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ulti-level understanding of Shamanistic myth Princess Bari as a narrative: focusing on levels of story,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무속신화 <바리공주> 서사의 다층적 이해 - 이야기·생성·소통의 세 층위를 대상으로

  • 오세정 (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8.02.28
  • Accepted : 2018.03.20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divide the narrative into three levels and review the approach methodology to understand Princess Bari as a narrative. If the stratification of the narrative, the analysis of each levels, and the integrated approach to them are made, this can contribute to suggesting new directions and ways to understand and study Princess Bari. The story level of Princess Bari, the surface structure, is shaped by the space movement and the chronological sequential structure of the life task that started from the birth of the main character. This story shows how a woman who was denied her existence by her father as soon as she was born finds an ontological transformation and identities through a process. Especially, the journey of finding identity is mainly formed through the events that occur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This structure, which can be found in the narrative level, forms a deep structure with the oppositional paradigm of family members' conflict and reconciliation, life and death. The thought structure revealed in this story is the problem of life is the problem of family composition, and the problem of death is also the same. In response to how to look at the unified world of coexistence of life and death, this tradition group of myths makes a relationship with man and God. This story is mainly communicated in the Korean shamanistic ritual(Gut) that sent the dead to the afterlife. Although the shaman is the sender and the participants in the ritual are the receivers, the story is well known a message that does not have new information repeated in certain situations. In gut, the patrons and participants do not simply accept the narrative as a message, but accept themselves as codes for reconstructing their lives and behavior through autocommunication. By accepting the characters and events of as a homeomorphism relationship with their lives, people accept the everyday life as an integrated view of life and death, disjunction and communication, conflict and reconciliation, and the present viewpoint. It can not change the real world, but it changes the attitude of 'I' about life. And it is a change and transformation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personal communication like the transformation of Princess Bari into god in myth. Thus, Princess Bari shows that each meaning and function in the story level, composition level, and communication level is rela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structure revealed by this narrative on three levels is also effective in reveal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cultural system of the transmission group.

본 논의는 서사로서 <바리공주>를 이해하기 위해 대상에 대한 층위를 나누고 이에 대한 접근 방법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서사의 층위 구분과 각 층위별 분석,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진다면, 이는 <바리공주>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새로운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바리공주>의 이야기 차원, 즉 표층 구조는 주인공 인물의 탄생에서부터 시작된 삶의 과제를 공간 이동과 연대기적 순차 구조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태어나면서 정체성을 부정당한 한 여성이 어떤 과정을 통해 존재론적 변신을 이루고 정체성을 찾아가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정체성 찾기의 여정이 주로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를 통해 발생하는 사건들을 통해 형성되어 있다. 이야기 차원에서 찾을 수 있는 이 같은 구조는 가족 구성원의 갈등과 화해, 삶과 죽음이라는 대립적 패러다임으로 심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 이야기를 통해 드러나는 사유 구조는 삶의 문제가 가족 구성하기의 문제이며, 동시에 죽음의 문제 역시 마찬가지라는 점이다. 삶과 죽음이라는 대립되는 것들이 공존하는 이 세계를 어떻게 통합시켜 바라 볼 것인가에 대한 답으로 이 신화의 전승집단은 인간과 신을 관계 맺게 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망자를 천도하는 굿에서 주요하게 소통된다. 무당이 발신자이고 제의 참여자가 수신자이지만, 실제 이 이야기는 특정한 상황에서 반복되는 전혀 새로운 정보가 없는 메시지이다. 굿에서 단골과 참여자들은 <바리공주> 서사를 단순히 메시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자신을 삶과 행위를 재구성하는 코드로 수용한다. <바리공주>의 인물과 사건을 자신의 삶과 상동적 관계로 받아들임으로써 주어진 일상의 삶을 삶과 죽음, 단절과 소통, 갈등과 화해의 통합적 시각으로 그리고 현재적 관점으로 수용하게 된다. 이는 세상과 현실을 바꿀 수 없지만 그것에 대한 '나'의 삶의 태도를 바꾸는 것으로, 결국 이것이 신화에서 바리공주가 신으로 변신하는 것처럼, 개인이 제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이룰 수 있는 변화 변신인 것이다. 이처럼 <바리공주>는 이야기의 층위, 이야기 생성의 층위, 이야기 소통의 층위에서 각각의 의미나 기능이 상호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세 층위에서 신화서사가 드러내는 구조는 신화 전승집단의 의식 세계와 문화체계를 드러내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