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minal density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5초

교통량 과밀 도로주변의 토양과 가로수, 대기중 Pb, Cu, Zn 중금속 농도와 그 상관성에 관한 연구 (Pb, Cu, Zn Contaminants and Their Correlation of Soil, Leave and Bark of Ginkgo. B and Ambient Air Adjacent to a Heavy Traffic Road Side)

  • 박기학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25
    • /
    • 1992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eavy metals emitted by the motor vehicles with the heavy traffic road side environment (soil, leave, bark, ambient air). The Pb, Cu, Zn contents in road side soil sand leaves, barks from Ginkgo, biloba and ambient air adjacent to the heavy traffic road side from June to August, 1992 Suwon city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emission spectrophotome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igh levels of heavy metals concentration were Pb, at city-terminal in soil (186 $\mu$g/g), Cu, at city-terminal in soil (221 $\mu$g/g), Zn, at city-terminal in ambient air (252 $\mu$g/m$^{3}$). 2) The low leves of heavy metals concentration were Pb, at North-gate in ambient air (1.65$\mu$g/m$^{3}$), Cu, at North-gate in ambient air (4 $\mu$g/m$^{3}$), Zn, at North-gate in ambient air (15.31$\mu$g/m$^{3}$). 3)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Pb, Cu, Zn in road side soils, leaves and barks from Ginkgo, biloba, ambient air show high levels in turn, city4erminal, Guan Sean Dong, South gate, North gate. 4)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Pb, Cu, Zn) in soils, leaves, barks, ambient air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traffic volume of the sampling sites (r=0.64~0.96). To conclude that the high levels of Pb, Cu, Zn contamina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motor vehicles-borne pollutants and road side soils, trees, ambient air adjacent to a high density building area with low road coverage and heavy traffic volume were reflected strongly by the hazardous pollutants emitted by motor vehicles.

  • PDF

이동형 위성단말을 위한 20 GHz 대역 채널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nnel Characteristics at Around 20 GHz for Satellite On-The-Move Terminal)

  • 권건섭;허종완;황기민;임철민;유흥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23-234
    • /
    • 2014
  • 본 논문은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OTM(On-The-Move: 이동형) 위성단말이 운용되는 지역의 채널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다룬다. 무궁화 5호 위성의 20 GHz 대역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대전~대천까지 실 주행시험을 수행하였고, 측정 결과를 고속도로 환경과 국도 환경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계적 분석에는 확률밀도 함수와 Markov 모델을 이용하여 위성 채널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더불어 국도 환경과 고속도로 환경에서 수신 전력의 임계값 설정에 따른 ACD(Average Connection Duration), AFD(Average Fade Duration), LCR(Level Crossing Rate)을 각각 제시하고, 서로 비교하였다.

새로운 Over-the-Cell 배선시스템 (A New Over-the-Cell Routing System)

  • 이승호;정정화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135-143
    • /
    • 1990
  • 본 논문에서는 채널의 배선 밀도 뿐만 아니라 셀 영역 내의 배선 밀도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새로운 over-the-cell배선 시스템을 제안한다. over-the-cell 배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셀 영역에서의 배선 과정, 채널에서 배선될 터미널의 선택 과정, 그리고 채널 배선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셀 영역에서 배선할 신호선을 효율적으로 선택하기 위하여 intersection graph 상에 채널의 배선 밀도와 다른 신호선과 교차 관계를 고려한 웨이트를 부여한다. 선택된 신호선이 feedthrough나 셀 내부 로직을 형성하는 메탈층과 교차할 경우, maze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셀 영역에 배선한다. 또한 minimum weight spanning tree를 이용하여 채널에 배선할 터미널들을 효율적으로 선택하여 채널 밀도를 감소시킨다. 채널 배선은 HAN-LACADMG의 채널 배선기를 사용한다. Benchma가 데이타를 사용한 실험과 게이트 어레이 레이아웃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본 over-the-cell 배선 시스템의 효용성을 보인다.

