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education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43초

수학적 모델링 적용을 위한 문제상황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Development of Problem Contexts for an Application to Mathematical Modeling)

  • 김민경;홍지연;김혜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3호
    • /
    • pp.313-328
    • /
    • 2010
  • Mathematical modeling has been observed in the way of a possibility to contribute in improv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One of the important views of real life problem context could be described such as a useful ways to interpret the real life leading to children's abstraction process. The problem contexts for the grade 6 with mathematical modeling perspectives were developed by reviewing the current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Those include the 5 content areas such as number & operation, geometry, measurement, probability & statistics, and pattern & problem solving. One of problem contexts, "Space", specially designed for pattern & problem solving area, was applied to the grade 6 students and analyzed in detail to understand student's mathematical modeling progress.

일표본 모평균 검정의 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One-Sample Test for Population Mean)

  • 김용택;이장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419-423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skewness and kurtosis on the one-sample test. We have found that type I error brought about a little bit change which is ignorable in relation to kurtosis. Also the change of type I error was completely based on skewness under the same size of the sample. We conclude that using t-test is more similar to robust than using z-test. In introductory statistics classes where data analysis includes techniques for detecting skewness, we recommend the t-test when skewness is smaller than the value 1 to the one-sample test for a mean when the variances is unknown using the probability of a type I error as the criterion of interest.

  • PDF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변이성 이해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aimed at Junior High School 3rd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of Variability)

  • 송선아;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1호
    • /
    • pp.29-44
    • /
    • 2007
  • 통계 교육의 목표는 통계적 사고를 기르는 것이고, 변이성은 통계적 사고의 기본 요소이다. 이 연구에서는 자료의 변이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변이성 개념을 탐구할 수 있는 상황을 분류하여 Freudenthal의 이론에 근거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학습하는 학생들의 변이성 개념의 이해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기 위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변이성의 탐구는 자료의 요약, 그래프로의 표현을 통하여 분포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상대도수와 결합하여 확률분포와 정규분포에 이르는 중요한 시발점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통계 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재고하고, 변이성을 보다 강화한 학습이 어떤 형태로 가능한가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통계 교육의 내용과 방법 변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PDF

표본선택 편의를 반영한 임금결정요인 분석 (The wage determinants applying sample selection bias)

  • 박성익;조장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5호
    • /
    • pp.1317-132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13 고졸자 취업진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특성화고 졸업자의 임금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임금은 개인의 취업여부와 임금의 크기에 대한 두 가지의 복합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그러나 임금 결정요인분석의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후자의 정보만을 대상으로 최소제곱법에 기초한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표본선택에 의한 편의 (sample selection bias)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임금결정요인분석에서 표본선택에 의한 편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Tobit 모형과 Heckman의 표본선택 모형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Tobit 모형과 Heckman의 표본선택 모형에 대한 타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성별은 취업확률과 임금의 크기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스터고 졸업생은 취업확률과 임금의 크기 모두 기타고 졸업생에 비해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부모소득이 높을수록 취업확률과 임금의 크기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부모학력이 고졸이하에 비해서 대졸이상이 취업확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지만, 임금의 크기는 높게 나타났다. 고교성적은 높을수록, 고교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자격증 수가 많을수록 취업확률과 임금의 크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중학교 1 학년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특성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storytelling' shown on the first grader's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 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2호
    • /
    • pp.149-161
    • /
    • 2013
  • This study was to focus on analyzing about the composition of storytelling in the first graders' math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which were recently implemented. The textbooks published by three well known publishing companies were chosen and three graduate students had scored the frequency of the problems according to three types of storytelling. As the results, in areas of mathematics, Number & Operation(44.23%), Letters & Formula(44.53%), Function(46.53%), Probability(41.67%), Geometry(46.23%) showed to have storytelling in balance. The type of 'explosion of mathematical history(EMH)' was shown in geometry most, the type of 'connection to daily life(CDL)' in statistics most, and the type of integration of disciplines(ID)' in geometry most in 5 math areas. Among three types of storytelling, the type of EMH was shown fewer that other 2 types. If we develop more problems in this type, students would study mathematics in-depth according to Freudenthal's principle of historical reinvention.

