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ure change

검색결과 587건 처리시간 0.027초

B, Nb 및 Ti를 함유한 극저탄소강판에서 연속열처리조건이 재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tinuous Annealing Conditions on the Properties of Extra Low Cabon Steel Sheets Containing B, Nb and Ti)

  • 이종무;윤국한;이도형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4-54
    • /
    • 1994
  • Ti, Nb B를 합금원소로 첨가한 알루미늄 킬드 극저탄소 고강도 강판의 재결정 집합조직에 미치는 코일링처리시의 냉각속도, 냉간가공도, 연속어닐링처리등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집합조직계수비 TC(222)/TC(200)는 코일링시의 냉각속도 감소와 냉간압연시의 입하율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압하율이 80%에서 90%로 증가됨에 따라 집합조직계수비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주집합조직이 {554}<225>로부터 {111}<112>로부터 {111}<112>로 바뀌기 때문인것으로 보여진다. 집합조직계수비를 최대로 만들기위한 최적의 강판제조 공정 조건을 제시하면, 코일링처리시 노냉하고, 냉간압연시의 압하율은 80%로 하며, 연속열처리시 $800^{\circ}C$에서 1분간 유지한다음 $20^{\circ}C$로 수냉하고 다시 $450^{\circ}C$에 5분간 과시효처리하는 것이다.

  • PDF

동결김치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과 맛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alysis in the by Taste and Quality Freeze-Dried Kimchi Powder Adding of Noodles)

  • 조용범;강병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5-126
    • /
    • 2003
  • 김치국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동결김치분말을 만들어야 하는데, 김치시료는 김치를 담아 5$^{\circ}C$에 저장하며 이틀째 되는 날과 10일, 15일, 25일 김치를 꺼내 pH 4.0∼4.7, 산도 0.5∼0.8% 사이의 김치가 일반적인 적숙기로 판단되어 이 중 국수제품의 시료에 가장 적당한 14일 정도 경과한 김치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한 다음 국수제춤의 첨가량을 조절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동결김치분말 첨가는 4%가 최적점으로 나타났다. 김치 국수를 국수적인 관점과 김치의주 성분인 김치 맛의 측면과 향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항목을 선정하여 수행하여 고소한 맛, 부드러움, 점도 미치 오일향 등의 국수적인 질감 측면과 색도, 김치향, 매운맛을 항목으로 하였다. 전체 경향에서 control에서 보이는 높은 오일향이나 고소한 맛 등은 동결김치분말 첨가량에 따라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특이적으로 6% 첨가군에 있어서는 김치향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의 경향이 매우 확연하게 나타나고 있다. 점도나 부드러움같은 질감(texture)의 관점에서는 6% 이상 첨가시 국수의 면발이 부서지듯 짧게 끊어지고 4% 이하 첨가시 기존의 국수와 차이가 없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묘사 분석까지의 관능검사 결과 4%가 관능적으로 최적점을 도출하였다.

  • PDF

츄잉검의 저장중 물성변화 (Rheological Changes of Chewing Gum During Storage)

  • 이윤형;유명식;진홍승;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60-468
    • /
    • 1985
  • 츄잉검의 저장중 물성변화를 파악키 위해 성분 및 제조조건을 다르게 시료를 제조하여 저장중 수분함량의 변화, 기계적 물성 및 관능적 물성값을 측정하였다. 저장중 수분함량의 변화는 RH32, 43%의 낮은 상대습도에서는 물엿함량이 적을수록, 물엿의 DE가 낮을수록 탈습(脫濕) 심하게 일어났고, RH65, 85%에서는 반대로 물엿이 함량이 많을수록, DE가 높을수록 흡습(吸濕)이 심하였다. 전반적으로 기계적 물성값의 변화는 낮은 상대습도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RH65%에서는 평형, RH85%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수분함량의 변화 및 물엿의 DE값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반면에 물엿의 함량, 제조조건 및 저장온도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았다. 수분함량과 각 기계적 물성값은 대수함수 관계로 나타낼 수 있었으며, 이들간에는 모두 0.1%의 유의 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관능적 물성과 기계적 물성간에는 모두 0.1% 유의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희귀식으로부터 각 물성의 최적값을 추정하였다.