  • PDF

잡곡 선별을 위한 물성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for Miscellaneous Cereal Crops Sorting)

  • 김훈;이효재;한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354-360
    • /
    • 2020
  • 본 연구는 잡곡(조, 기장, 수수)의 물리적 특징 중 기하학적 특성, 산물밀도 및 종말속도를 함수율별로 분석하여 미곡가공시설의 선별 장치를 이용하여 잡곡의 선별의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 기장 및 수수의 초기함수율은 16.3, 19.8, 16.5 %(w.b.)로 나타났다. 잡곡은 5수준으로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잡곡의 기하학적 특성 중 원형율을 제외하고 단축, 장축 및 면적은 함수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식 실험모델로 모두 표현이 가능하였다. 산물밀도는 조 및 기장은 함수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수의 경우는 함수율과 무관하였다. 종말속도는 함수율이 높을수록 종말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차식 실험모델로 표현이 가능하였다. 잡곡별 측정한 물리적 특성은 함수율의 변화에 따른 1차식 실험모델로 표현이 가능하였으며, 기존 미곡선별장치를 이용할 경우 종말속도를 이용하는 장치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기하하적 특성 및 산물밀도를 이용하는 공정은 잡곡에 따라 전용 공정의 설계가 별도로 필요하였다.

Light Trapping in Silicon Based Tandem Solar Cell: A Brief Review

  • Iftiquar, Sk Md;Park, Hyeongsik;Dao, Vinh Ai;Pham, Duy Phong;Yi, Junsin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1-7
    • /
    • 2016
  • Among the various types of solar cells, silicon based two terminal tandem solar cell is one of the most popular one. It is designed to split the absorption of incident AM1.5 solar radiation among two of its component cells, thereby widening the wavelength range of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spectra of the device, in comparison to that of a single junction solar cell. In order to improve the EQE spectra further and raise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J_{sc}$) an optimization of the tradeoff between the top and bottom cell is needed. In an optimized cell structure, the $J_{sc}$ and hence efficiency of the device can further be enhanced with the help of light trapping scheme. This can be achieved by texturing front and back surface as well as a back reflector of the device. In this brief review we highlight the development of light trapping in the silicon based tandem solar cell.

비소세포 폐암에서 아포프토시스와 종양내 미세 혈관 밀도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Apoptosis and Intratumoral Microvessel Densit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장인석;김종우;김진국;한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51-157
    • /
    • 1999
  • 배경: 많은 실험적인 연구에서 종양 조직 내의 아포프토시스와 미세 혈관의 생성은 서로 반비례한다고 보고된다. 비소세포 폐암 조직내에서 두 수치의 관계를 조사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조직내의 아포프토시스의 정도는 deoxynucleotidyl trasferase방법으로(Apop Tag In Situ Apoptosis Detection Kit, ONCOR) 측정하였고, 종양내 미세 혈관 밀도는 항 CD 31 항체를 이용하였다. 결과:아포프토시스 지수와 종양내 미세 혈관 밀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p = 0.047). 결론: 비소세포 폐암종에서 아포프토시스와 미세 혈관 생성의 정도는 서로 연관이 있다고에 할 수있다. 그리고 종양내의 신생 혈관의 생성이 종양내 아포프토시스의 억제에 기여한다고 유추 할 수 있다.

  • PDF

최대전력점추적방법과 외부저항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미생물연료 전지의 전력생산 최대화 (Improvement of Power Generation of Microbial Fuel Cells us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and Automatic Load Control Algorithm)

  • 송영은;김중래
    • KSBB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225-231
    • /
    • 2014
  • A microbial fuel cell (MFC) and bioelectrochemical systems are novel bioprocesses which employ exoelectrogenic biofilm on electrode as a biocatalyst for electricity generation and various useful chemical production. Previous reports show that electrogenic biofilms of MFCs are time varying systems and dynamically interactive with the electrically conductive media (carbon paper as terminal electron acceptor). It has been reported tha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method can automatically control load by algorithm so that increase power generation and columbic efficiency. In this study, we developed logic based control strategy for external load resistance by using $LabVIEW^{TM}$ which increases the power production with using flat-plate MFCs and MPPT circuit board. The flat-plate MFCs inoculated with anaerobic digester sludge were stabilized with fixed external resistance from $1000{\Omega}$ to $100{\Omega}$. Automatic load control with MPPT started load from $52{\Omega}$ during 120 hours of operation. MPPT control strategy increased approximately 2.7 times of power production and power density (1.95 mW and $13.02mW/m^3$) compared to the initial values before application of MPPT (0.72 mW and $4.79mW/m^3$).

