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eaching motivation

Search Result 52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물리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의 개발 및 적용: 자연계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Physics Self-Efficacy)

  • 문공주;문지영;신승희;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93-701
    • /
    • 2014
  • 사회적 인지 이론에 기반을 둔 자기효능감은 학습 맥락에서의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수행의 예측자로 강조되어 왔다. 따라서 물리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의 개발은 학생들의 물리학습 능력의 발달과정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 학습과 관련된 수행 능력에 대한 학생들의 믿음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을 서술하고, 한국 자연계 고등학생들의 물리 학습과 수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 자기효능감 척도(Physics Self-Efficacy Inventory: PSEI)는 Cronbach 알파 계수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하였다. 요인분석결과를 통해 PSEI가 네 개의 하위 영역(물리 개념의 이해와 적용, 물리 실험, 성취동기, 수학 능력)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한국 자연계 고등학생들이 네 영역 모두에서 비교적 높지 않은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개발된 측정 도구는 학생들의 물리 학습에 대한 동기, 자신감 등의 심리적 구인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반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PSEI를 사전-사후 연구에 활용하면 학생들에 대한 자신감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어, 이러한 정보를 반영하여 학생들의 물리 개념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방안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 신영준;곽영순;김희경;이수영;이성희;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35-346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과학긍정경험 지표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 도구의 개발 과정은 문헌 연구, 검사 도구 초안 개발, 예비검사 및 검사 도구 수정, 본 검사 실시 등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즉 문헌 연구 및 2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과학긍정경험 지표의 5가지 구성 요소(과학 학습 정서,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관련 진로 포부, 과학관련 태도)를 설정한 후, 4, 6, 8, 10학년 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검사와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검사 도구를 수정보완 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4, 6, 8, 10학년 학생 1,841명을 대상으로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및 확인적 요인 분석 검사 결과,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 도구의 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긍정경험의 규준 분포 및 과학긍정경험지수에서 학년, 성, 지역 규모, 과학관련 활동경험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가 과학교육 연구 및 학교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Modern Paradigm of Organization of the Management Mechanism by Innovative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Kubitsky, Serhii;Domina, Viktoriia;Mykhalchenko, Nataliia;Terenko, Olena;Mironets, Liudmyla;Kanishevska, Lyubov;Marszałek, Lid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141-148
    • /
    • 2022
  •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labor market today requires new conditions for unification and functioning, the introduction of an innovative cultur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construction of modern management of innovative development of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requires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planes on which its formation is based.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substantiate the modern paradigm of organizing the mechanism of managing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novation in education is represented not only by the final product of applying novelty in educational and managerial processes in order to qualitatively improve the subject and objects of management and obtain economic, social, scientific, technical, environmental and other effects, but also by the procedure for their constant updating. The classification of innovations in education is presented. Despite the positive developments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numerous problems remain in this area, which is discussed in the article. The concept of innovativ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described, which defines the prerequisites, goals, principles, tasks and mechanisms of university development for a long-term period and should be based on the following principles: scientific, flexible, efficient and comprehensive. The role of the motivational component of the mechanism of innovativ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clarified, which allows at the strategic level to create an innovative culture and motivation of innovative activity of each individual, to make a choice of rational directions for solving problems, at the tactical level - to form motives for innovative activity in the most effective directions, at the operational level - to monitor the formation of a system of motives and incentives, to adjust the directions of motivation. The necessity of the functional component of the mechanism, which consists in determining a set of steps and management decisions aimed at achieving certain goals of innovativ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proved. The monitoring component of the mechanism is aimed at developing a special system for collecting, processing, stor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about the stages of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prediction based on the objective data on the dynamics and main trends of its development, and elaboration of recommendations.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학습참여에 대한 학습동기 요인 연구 (Exploring the Motivational Factors Influencing on Learner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in e-Learning)