CAS 계산기를 활용한 고등학교 정규분포곡선의 교수-학습을 위한 시사점 탐구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Normal Distribution Curves with CAS Calculator in High School Mathematics)

  • 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77-193
    • /
    • 2010
  • 본 연구는 고등학교 통계 영역의 확률분포에 제시되어 있는 정규분포를 이항분포에서 정규분포로의 근사, 정규분포곡선의 탐구, Monte Carlo 방법에 의한 정규분포곡선의 넓이 탐구, 정규분포곡선의 선형변환, 그리고 여러 형태의 정규분포곡선 탐구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CAS 계산기를 활용하여 탐구해보고자 한다. CAS 계산기의 도구적 기능인 사소화, 실험, 시각화, 집중의 측면에서 볼 때 지필로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확률분포의 목표를 달성하기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S 계산기를 활용하여 정규분포곡선의 다양한 성질을 탐구하고 이러한 과정과 결과로부터 정규분포곡선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도수밀도(Frequency density)의 수학적 연결성과 지도방안 (Mathematical Connection and Teaching Methods of Frequency Density)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509-521
    • /
    • 2020
  • 본 연구는 싱가포르 교과서와 영국의 중등 졸업 자격시험 항목에서 도수밀도(frequency density)라는 개념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도수밀도의 수학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도수밀도 개념의 수학적 연결성을 수학 내적 연결성과 수학 외적 연결성 측면에서 고찰하고, 이에 관한 지도 방안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수학 내적 연결성 측면에서는 고등학교 연속확률분포 단원의 연속확률변수와 확률밀도함수와의 연계성을 탐구하였고, 수학 외적 연결성 측면에서는 중학교 과학 교과의 밀도 개념과의 연계성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적 연결성을 바탕으로 도수밀도 개념의 도입 필요성을 제시했다. 도수밀도의 도입과 지도 방안에 대해서는 싱가포르의 중등 2학년 수학 교과서를 소개하였다. 싱가포르 교과서에서는 비균등 구간의 자료를 히스토그램으로 올바르게 표현하고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수밀도를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도수밀도를 도입함으로써 확률밀도함수와 상대도수밀도, 그리고 도수밀도 사이의 수학 내적 연결성을 강조하여 일관성 있게 지도하고, 도수밀도의 과학 교과와의 외적 연결성을 고려하며, 도수밀도 도입 방법으로 싱가포르의 지도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예비교사들의 무작위성 개념 이해 조사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Randomness)

  • 고은성;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455-471
    • /
    • 2010
  • 무작위성 개념에 대한 이해는 확률과 통계 영역의 교수와 학습에서 필수적인 것으로 다루어져왔다. 무작위성 개념은 자연현상, 사회현상을 수학적인 안목에서 이해하도록 하며, 합리적인 해석에 기초하여 이들 현상을 판단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는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이와 같은 기회를 이해하고 다양한 문제 맥락에 포함되어 있는 무작위성 개념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우연현상의 단순사건과 복합사건에 내재된 무작위성 개념은 쉽게 파악하는 반면, 측정과 관련된 맥락에서는 무작위성을 적절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측정상황의 본질인 변이성 개념의 인식이 부족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확률과 통계 관련 지도 관점을 다룰 때 측정상황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변이성 개념에 비추어 이를 분석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 PDF

수학적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성별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이광상;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2호
    • /
    • pp.147-162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에서 남녀 차가 두드러진 문항을 추출하고, 이 문항에 대한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남녀 간 차이에 대한 심층 분석 사례 연구이다. 지난해의 기초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측정 영역, 확률과 통계 영역, 규칙성 영역으로 구분하여 검사문항을 개발하고, 사전검사, 사후검사, 면담을 통해 남녀 성별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교실에서 성차를 고려한 교수-학습 전개 및 평가의 개선을 기대한다.

교란순열에 대한 역사적 탐색과 교육적 확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Historical Analysis and Educational Extension on Derangement)

  • 서보억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1-77
    • /
    • 2019
  •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method of mathematical exploration through history'. In recent school educati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nd as a result, the study has conducted a study on permutations. Permutation is used in a variety of fields, and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Deran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was made at current school mathematics level and academic mathematics level for Derangement. Seco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derangement was examined. Third, based on this, the research direction of this study was decided to be 'Derangement number's triangle(Rencontres number's triangle)', and the inquiry for education expansion was carried out. Fourth, we have presented data on concrete educational expansion by discovering various mathematical facts of the Derangement number's triangl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s and the presentation of new inquiry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