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academic achievement

검색결과 1,582건 처리시간 0.031초

스마트러닝기반의 수업이 학업성취수준이 낮은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성 분석: 스마트앱의 3D와 AR 활용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mart learning based class on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level: focusing on 3D application and AR of smart application)

  • 홍예윤;임연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 수학교육에 있어서 스마트러닝기반의 수업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효과성은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G대학에서 공학인증 과목인 미적분학II를 수강하는 학생들 중 이전 학기 미적분학I에서 C학점 이하이고, 성취수준이 아주 낮은 학생들로 구성된 '특별반'에 속했던 학생들 중 미적분학II를 공학인증으로 받아야만 하는 16명의 학생들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스마트폰의 앱에서 3D와 증강현실(AR)을 수업시간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르면 SNS와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문제분석 결과와 강의평가 결과를 통하여 공간에 대한 시각적 이해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앱을 활용한 스마트러닝기반 수학수업이 사전 학업성취도에 관계없이 학업성취도 증진 및 수학적 흥미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에 관한 사례연구: 하드웨어 교과과정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programming academic achievement: Focused on the hardware curriculum)

  • 이승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4호
    • /
    • pp.779-79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H/W 전공자들의 프로그래밍 수준을 S/W 전공자들과의 상대적 비교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첫째, H/W와 S/W 분야 졸업예정자들에게 C언어와 C++언어에 관한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둘째, H/W와 S/W의 교과과정 편성을 비교 분석하여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 향상에 관련된 정보를 교과과정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셋째, 수학적 학습능력이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수학 교과목과 프로그래밍 교과목간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그 관련성을 분석했다. 이를 통하여 향후 H/W 교과과정에서 학과차원의 특수성과 실정을 반영한 효율적인 프로그래밍 학업성취도 증대 방안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사이버대학에서 지각된 수단성, 숙달접근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Instrumentality, Mastery Goal Orien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yber University)

  • 주영주;이소영;홍유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45-660
    • /
    • 2011
  • 본 연구는 평생교육을 위해 사이버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수단성, 숙달접근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W사이버대학의 2010년 2학기 재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그 결과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재적 수단성이 숙달접근목표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유일하게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외재적 수단성은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내재적 수단성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 했지만 간접효과를 보였으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도 간을 매개하고 있음이 추가적으로 검증되었다.

  • PDF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Verbal Behavior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operative Learning)

  • 임희준;박수연;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67-37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37명을 대상으로 과학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실시하고 소집단 협동학습 과정을 녹음/녹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협동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행동 유형을 범주화하고 이들과 학업 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언어적 행동은 크게 학습 내용과 관련된 행동 및 조 활동 관리와 관련된 행동으로 구분되었다. 학습 내용과 관련된 행동은 도움 주기, 문제 읽기, 도움 요청하기로 세분되었으며, 이 중 도움 주기 행동이 가장 많았다. 학생들의 언어적 행동과 학업 성취도 사이의 단순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 도움 주기와 문제 읽기 행동이 학업 성취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도움 주기 중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는 행동은 학업 성취도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한편, 부분 상관을 통하여 언어적 행동과 학업 성취도 향상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상위 수준의 사고를 요하는 적용 영역 성취도의 향상만이 구체적인 내용 제공하기를 비롯한 일부 언어적 행동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 PDF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 시·공간 패턴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분석 (The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Spatio-Temporal Data Relate to e-Learning Patterns of University e-Learning Learners)

  • 이해듬;남민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47-253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 시 공간 데이터를 활용한 이러닝 학습패턴에 따라 학습자등의 출석률과 학업성취도 차이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3년간 총 68개 이러닝 강좌, 수강생 13,611명의 이러닝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t검증, 이원변량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공간에 따른 출석률과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내 주학습자가 출석률과 학업성취도에서 교외 주학습자들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둘째, 대학 이러닝 학습자들의 일 단위 학습시간대에서는 오전시간대 주학습자, 오후시간대 주학습자, 야간시간대 주학습자 순으로 출석률과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 단위 학습시간대에서는 평일시간대의 주학습자들이 주말시간대 주학습자들 보다 출석률과 학업성취도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분석되었다.

