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book item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2007 개정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에 기초한 정보1 교과서의 분석 (Analysis of Informatics-1 textbook based on Informatics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Revised in 2007)

  • 강오한;송희헌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5-4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중학교에 새롭게 보급된 정보1 교과서를 분석하고, 정보1 교과서의 조기 정착 방안을 찾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소재 중학교의 정보 교과목 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항목은 정보1 교과서의 만족도와 향후 교사들을 위해 지원이 필요한 내용을 조사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교과서의 만족도와 관련된 7개 설문 영역 중에서 긍정적인 응답률이 가장 높은 것은 '교육과정의 준수'로 95%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부정적인 응답률이 가장 높은 설문 영역은 '내용의 선정 및 조직'으로 13%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 교과서의 조기 정착과 함께 정보 교과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우선적으로 다양한 강의자료 제공과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교사 연수를 시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Evaluating Framework for a Science Textbook in a Secondary School)

  • 최경희;김숙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03-313
    • /
    • 1996
  • The major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truct the evaluating framework of a science textbook with a high confidence and universal validity, referring to a preceeding study and materials involved in research work, and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the secondary school. The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are composed of 7 categories: content, organization, representation, laboratory, illustrations, external form or editing system, and supplementary materials. Each category consists of detailed items. Eech item in the check-list is to be given between one and five points, and the total number of possible points in this evaluating framework is 290. As a result, these evaluating items enable quantitative analyses, afford an opportunity which we can look into many-sidedly the respects we should consider when a science textbook is adopted, and they can be estimated partly or synthetically as occasional demands. This study is exepected to contribute to choose a good science textbook as fundamental data in the future, and to help the lasting study or estimation of the textbook.

  • PDF

고등학교 과학 및 생물교과서 과학용어 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Scientific Item Networks from Science and Biology Textbooks)

  • 박별나;이윤경;구자을;홍영수;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427-435
    • /
    • 2010
  • 교과서에 쓰인 과학 용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네트워크의 구조, 관련 정보 및 연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핵심용어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생물1 및 생물2 교과서 각 과목별로 출판사 세 곳을 선정하고 각각의 교과서에서 추출한 용어들을 노드로, 한 문장 안에 있는 과학 용어를 링크로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모든 교과서의 과학 용어 네트워크는 척도 없는(scale-free) 네트워크의 특성을 보여주었다. 복잡한 (complex) 네트워크에서 가중치가 낮은 것부터 제거하는 방법인 k-cor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핵심 (core)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는데, 몇 개의 모듈이 연결되는 형태를 보여주었다. 과학교과서의 경우에는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분야별로 크게 네 개의 모듈을 형성하였고, 생물1과 생물2 교과서는 각단원별로 용어들이 모여 있는 특성을 지닌 네트워크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복잡한 네트워크에서 핵심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유용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도서 방향성 도출을 위한 델파이 연구 (A Delphi Study for Deriving Directions for Futur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 채동현;신정윤;김은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9-68
    • /
    • 2021
  • 이 연구는 과학교육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 도서의 방향성을 도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8명의 전문가 명의 패널을 구성해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의 각 문항에 대한 평균, 중앙값, CVR 값을 분석하여 미래 사회를 위한 과학교육의 변화의 우선순위와 각 항목별 구현방법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를 종합하여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 도서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델파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 도서의 방향을 종합하면,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도서는 '즐겁고 재미있는 과학 공부'를 할 수 있고 '탐구 수행 중심 학습'이 가능하며 '어른이 되어서도 즐기고 참여하는 과학 문화'를 준비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실생활 속 소재를 활용하여야 하며 접근성이 높은 소재와 준비물을 활용한 쉽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실험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학이 실생활과 연계성이 높은 학문이며 이는 앞으로의 진로와도 연관성이 있음을 학습할 수 있는 교과용도서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 지구과학 올림피아드 문항 분석을 통한 문항의 질 향상 방안 (Analysis of Korea Earth Science Olympiad Items for the Enhancement of Item Quality)

  • 이기영;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11-52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지구과학 올림피아드 문항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1회와 2회 예선 및 본선 문항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문항 분석을 위해 내적 및 외적 문항 분류틀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고전 검사이론을 적용하여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 상관계수, 그리고 신뢰도를,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일반화가능 도를 각각 추정하였다. 문항 분류틀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용 차원에서는 지질 영역과 천문 영역에, 지식 및 탐구과정 차원에서는 자료 분석 및 해석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맥락 차원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문항이 교과서적인 상황을 토대로 한 것이었다. (2) 요구 사고 수준에서 예선과 본선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3) 문항 표현 범주에서는 그림의 사용 비율이 가장 높았고, 문항 유형 범주에서는 예선은 선다형과 단답형의 비율이, 본선은 서술형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문항 형식 범주에서는 중학부와 예선은 단독형의 비율이 높고, 고교부와 본선은 복합형의 비율이 높았다. 문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부는 대체로 난이도가 낮고, 변별도는 적절하였다. 그러나 고교부는 일반고와 과학고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2) 중학부는 대기 영역과 총점과의 상관이, 고교부는 천문 영역과 총점과의 상관이 가장 높았다. (3) 양호한 문항이 가장 많은 일반고부의 문항 내적 일관성신뢰도와 일반화가능도가 가장 높았다. (4) 일반 고는 출제된 문항 수로 적정 수준의 일반화가능 도에 도달되나, 중학부나 과학고는 출제된 문항보다 2배 이상 많은 문항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범주별 분석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Science Textbooks on Category)