  • PDF

상용 AZ31B Mg합금 판재의 어닐링에 따른 집합조직 변화 및 결정립 이상 성장 (Effects of Annealing on the Texture Development and Abnormal Grain Growth in a Commercial AZ31B Mg Alloy Sheet)

  • 양권승;윤성식;장우양;강조원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93-299
    • /
    • 2008
  • In order to provide with fundamental data of the wrought Mg alloy for press forging, the effect of annealing temperature on the microstructure, texture development and tensile properties is studied in a commercial AZ31B Mg alloy sheet. Basal texture i.e. $(0001){\pm}5^{\circ}$[21$\bar{3}$0] is developed in a commercial AZ31B Mg sheet, and the texture is not changed considerably by annealing over $400^{\circ}C{\times}30min$, while (10$\bar{3}$0) component with high intensity can be observed due to abnormal grain growth. When the sheet is tensile-deformed with RD, $45^{\circ}$ and TD directions at room temperature, fracture strains are given by 25.8, 21.4 and 11.9% in the order of RD, $45^{\circ}$ and TD directions,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up to $450^{\circ}C{\times}30min$, little change in mean grain size can be revealed by annealing below $300^{\circ}C{\times}30min$ but an abnormal grain growth, where some grains become significantly coarser than the rest, occurs by annealing above $400^{\circ}C{\times}30min$. The maximum tensile strain of around 25% is obtained by annealing below $300^{\circ}C{\times}30min$, but it is abruptly decreased to 16% by annealing above $400^{\circ}C{\times}30min$ owing to intergranular fracture of abnormal grown grains.

대두유 첨가가 녹두전분의 이화학적 특성과 저온저장 녹두전분겔의 텍스쳐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Starch and Texture of Cold-Stored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Soy Bean Oil)

  • 최은정;오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13-520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starch and the texture of cold-stored (5$^{\circ}C$ for 0, 24, 48, and 72 hours)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soy bean oil (0, 2, 4, 6%). The swelling power of mung bean starch added with soy bean oil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whereas solu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of mung bean starch added with soy bean oil decreased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soluble amylose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RVA viscosity, pasting temperature and peak viscosity of mung bean starch added with soy bean oi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reas minimum viscosity decreased and breakdown and consistency increased significantly. In RVA viscosity,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soy bean oil. DSC thermograms show that onset temperature of mung bean starch added with soy bean oil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whereas the enthalpy increased in the case of 4% and 6% oil addition. Rupture properties of freshly prepared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soy bean oil increased in the case of 2% and 4% oil addition, and oil addition to mung bean starch gels suppressed changes in rupture properties during cold sto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xture of freshly prepared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soy bean oil, whereas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cold-stored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soy bean oil decreased. In the above textural charactristics, there were no differences due to concentration of soy bean oil. Thus, the addition of 2-4% soy bean oil to mung bean starch is appropriate for improv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ld-stored mung bean starch gels.

소금의 종류와 침지 농도에 따른 배추김치의 젖산균의 생육과 품질 특성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Prepared with Various Salts and Concentration)

  • 김다미;김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6-297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prepared with four types of salt (Solar salt, Flower salt, Hanju salt, and Roasted salt) at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10, 15%) during storag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ere examined by investigating acid producti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sensory properties, salinity, texture, and color characteristics. Baechu kimchi was fermented for 18 days at $10^{\circ}C$. The pH and total acidity did not change during storage according to type and concentration of salt.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not affected by type of salt, whereas it was inhibited at 15% salt concentration after 9 days of fermentation. In the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of sensory properties, kimchi prepared with 10% sal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erm of overall acceptability (p<0.05).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ype of salt. For texture characteristics, hardness of kimchi prepared with 10% sal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with 20% salt. For color characteristics, L value (brightness) and b values (yellowness) of kimchi prepared with 10% salt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whereas a value (redness) did not change by type and concentration of sa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were no considerable differenc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prepared with various types and concentrations of salt. However, Solar salt resulted in more favorable sensory properties and salinity of kimchi than any other types. Further, kimchi prepared with 10% sal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salinity, texture, and color characteristics.

