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lphi Study for Deriving Directions for Futur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도서 방향성 도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Received : 2021.03.29
  • Accepted : 2021.04.20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derive the direction of futur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books through delphi study of science education experts. To this end, a panel of 18 experts was formed and two delphi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By analyzing the mean, median, and CVR values for each item in the Delphi survey, the priorities of changes in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and the validity of each item's implementation method were verified. In addition, by synthesizing this, the direction of futur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was derived. As a result, the future elementary science textbook can be 'fun and interesting science study', 'exploration performance-oriented learning' and 'science that enjoys and participates even as an adult'. It should be developed to prepare for culture. For this, it is necessary to use materials in real life, a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an experiment that stimulates curiosity and easy access using materials and preparations with high accessibil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xtbook for learning that science is a discipline that is highly connected with real life, and that it is also related to future career paths.

이 연구는 과학교육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 도서의 방향성을 도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8명의 전문가 명의 패널을 구성해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의 각 문항에 대한 평균, 중앙값, CVR 값을 분석하여 미래 사회를 위한 과학교육의 변화의 우선순위와 각 항목별 구현방법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를 종합하여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 도서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델파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 도서의 방향을 종합하면,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도서는 '즐겁고 재미있는 과학 공부'를 할 수 있고 '탐구 수행 중심 학습'이 가능하며 '어른이 되어서도 즐기고 참여하는 과학 문화'를 준비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실생활 속 소재를 활용하여야 하며 접근성이 높은 소재와 준비물을 활용한 쉽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실험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학이 실생활과 연계성이 높은 학문이며 이는 앞으로의 진로와도 연관성이 있음을 학습할 수 있는 교과용도서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2013).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핵심역량 재구조화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34(4), 378-387.
  2. 김정호, 윤현진, 황혜정, 이선경, 박소영(1998).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 98-8.
  3. 나지연, 장병기(2017). 미래 과학교육에 대한 예비초등 교사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6(1), 85-94.
  4.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임혁, 정대홍, 정종훈, 김진희, 정용재(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465
  5. 신영준, 하지훈, 홍준의, 전영석, 이수영, 박지선, 지재화, 이수아, 문혜숙, 이성희(2016). 거꾸로 수업을 지원할 수 있는 과학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40(1), 90-102. https://doi.org/10.21796/JSE.2016.40.1.90
  6. 윤은정, 권성기, 박윤배(2015). 학습자 중심 수업 운영의 관점에서 초중등 교사와 학생이 본 현행 과학교과서의 문제점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9(3), 404-417.
  7. 윤현진, 김영준, 이광우, 전제철(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핵심 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8. 이재봉, 김용진, 백성혜, 이기영(2010). 과학과 교육내용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관련 쟁점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4(1), 140-154. https://doi.org/10.21796/JSE.2010.34.1.140
  9. 이종성(2001).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10. 이춘식(2014). 검인정 교과서의 선정 제도 개선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8(3), 561-578.
  11. 임청환, 채동현(2018). '지구와 달' 주제와 관련된 초등학교 2009 개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내용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3), 237-243.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3.237
  12. 채동현, 임성만, 이효녕, 한제준, 이상균, 김은정(2016). 학생 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개발 및 적용: '지구와 우주'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15-26.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15
  13. 한기애, 노석구(2003). 제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2(1), 51-64.
  14. 홍준의, 동효관, 김미경, 김율리, 박지환, 김진형, 최종훈(2016). 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 변화 유도를 위한 생물 교과서 개선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정책연구보고서.
  15. Coger, R. N., & De Silva, H. V. (1999). An integrated approach to teaching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to an interdisciplinary aud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5(4), 256-264.
  16.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17. Rillero, P. (2010). The rise and fall of science education: A content analysis of science in elementary reading textbooks of the 19th centur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Journal, 110(5), 277-286.
  18. Robertson, M., Line, M., Jones, S., & Thomas, S. (2000). International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s and perceptions: A case study using the Delphi technique.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19(1), 89-102. https://doi.org/10.1080/07294360050020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