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31초

개방형 혁신과 조직학습 특성이 벤처기업의 기술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pen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on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in Venture Business)

  • 서리빈;윤현덕
    • 지식경영연구
    • /
    • 제13권2호
    • /
    • pp.73-93
    • /
    • 2012
  • Although a wide range of theoretical researches have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in cooperative R&D network, the empirical researches to synthetically examine the role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pen innovation which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re not enough to meet academic and practical demand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pen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in venture business on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and establish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learning. For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s, made based on the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were collected from 274 Korean venture businesses whose managerial focus is on develop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relational dimensions of open innovation - network, intensity and trust shared by a firm with external R&D partners - as well as the internal organizational learning system and competence have positive influence on building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whose sub-variables are technological excellence, market growth potential and business feasibility. In addition, it is identified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has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These results imply that open innovation complements and expend the range of limited resources and the scope of innovation in technology-intens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esides, organizational learning activity reinforces the use of knowledge and resources, obtained from external R&D partner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detailed issues and discussion were made in the conclusion.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capability &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 Lim, Heon-Jin;Park, Hyun-Y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211-218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ynamic capacity and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of firm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we divide the dynamic capacity into the adaptive capacity, absorption capacity, and productive capacity. Among the 3,400 companies responding to the technical statistics of SMEs in 2011, we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2,807 except service industries. As a result, the absorptive capacity and productive capac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t the 99% level, whereas the adaptive capacit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t the 95% leve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absorption capacity and productive capacity of companies. Absorption capacity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secure sufficient R & D manpower and R & D cost to utilize internal knowledge as well as to bring outside knowledge into the capacity to assimilate and utilize external knowledge. Second, the ability to commercialize a product is a capability to commercialize a technology that has succeeded in development, showing that the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must have the capability of post-development commercialization as well as technology development. Finally it shows the negative effect on adaptation capac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Companies actively utilize external sources of information in order to respond to and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 strategic approach is needed to use external sources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resources. Especially as the use of external information resourc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resources increases.

국내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외부자원 활용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long the Stages of Growth in Korean Ventures)

  • 강원진;이병헌;오왕근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1호
    • /
    • pp.35-45
    • /
    • 2012
  • 본 연구는 2008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벤처기업의 외부자원 활용, 특히 외부협력 네트워크 활용, 정부정책자금 활용과 벤처캐피탈 자금 활용이 기술혁신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외부자원 활용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성장단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부자원 활용과 관련된 모든 변수 즉, 외부협력 네트워크 활용, 정부정책자금 활용, 벤처캐피탈 자금 활용은 기술혁신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벤처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추가 분석에서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외부자원 활용의 유형에 따라 성장단계 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

소규모 기업의 R&D투자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 기술혁신과 마케팅역량의 역할 검증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small companies: Verification of the rol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marketing capabilities)

  • 신진교;이상원;최재혁;여경환
    • 중소기업연구
    • /
    • 제43권1호
    • /
    • pp.85-105
    • /
    • 2021
  • 중소기업의 성장에 있어 R&D의 역할은 매우 크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있어서 R&D투자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 관계를 기술혁신이 매개하는지, 마케팅 역량은 기술혁신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테크노파크가 2013년부터 매년 조사하는 기업패널조사의 자료를 사용하여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로 대구경북 지역에 있는 349개 기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업의 종업원 30인에서 50인 규모가 주요한 분석대상 기업이었다. 먼저 R&D투자는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경영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기술혁신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혁신은 R&D투자와 경영성과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이는 소규모 중소기업의 경우, R&D투자로 기술혁신이 설사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그 기술혁신이 곧 경영성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기술혁신과 경영성과의 관계가 마케팅역량에 의해 달라지지 않았다. 이것은 소규모 중소기업에서의 기술혁신이 경영성과로 이어지기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관리요소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echnological Innovation Management Factors of SMEs)

  • 임재현;신진교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2호
    • /
    • pp.75-10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의 결정요인 도출 또는 기술혁신의 투입과 산출 간 관계에만 집중한 기존 연구의 한계, 기술혁신의 연결 메커니즘 연구의 필요성 제기 및 관련 연구들이 실태조사 수준에 머물러 있는 현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추진과정 차이 등에 따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관리요소에 관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자원기반 및 시스템 관점에서 주요 기술혁신 관리요소를 도출 분류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였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투입(R&D리더십, 혁신전략, R&D투자, R&D인적자원관리 및 외부네트워크), 과정(포트폴리오관리, 프로젝트관리 및 사업화) 및 산출(기술혁신) 간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대구지역 223개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투입요소 간 관계, 투입요소와 과정요소 간 관계, 과정요소 간 관계, 그리고 과정요소와 산출요소 간 관계가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투입요소와 과정요소 간 관계에서 R&D투자가 포트폴리오관리와 프로젝트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R&D투자가 독립적으로 과정요소에 영향을 미치기보다 우수한 인적자원, 유용한 정보와 기술이 뒷받침될 때 과정요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들이 연구모형을 활용하여 기술경영 상의 제약을 효율적으로 극복하고, 보다 높은 기술혁신 성과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정책기관들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관리요소에 관심을 갖고, 애로요인을 보완해 줌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정책지원이 가능할 것이다.