  • 박정현;박지수;손진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3권1호
    • /
    • pp.28-34
    • /
    • 2024
  • 이러닝은 학습자 자율에 의해 진행되므로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참여를 위한 학습동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가 증가하면서 이들의 학습참여와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동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학습동기와 학습참여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기대가치이론과 자기주도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학습동기의 구성요소(학습가치, 비용, 자기조절, 일정관리)가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닝 프로그램을 MoodleCloud에 구축하였고, 학습자는 설문에 답한 후 학습을 진행하였다. 학습 진행 과정에서 수집한 로그데이터로 산출한 학습참여점수와 설문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학습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은 학습가치와 일정관리이며, 학습가치에 대한 생각은 남녀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인학습자가 이러닝 학습 프로그램의 가치를 높게 인지할수록, 학습자 스스로 일정관리 능력이 있을수록 학습에 많이 참여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교수·학습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이러닝 중도 탈락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간호교육에서 교수매체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Instructional Media in Nursing Education)

  • 양광자;공은숙;김근곤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4-219
    • /
    • 1998
  • The use of instructional media in nursing education was investigated using a descriptive research methodology. Data were collected from 199 professors teaching in the areas of Fundamental Nursing (48 subjects), Adult Nursing(56 subjects), Pediatric Nursing(49 subjects), and Community Health Nursing(46 subjects). 120 professors were from 3-year college of nursing and 79 professors were from 4-year college of nursing,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NOVA with SPSS $PC^+$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attitude of the subjects toward the use of instructional media was positive(mean : 3.75). However, from the ANOVA result the subjects from 4-year college of nursing had more positive attitudes in the areas of media utilization and supply system. Most subjects had high interest in the areas of effectiveness of the media, and media literacy in using instructional media. 2) OHP(mean was 3.76) and VTR(mean was 3.36) were the most used instructional media in nursing education. These media were efficiently supplied by the school. However, other media like CD-ROM, Opaque Projector, and LCD or beam Projector were not sufficiently provided by the school. 3) The main reasons to use instructional media were that the use of media is effective to raise students' attention and learning motivation. 4) Insufficiency of the media and environment to use media were the causes of the lack of using instructional media. 5) The use of PC communication of internet, LCD or beam Projector, and Computer Graphics was low. The reasons were that the subjects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and skills to use these media, and there was lack of media or environment. 6) In general, environment to use media of the 3-year college of nursing was worse than that of 4-year college of nursin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use of media related to their position, and subject.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professors teaching nursing have positive attitudes to use instructional media but the lack of media supply or facility to use media limited the use of instructional media.

  • PDF

포트폴리오 자료 개발 및 수업 효과 분석 - 중학교 기술가정과 "반바지 만들기" 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Portfolio Material and Analysis of Instruction Effect - focusing on ${\ulcorner}Making\;Short\;Pants{\lrcorner}$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s in Middle School -)

  • 이현정;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3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평가의 대안으로 제안된 수행평가의 한 방법인 포트폴리오를 가정교과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습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바지 만들기' 단원에 총 13차시의 교수 학습지도안과 수업 활동지, 수업 자료, 평가 자료 등의 포트폴리오 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반바지 만들기' 단원에 포트폴리오 자료를 적응한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우월감, 자신감, 흥미, 목적의식, 성취동기, 주의집중, 자율학습, 교우관계 등의 향상에도 매우 효과적이었다. 셋째,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을 계속 진행하는 것에 대해 90% 이상의 학생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 이유로는 '공부에 도움이 된다, 수업시간에 집중이 잘 된다, 만족감과 자신감이 생긴다, 스스로 공부하는 능력이 길러진다'라는 의견이 있었고, 반면에 포트폴리오 적용 수업의 단점으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과제가 있어 부담스러웠다'라는 의견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중학교 기술 가정 의생활 단원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학습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PDF

수학 교과에서의 학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성취 실태 -국내 중등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The Current Situations of Enhanc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case of secondary school in Korea)

  • 최승현;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235-253
    • /
    • 2014
  • 우리나라의 경우, TIMSS와 PISA의 두 국제평가에서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정의적 영역의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권의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취약한 정의적 특성 요인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은 일일 것이다. 이러한 취지하에, 본 연구에서는 PISA와 TIMSS 두 국제평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의 성취 실태 및 사례를 파악하여 이의 실천적 함양 방안을 모색해 봄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수학 교과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 요인을 함양하기 위한 수업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실태를 진단하여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및 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함양을 위한 실태와 대안은 교육과정, 교수 학습 및 평가 부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정의적 특성 함양을 위한 지원 방안은 학교 환경을 중심으로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학병원종사자의 교육훈련 유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 (The Study on Education and Training Raise the Effectiveness for University Hospital Employee.)

