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1st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5초

PISA 문항을 활용한 예비 수학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Develop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Assessment Literacy Using PISA Items)

  • 이민희;임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57-175
    • /
    • 2015
  • 교사는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평가방법을 선택하고, 평가의도에 따라 적절한 평가문항을 개발하며, 학생들의 응답을 평가의도에 따라 해석할 수 있는 평가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수학교사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학생의 수학적 지식과 사고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전문성을 가져야 하는데, PISA의 삼차원 평가틀과 문항은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34시간 동안 이루어진 강의에서 예비 수학교사에게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과 수학적 과정, PISA 2012 평가틀의 맥락을 축으로 갖는 평가틀을 제시하고, 이 평가틀을 토대로 1, 2차에 걸쳐 문항을 개발하도록 하였다. 개발 문항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토대로 수학적 과정과 맥락을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하고, 상세한 채점 기준을 개발하는 평가 전문성이 신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분석 (A Recognition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for Software Education of 2015 Revised Korea Curriculum)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7-56
    • /
    • 2016
  •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의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2018년도부터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다. 2015년에는 초등학교에서 실시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교육 내용과 성취기준을 만들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199명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고,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등학교에 필요하고, 17시간으로는 부족하다. 둘째, 현재 교사들은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의 교육 내용, 교수 학습 방법, 평가 방법, 자료 개발 방법 등의 내용을 잘 모른다. 셋째,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 성취기준 적합한 교육 자료 개발과 지도 방법에 대해서도 인지가 낮다. 따라서 초등학교 모든 교사가 교사 연수를 통하여 성취기준에 적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평가 방법, 지도 방법을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STS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견해에 관한 평가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High School Students'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 임재항;강순민;공영태;최병순;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43-1157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STS에 대해서 우리 나라 고등학생들이 가지는 견해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 도구인 HS-VOSTS(Korean Students' Views on STS)를 개발하는 것이다. HS-VOSTS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수행하였다. 우선, 문헌과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4가지 범주의 10가지 하위 범주와 관련하여 23개의 논제를 포함하는 STS 범주 체계를 설정하였다. STS 범주 체계는 정의 과학의 외적 사회학 과학의 내적 사회학 인식론의 네 가지의 커다란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STS 범주 체계를 기초로 4단계에 걸쳐 문항을 개발하였다. 1단계에서는 각 논제에 대한 짝진술문을 기초로 학생진술 문항지를 작성하여 772명의 고등학생들(16.3세)에게 투입하였다. 2단계에서는 짝진술문 중 하나를 제거하여 문항의 진술문으로하고, 분류된 공통견해를 답지로 하여 1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구성하였다. 3단계에서는 고등학생 28명(16.5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 분석을 통해 2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구성하였다. 4단계에서는 2차 다지선다형 문항지를 고등학생 306명에게 적용하여 낮은 반응비율을 보인 답지들을 제거하여 최종 검사도구를 완성하였다. HS-VOSTS는 학생들의 STS에 대한 신념 및 견해를 알아볼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서, 그 결과는 교사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개발자, 교과서 저자, 교육정책 입안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초등과학 수업에서 실험 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내적 요인 조사 (Investig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rnal Factors on Science Experiment Activity)

  • 임재근;이소리;양일호;이윤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1호
    • /
    • pp.93-10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factors whether teachers execute experiments at the science classes in the elementary school.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9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served for more than three years.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individually and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Data sources were analyzed by grounded the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nternal factors that they did experiments at the science classes were science teaching faiths in experiment, self confidence in experiment, interest in science. and the internal factors that they did not experiment at the science classes were lack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lack of science education knowledge, memory of failure at experiment, and so on. The investigation results imply inquiry activities should be more strengthened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pre-service teacher curriculum. And it needs to give a materials of receiving information and guidance detailed about the experiments.

  • PDF

과학 영상매체를 활용한 초등 융합형 교수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Using the Science Visual Media)

  • 권난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29-40
    • /
    • 2014
  • 융합시대로의 패러다임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감성 신장에 있어 기술, 공학적 방법 등이 종합된 영상매체의 교육적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과학교육 내에서 만의 융합교육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타 과목과 효과적으로 연계 지도할 수 있는 전략 모색이 필수적인데 이는 방법적인 면에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내용적인 면에서는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 유발에 효과적인 영상매체가 하나의 전략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6학년 2학기 교육과정 내에 포함된 초등교과 단원에서 과학적 사고과정을 연계할 수 있는 교과별 주제를 선정하여 이를 재구성해서 과학적인 영상매체, 즉 과학사진, TV 영상, 영화, UCC 등을 투입하여 산출되는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에 대한 교육적 유의미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데이컴 기법을 이용한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 간호사의 직무 분석 (Nurses' Job Analysis in a Regional Emergency Center Using the DACUM)