3차원 텍스처를 이용한 카툰 렌더링의 만화적 스타일 다양화 (Extended Cartoon Rendering using 3D Texture)

  • 변혜원;정혜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23-13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물체를 카툰 스타일로 렌더링하는 툰 쉐이딩에 3차원 텍스처를 활용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한다. 1차원 텍스처를 사용하는 기존의 툰 쉐이딩에서는 주어진 조명 벡터와 물체 곡면의 법선 벡터 간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에 따라 쉐이딩 톤을 표현하고 있다. 1차원 텍스처만으로는 시점에 따른 톤의 변화를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Barla 등은 2차원 텍스처로 확장하여 원근감, 안개효과 등 시점에 따라 변화하는 효과를 1차원 추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텍스처로 확장하여 곡률, 세일리언시, 좌표 등 물체의 기하정보를 또 다른 1차원으로 추가함으로써 만화적 스타일 다양화를 위한 2가지 확장을 시도한다. 첫 번째는 기하정보에 따라 실루엣이나 하이라이트를 강조하는 형태 과장 효과를 추가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스크린 톤이나 아웃포커싱 등 만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만화 고유의 효과를 추가하는 것이다. 이 접근방식의 유효성은 여러 가지 3D 물체를 기존에 표현하지 못하는 다양한 만화적 스타일로 렌더링한 예를 보임으로써 증명한다.

발아콩의 첨가가 쌀쿠키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Rice Cookies Containing Germinated Yakkong Powder)

  • 한정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81-689
    • /
    • 2011
  • Yakkong germinated for 48 h at $23^{\circ}C$(48G), which showed the highest isoflavone content, was prepared with no heat treatment(48G-NH) or with additional heat treatment entailing 20 min boiling(48G-20B) or 15 min roasting(48G-15R). After being ground, each powder was substituted for rice flour by 10, 20, or 30% in rice cookies and compare with the control(100% rice flour cookies). The rice cookies containing 20 or 30% 48G-NH showed the highest crispness in texture and the lowest spreadability. The rice cookies containing 48G-20B and 48G-15R did not show a change in spreadibility, regardless of substitution level. For the rice cookies with 48G-15R, when the substitution level increased to 30%, the crispness decreased and hardness increased. The rice cookies with 48G-20B showed the lowest crispness regardless of substitution level. In terms of color, rice cookies substituted with Yakkong powder showed lower L and higher a* values than the control, however there were no tendencies related to b* value change. In sensory testing, rice cookies substituted with YK-48G had an improved quality, especially in flavor and texture as well as in function. The most acceptable substitution level was 20% of 48G-15R.

Accuracy Assessment of Forest Degradation Detection in Semantic Segmentation based Deep Learning Models with Time-series Satellite Imagery

  • Woo-Dam Sim;Jung-Soo L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15-23
    • /
    • 2024
  • This research aime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forest degradation using time-series satellite imagery and three different deep learning-based change detection techniques. The dataset used for the deep learning models was composed of two sets, one based on surface reflectance (SR) spectral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ry, combined with Texture Information (GLCM; Gray-Level Co-occurrence Matrix) and terrain information. The deep learning models employed for land cover change detection included image differencing using the Unet semantic segmentation model, multi-encoder Unet model, and multi-encoder Unet++ model. The study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between the deep learning models for forest degradation detection. Both training and validation accuracies were approx-imately 89% and 92%,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deep learning models, the multi-encoder Unet model showed the most efficient analysis time and comparable accuracy. Moreover, models that incorporated both texture and gradient information in addition to spectral information were found to have a higher classification accuracy compared to models that used only spectral information. Overall, the accuracy of forest degradation extraction was outstanding, achieving 98%.

영상의 밝기와 텍스처를 이용한 조명 변화에 강인한 변화 검출 (Robust Illumination Change Detection Using Image Intensity and Texture)

  • 연승호;김재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69-179
    • /
    • 2013
  • 변화 검출 알고리즘은 두 영상 프레임을 비교하여 변화를 가져온 유입된 외부 객체의 영역을 검출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두 영상 간의 밝기 변화 요인을 유입 객체에 의한 요인, 객체의 표면에서 주변으로 반사된 반사광 및 그림자에 의한 요인, 내재된 잡음에 의한 요인 등으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입된 객체의 영역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새로운 변화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변화 요인의 분류와 객체 영역의 검출을 위하여, 우선 두 영상 간의 밝기 변화 값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다수의 임계값을 추정한다. 다음으로 유입 객체의 경계 후보 화소를 추정하고, 추정된 객체 경계 후보 화소와 임계값을 이용하여 영상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최종적으로 분할된 각 영역의 텍스처를 두 영상에서 각각 구하고 이들 간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각 영역이 외부 유입 객체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다른 조명 변화 특성을 가지는 다수의 영상에서 수행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유입된 객체의 영역을 강인하게 검출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