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book task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262초

과제 학습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ask-Based Learning Strategies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권난주;이은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141-148
    • /
    • 2007
  • This study proposed task-based teaming strategies as a means of fulfilling the demands and goal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ask-based learning is based on the use of a series of activities whereby a teacher presents students with tasks related to daily lift and the students solve the tasks by themselves using various methods and thought processes and then present and discuss their results with each other. The tasks are selected from the 6-grade science textbook, are reconstructed and are then given to the classes. The tasks include whole class activities as well as individual activities related to the interests, abilities, and concerns of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ask-based learning classes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n applied to 6th grade students. For this, the task-based learning activities were appli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expository teaching was applied to the comparison group. Both groups were given a pre-post test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ask-based loaming is very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 PDF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과업활동 자료 분석 (An analysis of task-based materials in first-grad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 전인재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4호
    • /
    • pp.253-27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spects of task-based material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first year students in Korea.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designing communicative tasks and the basic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a total of six different qualitative evaluation categories of task-based materials are constructed. The six categories include input data, settings, activity types, language skills, activity themes, and communicative function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regulations of the 7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 which were aimed at improving the students'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properly reflected in the materials of task-based activities of all textbooks. On the other hand, a few problems were found in some textbooks: too many individual tasks; being out of proportion in presenting task types and themes; non-systematic introduction of language skills, etc. To conclude, a few suggestions are made to provide some meaningful considerations for the text material developers in order to produce better textbooks in the future: task goals and rationale that encourage the learner's positive motivation; authenticity of input data based on the real-world context;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enhances communicative interaction; a proportional representation of the various activity types including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dures; systematic introduction of integrated language skills, etc.

  • PDF

다문화 학생을 위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재 평가 연구 (A Study of Evaluating the KSL Textbook for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 장경숙;구영산;전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3-4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교육을 위해 개발된 한국어교재평가를 통해 개선점을 모색하고 향후 개발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이다. 교재평가에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한국어교재를 평가할 수 도구를 활용하였다. 학교에서 표준한국어 교재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32명의 한국어 교사들이 평가에 참여하였다. 평가 도구에 제시된 51개의 세부 기준에 따라 교재의 내적 외적 구성요소별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 결과에 의하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어휘 제시, 어휘의 반복적 사용, 문화에 대한 내용 확대 등이 개선점으로 지적되었다. 한국어교재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급별 표준한국어교재 개발의 방향, 한국어 교원의 교재평가 전문성 제고, 평가 결과 기반 교재 선정 및 활용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한 고찰과 '고등학교 수학' 의 의사소통 코너 분석 (Note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he Analysis of communication-corner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

  • 김향숙;이성애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1-168
    • /
    • 2010
  • 수학적 의사소통은 수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학습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에 수학적 아이디어를 교환하는데 필수적인 활동이다.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여러 영역에서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편찬된 '고등학교 수학' 18종 교과서에는 의사소통 문제를 다루는 코너가 마련되어 있고, 실제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수학 수업 시간에 어떤 과제를 어떤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해야 할지에 대해 알고 싶어 한다. 이렇게 수학적 의사소통이 수학 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는 시점에서 본 논문은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 이를 토대로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수록된 의사소통 관련 코너의 내용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나아가 각 유형에 적절한 의사소통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차후에 개정될 교과서의 실질적인 의사소통 코너 마련을 위한 정보 및 교사들에게 수학적 의사소통이 활발한 수학 수업을 안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 교과서에 대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인지부하 분석 - '수와 연산' 영역의 한 주제를 중심으로 - (The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Load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 Focused on one Theme in 'Number and Operations' -)

  • 이세형;유윤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1-1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gnitive load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and traditional mathematics textbooks that are presented to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is, we have selected two 4th grad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hat were identified as a homogeneous group through prior testing, and thus were separat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en, without the teacher's lessons,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from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and the comparative group learned from traditional mathematics textbooks. Afterwards, the two groups' cognitive load was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mental effort' and 'self evaluation' categories, the students that learned from the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students that learned from the traditional mathematics textbook. also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item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maining categories 'task difficulty', 'self evaluation', and 'material design'.