  • 구수정;최돈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07
    • /
    • 1992
  • ln this study, we analyzed 5 science textbooks currently used for the 7th graders quantitatively by using the science textbook rating system of Collette and Chiappetta(1986), making meta-analysis of the results of 17 graduate school stud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rating system consists of 11 categories with detailed items respectively : content, organization, reading level, instruction approach, illustrations, end-chapter teaching aids, laboratory activities in text and/or accompanying manual, teacher aids, indices and glossaries and mechanical makeup of text. Each item in the checklist is to be given between one and five points and the total number of possible points in this rating system is 290. It was shown that 5 science textbooks currently used for 7th-year-students were all "poor" in terms of total points and had, at large, uniformed results especially in 10 items; 7 items concerning moral and ethical implications of science, vocabulary lists, accompanying laboratory manual, annotated editions for test, supply list for laboratory program, student workbook and glossary with low points, while 3 items concerning facilities needed for laboratory activities, activities relevant to the content and textbook size with high points. A Science teachers could get a broad view with a correct impression of the books usefulness in making an evaluation of available textbooks.

  • PDF

초.중.고 수학교과서 해석영역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ticulation of the Analysis par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송순희;김윤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87-99
    • /
    • 1998
  • Mathematics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future because mathematics is the basis of every study, for example, natural and social science, etc. Our nation wid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six times since 1948. In 1992, the sixth revision was enforced and we are using the revised textbook now. This study aims at helping of continuous investigation for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and aims at efficient teaching by preventing unnecessary repetition and excessive gap in real field by analyzing the articulation of Analytics part in school textbook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is thesis consists of the followings. 1.Investigation of the principles and natures of articulation along with curriculum course and notice the articulation based on the analysing tools. 2.Importance of learning functions. 3.To get the propriety, formation of 8 judging group and classification of content materials in function chapters by the judges based on the analyzing tools. 4.Analysis of presentation method and terminologies in the first concepts, suggestion teaching method to reduce gap and help of understanding on first concepts in the study of function. As a result 'development' consists of 55.8% of the total and it is higher than 'duplication' and 'gap'. To be specific in period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development' takes 64.5% and this shows an acceptable articulation in the period. While 39.4% of 'gap' in articulation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looks high compared with 'gap' between the previous periods. The item suggested with the 'gap' is the 'definition of function', 'value of function', 'parallel translation', 'exponential and logarithmic function'. It is observed that these materials is suddenly appeared in high school.

  • PDF

수학적 모델링 과정을 반영한 교과서 문제 재구성 예시 및 적용 (Re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reforming textbook problems for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 박선영;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3호
    • /
    • pp.289-309
    • /
    • 2018
  • There has been a gradually increasing focus on adopting mathematical modeling techniques into school curricula and classrooms as a method to promote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ies. However, this approach is not commonly realized in today's classrooms due to the difficulty in developing appropriate mathematical modeling problems. This research focuses on developing reformulation strategies for those problems with regard to mathematical modeling. As the result of analyzing existing textbooks across three grade levels, the majority of problems related to the real-world focused on the Operating and Interpreting stage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while no real-world problem dealt with the Identifying variables stag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textbook problems cannot provide students with any chance to decide which variables are relevant and most important to know in the problem situation. Following from these results, reformulation strategies and reformulated problem examples were developed that would include the Identifying variables stage. These reformulated problem examples were then applied to a 7th grade classroom as a case study. From this case study, it is shown that: (1) the reformulated problems that included authentic events and questions would encourage students to better engage in understanding the situation and solving the problem, (2) the reformulated problems that included the Identifying variables stage would better foster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and their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and (3) the reformulated problems that included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could be applied to lessons where new mathematical concepts are introduced,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is required.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school classroom's incorporation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with specific reformulating strategies and examples.

딥러닝 기반 교재 문항 검출 실험 연구 (A Study on the Deep Learning-Based Textbook Questionnaires Detection Experiment)

  • 김태종;한태인;박지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11호
    • /
    • pp.513-520
    • /
    • 2021
  • 최근 학습, 교육 및 훈련으로 일컫는 이러닝 분야에서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이 접목된 에듀테크(edutech)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기기에서 자동으로 수집이 가능한 학습활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 개개인에게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는 연구는 많으나, 오프라인 학습에서 추출하고 활용해야 할 데이터의 수집 연구는 적다. 이에 본 연구는 데이터 수집 연구를 위해 인공지능 컴퓨터 비전 기술을 이용하여 교재 또는 문제지의 문항 검출 방법을 연구한다. 이는 교재 또는 문제지에 대한 디지털로의 변환작업 없이도 오프라인 학습활동 데이터를 수집·저장·분석하여 지능화 교육 서비스와 연계를 통해 오프라인 학습에서도 학습자의 개인 맞춤형 학습 서비스 제공한다.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구성체계 및 학습목표 분석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System and Learning Objective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 강오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개발된 7종의 중학교 정보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법으로 교과서의 구성체계를 분석하였으며, Anderson의 교육목표 분류법에 따라 학습목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교과서 선정기준을 적용한 설문을 실시하여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과서들은 실습, 활동, 수준별 학습, 소그룹 운영 중심으로 구성되어 체계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단원 간의 페이지 분량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목표를 분석한 결과, 인지과정 측면에서 '이해하다'(53%)와 '분석하다'(16%) 영역의 비율이 높았으며, 지식의 유형 측면에서 개념(42%)과 절차(31%) 유형의 비율이 높았다. 이와 함께 인지과정 측면에서 '분석하다'와 '개발하다' 영역의 구성 비율이 이전 교과서보다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5점 평가척도를 적용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4개 영역 중에서 '내용의 정확성 및 공정성'이 4.2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