  • 윤희제;정은희;정운선;이상림;권영옥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1호
    • /
    • pp.26-4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role of and to analyze the job of nurses in a regional emergency center using the Developing a Curriculum(DACUM) process, a job analysis technique. Methods: The DACUM committee was organized, and three workshops were held from June 1st to July 4th, 2016. One hundred two nurses in a regional emergency center participated in a survey from October 3rd to 10th, 2016. The frequency,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each tasks and task elements in the DACUM were investigated on a Likert scale. Results: The roles of nurses in a regional emergency center were identified and the DACUM chart was developed with 6 duties, 29 tasks and 153 task elements. According to the survey, some tasks such as 'CPR,' 'acute respiratory distress care,' and 'drug administration' showed high frequency and importance or difficulty in all nursing units in common, and different results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ursing unit were also found.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e feature of the regional emergency center.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practice.

종합병원 임상간호사 실무교육에서의 기초간호학 교육현황 (Current Status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ucation for Clinical Nurses in General Hospital)

  • 정재심;황영희;김용범;류재금;김미경;최소은;박명숙;이향규;이경숙;최스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47-53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and the nature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ucation for clinical nurses in general hospital. Methods: Five advance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conveniently sampled. Contents of education for nurses conducted by the hospital nursing department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of 2015 were collected. Contents of education included biological nursing science and the scope of inclusion and time of assignment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271 cases of nursing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and 223 case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48 cases whose contents were not confirmed. Biological nursing science was included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117 cases (52.5%), but not for 106 cases (47.5%). Regarding the frequency of the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ucation contents, 'pathophysiology'was the most frequently included (n= 286), followed by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n= 191), 'mechanisms and effects of drugs' (n= 114) and 'clinical microbiology' (n= 43).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ducation for clinical nurses included a lot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related content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training course for nurses.

우리나라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추이 및 하락 원인 분석 (Analysis for Trends and Causes of the Decline in Korea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 김현정;강훈식;이재원;김율;정지현;정은영;윤혜경;박지선;이성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15-226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년 및 학교급에 따른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의 추이와 하락 원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있는 일반 초·중·고등학교에서 4학년~10학년 학생을 학년별로 표집한 후,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 및 하락 원인을 묻는 설문을 시행하였다.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에 대한 일원 분산 분석 결과, 전체 평균에서는 학년과 학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과학긍정경험의 하위 영역별로는 결과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즉 과학학습정서에서는 중학생보다 초등학생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초등학교 4학년의 평균이 중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평균보다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 과학관련 진로포부에서는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학습동기, 과학관련 태도에서는 학년 및 학교급에 따른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과학긍정경험의 하위 영역별 주요 하락 원인은 학교급에 따라 다소 달랐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년 및 학교급에 따라 과학긍정경험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디자인씽킹 기반 고등학교 화학 수업의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Design Thinking in High School Chemistry Classes)

  • 양희선;김미영;강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3호
    • /
    • pp.159-17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 융합형 인재의 핵심역량을 위한 교육 전략으로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기반 화학 수업 프로그램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과학교육에서의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가 화학 교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관련 지식 이해', '공감', '관점 공유', '아이디어 생성', '1차 프로토타입', '1차 검증', '2차 프로토타입', '2차 검증'의 총 8단계로 수정·보완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성취기준을 선정하고 이를 만족할 수 있는 주제에 따라 교수·학습 지도안과 학생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4가지 주제가 개발되어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3월에서 8월까지 화학I시간에 적용하고, '공감', 'STEAM교육역량', '문제 해결 과정' 검사를 토대로 수업 장면에 대한 질적 데이터 분석과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과학수업에서의 '공감'요소는 타인과의 공감과 문제 상황과의 공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STEAM교육역량'에서는 과학, 디자인 역량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는 문제 발견, 문제 정의, 문제 해결책 고안, 문제 해결 검토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디자인씽킹 기반 화학 수업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그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간호학과생과 응급구조학과생의 PTSD에 대한 태도와 지식 (Attitude and knowledge on PTSD of nursing and paramedic students in Korea)

  • 홍선우;방경숙;방활란;임지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3-40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ttitude and knowledge level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mong nursing and paramedic student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st to 20th in 2019. A total of 210 students participated from two universitie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Students were positive about the government's spending on PTSD treatment (91.4%), and professional training (92.4%). PTSD patients were considered to be more dangerous (68.1%) and violent (42.4%) than the general popul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and general knowledge on PTSD between nursing and paramedic students. However, general knowledge on PTSD differed according to education experience on PTSD (t=2.04, p=.043). Knowledge scores for PTSD treatment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cademic major (t=2.02, p=.044), and education experience on PTSD (t=2.87,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nursing and paramedic students lack knowledge on PTSD. Therefore, developing curriculum regarding PTSD-related contents in undergraduate and continuing education in both departments is needed to provide better quality health care to people with PT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