values, esthetic senses, and emotional feelings. Through their cultural exchanges, the three countries could develop various make-up products and methods.

  • PDF

무속신화 <바리공주> 서사의 다층적 이해 - 이야기·생성·소통의 세 층위를 대상으로 (The multi-level understanding of Shamanistic myth Princess Bari as a narrative: focusing on levels of story,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오세정
    • 기호학연구
    • /
    • 제54호
    • /
    • pp.119-145
    • /
    • 2018
  • 본 논의는 서사로서 <바리공주>를 이해하기 위해 대상에 대한 층위를 나누고 이에 대한 접근 방법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서사의 층위 구분과 각 층위별 분석,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진다면, 이는 <바리공주>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새로운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바리공주>의 이야기 차원, 즉 표층 구조는 주인공 인물의 탄생에서부터 시작된 삶의 과제를 공간 이동과 연대기적 순차 구조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태어나면서 정체성을 부정당한 한 여성이 어떤 과정을 통해 존재론적 변신을 이루고 정체성을 찾아가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정체성 찾기의 여정이 주로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를 통해 발생하는 사건들을 통해 형성되어 있다. 이야기 차원에서 찾을 수 있는 이 같은 구조는 가족 구성원의 갈등과 화해, 삶과 죽음이라는 대립적 패러다임으로 심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 이야기를 통해 드러나는 사유 구조는 삶의 문제가 가족 구성하기의 문제이며, 동시에 죽음의 문제 역시 마찬가지라는 점이다. 삶과 죽음이라는 대립되는 것들이 공존하는 이 세계를 어떻게 통합시켜 바라 볼 것인가에 대한 답으로 이 신화의 전승집단은 인간과 신을 관계 맺게 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망자를 천도하는 굿에서 주요하게 소통된다. 무당이 발신자이고 제의 참여자가 수신자이지만, 실제 이 이야기는 특정한 상황에서 반복되는 전혀 새로운 정보가 없는 메시지이다. 굿에서 단골과 참여자들은 <바리공주> 서사를 단순히 메시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자신을 삶과 행위를 재구성하는 코드로 수용한다. <바리공주>의 인물과 사건을 자신의 삶과 상동적 관계로 받아들임으로써 주어진 일상의 삶을 삶과 죽음, 단절과 소통, 갈등과 화해의 통합적 시각으로 그리고 현재적 관점으로 수용하게 된다. 이는 세상과 현실을 바꿀 수 없지만 그것에 대한 '나'의 삶의 태도를 바꾸는 것으로, 결국 이것이 신화에서 바리공주가 신으로 변신하는 것처럼, 개인이 제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이룰 수 있는 변화 변신인 것이다. 이처럼 <바리공주>는 이야기의 층위, 이야기 생성의 층위, 이야기 소통의 층위에서 각각의 의미나 기능이 상호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세 층위에서 신화서사가 드러내는 구조는 신화 전승집단의 의식 세계와 문화체계를 드러내는 데에도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