  • 김영배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96-118
    • /
    • 2007
  • This study were tried to suggest basic materials for making education and training plan, and members of organization were researched about thinking of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iveness and perceptible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62 hospital employee selected from ten of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Incheon, and Kyung Gi which are doing an education and training, and conducted a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study and plan for raising the effectiveness were indicated following statements. Firstly, according to the general specific, training effectiveness was appeared similar. So, it requires suitable alternatives to make educational programs. Secondly, according to analysis of education and training necessity, achieving a goal for education and training have difference. it needs to be scientific analysis about necess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Thirdly, when contents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are satisfied to educatee and fit for them, thinking of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iveness is higher. Therefore, establishing the goal of education training is concrete, realistic, and measurable for increasing learning motivation. Next to, thinking of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iveness is higher, when education and training person in charge taught to educatee very well, and they were satisfied about teaching. Consequently, they who nourish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person in charge within company have to improve their ability. And then, when educatee fit for teaching technique and satisfied about it, thinking of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iveness is higher. So, education and training were tried to find many of technique for fitting the desire of educatee. Sixth, the more education and training environment is satisfactory, the more educatee have high thinking of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iveness. CEO in hospitals have to think about many-sided solution for employee. Seventh, the more education and training have correct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 the more educatee have high thinking of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iveness. Accordingly, hospital management should make up for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hen, thinking of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iveness is higher, when education and training measure an effect, and reflect to personnel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an employee's performance. It should be the feedback for using information which is planning education and training. In conclusion, when result of measure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reflect to make a education and training plan, thinking of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iveness is higher, and result of measure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reflect to make a education and training plan.

  • PDF

새로운 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I -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물리 탐구 실험 연수를 중심으로 - (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ew training program for science teacher - focused on computer simulation inquiry experiments in physics -)

  • 박종원;오희균;김두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53-66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Interactive Physics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수 프로그램의 목적에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활용 능력의 배양뿐 아니라, 물리개념의 이해와 탐구 기능의 습득, 나아가 과학적 탐구 학습 지도 능력의 향상이 포함되었다. 연수 프로그램은 15시간 동안 실시되었으며, 연수 후 설문지를 통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주요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1년 경력 이상의 많은 교사들도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2) 참여동기가 주로 내적인 동기였으며, 점수와 같은 외적인 동기는 없었다. (3) 연수의 내용 수준이 적절하였고, 연수자들이 모두 연수를 흥미로와 했다. 그러나 시간은 부족한 편이어서, 앞으로 2배 (30시간)정도로 확장할 필요가 있었다. (4) 강사의 전문성과 연수 환경에 대해서는 만족하였으며, 부분적으로 교육방법의 개선이나 교육자가 의사소통을 원활하지 위한 개선점이 발견되었다. (5) 연수자들은 모두 연수를 만족하였으며, 컴퓨터 활용 능력뿐 아니라, 개념이해나 탐구기능 습득, 나아가 탐구의 지도능력 함양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연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6)대부분의 교사들이 현장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고 싶고 활용할 계획이라고 응답하였다.

  • PDF

플립러닝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과학교육론 수업 적용 (The Application of Science Education Lecture for Pre-Service Teacher Using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Flipped Learning)

  • 전영주;윤마병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99-507
    • /
    • 2016
  • 예비과학교사 교육에서 강의식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들에게 적합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위하여 플립러닝 수업을 시도했다. 플립러닝 교수-학습 원리를 일반적인 수업모형(ADDIE)에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학습 자료를 개발했다. 개발된 플립러닝 학습 자료와 수업 설계에 대하여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방법과 타당도 검사를 통해 CVR .75 이상으로 검증 받았다. 플립러닝 수업자료를 과학교육론 강좌에 적용하여 교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흥미,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지만,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는 이전의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여 30% 이상 떨어졌고, 학업 성취도 향상에 대한 자기 확신도 부족했다. 성공적인 플립러닝 수업을 위해서는 교수자-학생 간 의사소통과 개별화 수업이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소인수 학급을 대상으로 해야하며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선행학습 동영상 자료의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