  • PDF

6차 산업에서 기업가 정신이 지속가능성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on Sustain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6th Industry)

  • 김준모;손은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73-183
    • /
    • 2024
  • Purpose: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mphasizing entrepreneurship and sustainability among managers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Industry 6.0, especially in situations of increasing environmental uncertainty. The research model reveals the important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sustain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rough empirical analysis, we sought to confirm that entrepreneurship in the 6th industry is related to technological innova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6th industry entrepreneurs, and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Results: Despite a non-significant direct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performance, a notable effect of sustainability on innovation performance was identified. This highlights the fact that entrepreneurship contributes to firm performance through innovation activities, especially in the form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and sustainability, highlights their interconnectedness and suggests that their inclusion in the same management activities improves performance.

How are the Firms' Innovative Activities and Credit Rating Signals Received in the Market?

  • Jeongbin Wha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37-44
    • /
    • 2023
  • Firm innovativeness and financing capacity are critical signals to stakeholders as they are key drivers of firm performance and competitiveness and indicate the firm's ability to fund its operations and growth initiatives. Based on signaling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gnaling effect of a firm's innovativeness and creditworthiness and examines its signaling effectiveness. Using Korean innovation data and Korea Investors Service financial data for nine years, the findings indicate that a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its credit ratings, while non-technological innovation has a positive impact. Furthermore, a firm's credit ratings positively impact its performance. The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signaling theory by exploring the signaling effect of a firm's innovativeness and creditworthiness. The findings provide insights for managers on how to send and monitor signals to stakeholders.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사업화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소재 뿌리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 of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n Corporate Performance; Focused on Corporate Ppuri Companies in the Metropolitan Area)

  • 서선영;윤선중;서종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5-252
    • /
    • 2022
  • 본 연구는 뿌리기업의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사업화 역량이 기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금속 중심 공정기술 분야와 신소재·플랫폼 공정기술 분야의 두 집단 간에 기업성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표본은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설문지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기초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두 집단 간 평균 차이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금속중심 공정기술 분야보다 신소재 플랫폼 공정기술 분야가 기업성과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혁신 체제, 기술축적 역량, 마케팅 역량, 생산화 역량이 비재무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연구개발 역량, 기술축적 역량, 제품화 역량, 마케팅 역량이 재무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정기술 플랫폼 분야가 비재무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도체 기업의 R&D역량과 시장지향성이 제품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D Capability and Market Orientation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 The Moderating Rol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 김대휘;김종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79-95
    • /
    • 2017
  • 본 연구는 급변하는 반도체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객가치 제고와 기술혁신 경쟁우위를 위해 R&D역량과 시장지향성이 제품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즉, 연구모형에서와 같이 독립변수인 R&D역량, 시장지향성이 기술혁신지향성이라는 조절변수를 통해 종속변수인 제품혁신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반도체 기업의 개발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118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기술혁신지향성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R&D역량 중 R&D집약도와 외부네트워크 역량이 높을수록 제품혁신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장지향성 중 고객지향성과 경쟁자지향성에 대하여 제품혁신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R&D역량만이 기술혁신지향성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반도체 기업의 제품혁신성과 창출을 위한 R&D역량과 시장지향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업의 제품혁신성과와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기술혁신지향성이 중요한 조절 요소임을 실증적으로 지지하는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수출마케팅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벤처 비즈니스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that Factors for Venture Success Have on Business Performance -Focus on Export Marketing-)

  • 김형준;김병찬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21-23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that factors for a successful venture have on business performance. To fulfill this goal, factors for a successful venture are presupposed as the four elements of business creator, technological innovation, type of strategy, and organization, while business performance is set as subordinate variable, with a view to creating a model and establishing a hypothesis for a positive analysis. Data collection for the posi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as for sampling, of the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greater metropolitan region and registered with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s of late December 2012, 98 companies have been selected for the final data. And I have come up with the two following results. First, factors for venture success have all proven to exercis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of all factors for venture success, business creator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exercise huge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as compared to the other factors. From these two conclusions, it is understood that to upgrade business performance of a venture, business creator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the other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