Tellurium 기반 휘발성 문턱 스위칭 및 고집적 메모리용 선택소자 응용 연구 (Advanced Tellurium-Based Threshold Switching Devices for High-Density Memory Arrays)

  • 김승환;김창환;허남욱;서준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6권6호
    • /
    • pp.547-555
    • /
    • 2023
  • High-density crossbar arrays based on storage class memory (SCM) are ideally suited to handle an exponential increase in data storage and processing as a central hardware unit in the era of AI-based technologies. To achieve this, selector devices are required to be co-integrated with SCM to address the sneak-path current issue that indispensably arises in such crossbar-type architecture. In this perspective, we first summarize the current state of tellurium-based threshold-switching devices and recent advances in the material, processing, and device aspects. We thoroughly review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lemental tellurium (Te) and representative binary tellurides, their tailored deposition techniques, and operating mechanisms when implemented in two-terminal threshold switching devices. Lastly, we discuss the promising research direction of Te-based selectors and possible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advance.

숙신산 추출반응이 일어나는 단일 액적계에서의 비정상상태 물질 전달 (Unsteady Mass Transfer Around Single Droplet Accompanied by Interfacial Extraction Reaction of Succinic Acid)

  • 전상준;홍원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1021-1026
    • /
    • 2012
  • 단일 액적 시스템에서의 비정상상태 물질 전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단일 액적계를 위한 이성분계로는 옥탄올(연속상)-물(분산상) 시스템이 이용되었으며 동반되는 불균일 반응으로는 아민추출제(tri-n-octylamine,TOA)를 이용한 숙신산 추출 반응을 모델 시스템으로 선정하였다. 점도, 밀도, 용질의 분배계수, 연속상에서 하강하는 액적의 종말 속도, 용질과 추출제의 확산계수 등과 같은 시스템의 기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과 이론적 계산들이 수행되었다. 액적의 종말 속도는 숙신산 농도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이나 TOA가 없을 때는 숙신산 농도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TOA 농도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다. 액적의 낙하는 수직 낙하 경로를 기준으로 좌우로 진동하면서 움직이는 경향을 보였다. 낙하하는 액적에서의 물질 전달 관찰을 위해 물질 전달 셀을 제작하여 시간에 따른 액적 내의 평균 농도 변화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무차원 변수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50 g/L의 숙신산 농도 조건하에서 TOA 농도를 0.1과 0.5 mol/kg 으로 조절하였을 때, 전자의 경우에는 관찰 시간 범위 내에서 일정한 Sh 값을 유지하여 용질의 이동 방향으로의 농도 기울기가 감소함에 따라 훌럭스도 그에 비례하여 감소함을 알 수 있었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Sh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 계면에서의 숙신산 훌럭스 감소에 비해 농도기울기 감소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청폐사간탕(淸肺瀉肝湯)이 뇌해마 조직배양의 신경세포 자연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ungpaesagan-tang on Ischemic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 이민영;구자승;김성훈;김윤범;김선여;최현;손영주;정혁상;손낙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71-777
    • /
    • 2008
  • Chungpaesagan-tang which is used for treating patients of brain in cerebrovascular disease frequently from clinical doctor has not reported about the effect of neuronal aptosis caused of brain ischemi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 of Chungpaesagan-tang protecting neuronal cells from being damaged by brain ischemia through using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We caused ischemic damage to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by oxygen and glucose deprivation. And added Chungpaesagan-tang extract to cultures. thereafter we measured area percentage of propidium iodide (PI)-stained neuronal cell, lactate dehydrogenase (LDH) levels in culture media and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end labeling (TUNEL)-positive cells. Area percentage of PI-stained neuronal cells and count of TUNEL-positive cells in CA1 and DG area of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ertinent density level of Chungpaesagan-tang extract. LDH levels in culture media of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ertinent density level of Chungpaesagan-tang extract. Within pertinent density level, Chungpaesagan-tang has cell protection effect that prevents brain ischemia damaging neuronal cells and apoptosis increa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