루브릭 제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Proposed Rubrics Simulation Education Effect on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김해란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7-49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ubric for simulation education and to evaluate this rubric's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rubric was developed through nursing expert's and student's negotiation.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he participants were 144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recruited from the one university in G city. The participants were given the simulation education for 15 weeks from July, 2011 through December, 2012.[LAB1] The rubric was presen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the course began but was not presented to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x^2$-test with SPSS win 17.0 program. Results: The simulation education rubric wa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Looking at the results it significantly improved nursing competence and knowledge. Conclusion: The rubric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 rubric with a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 number of areas needs to be developed,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tandardized rubric for simulation education.

전문대학 공학계열 컴퓨터수업에서 학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관련변인 연구 (Prediction of Academic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Variables in Computer Education of Engineering College Class)

  • 주영주;정애경;이상철;한애리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0권2호
    • /
    • pp.56-62
    • /
    • 201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prediction of perceived usefulness of learning, school support and learning flow on academic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absenteeism in computer education of engineering college. To me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D university was chosen and, two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the engineering students enrolled in the computer application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perceived usefulness of learning and school support predicted significantly on satisfaction(${\beta}$ = .53, ${\beta}$ = .21), In addition, perceived usefulness of learning and learning flow predicted significantly on achievement(${\beta}$ = .23, ${\beta}$ = .24), but absenteeism didn't predict significantly on any variable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erceived usefulness of learning, school support and learning flow should be considered as the important elements for designing instructional courses to enhance student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college education.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수업방법선택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Choice of Teaching Method)

  • 신애리;하명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82-189
    • /
    • 2021
  • 코로나-19의 유행으로 비대면수업의 비중이 늘어나는 특수교육환경 속에서 대상자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수업방법선택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2020년 2학기 광주광역시 소재의 G대학 치위생과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성취목표성향은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학업성취도는 중간시험과 기말시험 점수를 사용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 test, Pearson's correlation test, Multiple Linear Regrission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완숙목표성향은 교과목이해도, 교과목흥미도, 학과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학과만족도는 완숙목표성향에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수업선택에 따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수업방법을 대면으로 선택한 경우였다(p<0.05). 따라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향상하기 위해 대면수업의 비중을 늘리고 수업에 대하여 완숙목표성향을 지향할 수 있도록 교과목이해도, 교과목흥미도, 학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수업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입학전형 관련 요인에 따른 간호학과 1학년의 학업성취 분석 : 일 대학 간호학과를 대상으로 (Nursing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College Entrance System-related Factors)

  • 김미원;이한주;이윤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96-605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ollege entrance system-related factors and score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a first year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ethod: Data collected include both a descriptive survey designed to assess college entrance system-related factors with respect to 182 nursing students attending a 4-year nursing college program and their test scores in the first year. The data were analyzed via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with Bonferroni's correction,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an SPSS 18.0 program. Results: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with regard to college entrance system-related factors exhibited significant divergence from first year grade point averages (hereafter GPA) and natural science grade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factors regarding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s a result, conducting assessment to evaluate the level of basic knowledge before college entrance is highly recommended. Also recommended is the development of a support program for students projected to have difficulties with respect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중학생의 시간관리 : 관련변수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The Time Management Pract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 Affecting Variables and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 박은정;김외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1호
    • /
    • pp.41-5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variables affecting time management pract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Questionnaires including a time management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the survey data were taken from 352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e analysis wer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variables affecting student time management were gender, their standard of living, parental educational level and parental occupation. Religion and residential area were indicated as variables affecting several subscales of time management but the academic year of student had no effect on student time management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slightly positive. Developing programs for time management in the field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is also necessa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