영어교과서 개발의 최근 동향 (The Revision of the English Curriculum and Recent Trends on the Development of the English Textbook in Korea)

  • 이재근
    • 영어어문교육
    • /
    • 제8권1호
    • /
    • pp.241-25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of the development of the English textbooks in EFL situation. The 7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NEC) in 2001 which emphasized the curriculum-centered school education have had much influence on the traditional textbook-centered school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paradigmatic change of school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English textbooks were changed into the new types of students-centered classroom activities. For students' communicative activities, the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by two types of syllabuses: process-oriented syllabus and product-oriented syllabus. The 7th NEC includes procedural syllabus and task-based syllabus as well as grammatical- structural syllabus and notional-functional syllabus. In short, unlike the English textbooks in former curriculums, learners' classroom activities and tasks have been emphasized in those to foster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 PDF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가 치아카빙에 관한 지식, 수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obile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3D Multimedia on Tooth Carving Knowledge,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for Dentistry)

  • 박종태;김지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76-385
    • /
    • 2018
  • 본 연구는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가 치아카빙지식, 수행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치의학 전공 대학생 66명을 대상으로 3D 모델링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실험집단과 텍스트와 삽화로 구성된 2차원 수업자료를 활용한 통제집단에 각각 33명씩 배정하여 실험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차원 수업자료를 활용한 과제정보 집단(통제집단)이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집단보다 치아형태에 대한 이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치아카빙 수행 능력 향상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 집단의 수업만족도가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아형태학 수업에서 3D 모델링을 제공하는 것은 수업만족도를 높여주며, 치아카빙 수행 향상을 돕는 교육콘텐츠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 따른 한국과 미국의 중학교 1학년 교과서 기하 영역에 제시된 과제 분석 (Analyzing Tasks in the Geometry Area of 7th Grade of Korean and US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Modeling)

  • 정혜윤;정진호;이경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79-201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기하 영역 교과서 과제에 제시된 실생활 맥락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두 나라 학생에게 주어진 수학적 모델링 학습기회의 다양성을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각 나라 교과서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과정, 데이터, 표현종류의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모델링 과정과 관련하여, 한국 교과서의 경우 미국 교과서보다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더 높은 비중으로 과제를 제공한다. 둘째, 데이터의 특징과 관련하여, 두 나라 교과서 모두 적정 데이터 과제 비율이 가장 높으며, 한국의 경우 교과서별 데이터 특징의 격차가 크다. 셋째, 표현종류와 관련하여, 두 나라 교과서 모두 글과 그림 과제 비율이 가장 높다. 한국 교과서가 미국 교과서보다 교과서에 따른 표현종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일부 교과서의 경우 글과 그림을 제외한 다른 표현이 제시되지 않았다. 넷째, 세 가지 특징을 통합하여 과제를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측면이 다양하게 다루어지기보다 적정 데이터를 글과 그림으로 제시한 뒤 수학 결과를 얻는 데 초점을 둔 과제가 주로 제시되었다. 한국 교과서와 달리 미국 교과서에만 제시된 과제로, 과잉 데이터가 글로 제시되어 수학화를 요구하는 과제가 확인되었다.

심화수학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에 대한 학생 인식 분석 (Analysis of Students' Cognition for Enrichment Mathematics Textbook Tasks' Levels of Cognitive Demand)

  • 정혜윤;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4호
    • /
    • pp.615-637
    • /
    • 2017
  • 본 연구는 심화수학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에 대한 학생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학생에게 주어진 학습기회의 실제 발현 여부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이론적 틀에 기반 한 분석을 통해 심화수학 교과서 과제의 분포에 나타난 특징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둘째, 실제 심화수학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생들이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수준 분포와 관련하여 인식하고 있는 특징과 한계점을 살펴보고, 교과서에 제공된 학습기회가 실제로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심화수학 교과서가 과학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교재라는 측면에서, 영재교육을 위한 학습기회가 제공되고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심화수학 교과서에는 PNC 과제가 주로 제시되어 있었으며, 학생들 역시 PNC 과제의 해결경험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영재교육을 위한 과제가 제공되지 않았으며, 학생들 역시 이에 대한 경험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교과 역량 과제 분석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for developing the core competencies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

  • 최희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95-11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과제의 인지적 요구 수준을 분석하였다. 9종의 <수학>교과서는 4999개의 수학 과제를 포함하였고 그 중 수학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과제는 703개였다. Stein, Smith, Henningsen, & Silver(2000)의 분석틀을 바탕으로 703개의 교과 역량 함양 과제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높은 인지적 수준을 요구하는 과제 비율은 61.5%, 학생들의 낮은 인지적 수준을 요구하는 과제 비율은 38.5%였고 그에 따른 과제유형의 비율은 Low-M 1.0%, Low-P 37.5%, High-P 57.8%, High-D 3.7%로 나타나 수학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과제의 대부분이 절차적 과정을 따라 수학적 개념, 원리, 과정 등을 이해하도록 유도하는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