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professional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5초

European Integration Processe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Foreign Language Specialists in the Information Society

  • Lazarenko, Natalia;Zadorozhna, Olga;Prybora, Tetiana;Shevchuk, Аndrii;Sulym, Volodymyr;Rudnytska, Nataliy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spc호
    • /
    • pp.427-436
    • /
    • 2021
  • The article reveals and theoretically substantiates the trends of foreign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 training in universities of Ukraine in terms of European integration, which are systematized in three areas: macro-level (system of education), meso-level (universities) and micro-level (subjects of educational process). The article aims to substantiate the trends of foreign language teacher training in the context of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main directions of creative use of constructive ideas of European experience in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education. The article lights up the system for improving foreign language teacher training in universities, which is based on updated goals, content and approaches to the implementation of basic concepts, principles and features of teacher training in European experience, enable us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 training, its competitiveness in the European labor market. In the article developed the conceptual model of strategic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in the conditions of European integration. It is emphasized that information technologies provide great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kills and intellectual potential of future professionals. At present, the computer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first and most promising area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article offered directions of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al activity of university in the conditions of European integration. Diagnostic too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in terms of integration into the European educational space, individual rating and ranking of structural units of the university have been developed; main directions of activity of the laboratory of the skill of the teacher of higher school and methodical recommendations on the cre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work of scientific laboratories.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반영한 수학 수업평가 기준 탐색 (The Development of the Items on Mathematical Instructional Evaluation based on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 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507-523
    • /
    • 2020
  • 실천적 지식은 교사의 교육 활동을 일관성 있게 해주고 교사가 자신이 처한 교육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꺼내 쓸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의 전문성과도 무관하지 않으며, 실천적 지식은 오직 교사들이 실천하는 과정 중에 드러나는 암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신태현, 정광순, 2017). 그런데, 이로 인하여 교사의 수업 전문성은 따로 평가되기 어려우며 교사 자신이 전문성 판단의 주체가 됨을 인식해야 한다고 한다(정나라, 2015). 따라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교사 전문성과 수업의 질과 직결될 수 있으므로 이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지 하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또는 동료 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가능한 수학 수업의 평가 기준을 마련하되, 앞서 언급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반영한 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에 대한 학교도서관 전문인력의 인식에 관한 질적 탐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Makerspaces Operation among School Library Professionals)

  • 정영미;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37-16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에 대한 학교도서관 전문인력인 사서교사 및 사서의 인식과 의견에 관한 질적 분석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사서교사와 학교 사서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한 전화 면담을 실시하여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인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인지도, 메이커스페이스로의 전환과 메이커 교육의 필요성, 준비사항 및 시행의 어려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대체로 학교도서관 전문인력은 메이커스페이스가 도서관 서비스 확대와 이용자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학교도서관이 학교 내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센터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꽤 많은 사항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학교도서관 중심의 메이커 교육 활성화를 위한 발판이 되었으면 한다.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Teacher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신정애;김성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9-143
    • /
    • 2019
  •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받는 주제인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첫 단계로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요인을 선정하였고, 10년 이상의 현장경력과 유아교육 관련 분야 석사학위 이상을 가진 교사와 원장, 교수 22명을 대상으로 9개 영역, 20개 요인의 적합성을 평가받아 18개 요인을 선정하였다. 현장 전문가들이 선정한 요인에 해당하는 83문항을 개발하여 유아교육전문가 7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 검사를 받았고, 그들이 평정한 내용타당도 지수(CVI)에 기초하여 44문항을 추출하였다. 영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로부터 회수된 471부의 설문지를 기초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영유아 교사효능감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본 도구는 교수능력 16문항, 대인관계 4문항, 소명감 3문항, 3개 영역 2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도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여 관련 요인과의 관계를 밝힘으로 후속연구 발전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환자안전 교육과정 개발 사례 연구 (A Pilot Study on Developing a Patient Safety Curriculum Using the Consensus Workshop Method)

  • 이승희;신좌섭;허남희;윤현배
    • 의학교육논단
    • /
    • 제15권3호
    • /
    • pp.151-158
    • /
    • 2013
  • Patient safety is achieved through systematic improvement based on the knowledge and willingness of medical professionals. A systematic longitudinal curriculum for patient safety is essential to prepare medical students and professional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our experience with a 'workshop for developing a patient safety curriculum'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previous studies. The workshop comprising 15 medical professors and patient safety experts met for 2 days. The Consensus Workshop method was applied, collecting opinions from all of the members and reaching consensus through the following stages: context, brainstorm, cluster, name, and resolve. The patient safety curriculum was developed by this method, covering patient safety topics and issues, and teaching and assessment methods. A total of 7 topics were extracted, 'activities for patient safety, concepts of patient safety, leadership and teamwork, error disclosure, self-management, patient education, policies.' Issues,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methods were developed for each topic. The patient safety curriculum developed from the workshop was similar to previous curricula developed by other institutions and medical schools. The Consensus Workshop method proved to be an effective approach to developing a patient safety curriculum.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Defin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Ways of Raising Teaching Professionalism as Examined b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27-53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6명의 교사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 교과교육학지식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부족한 부분, 즉 교직이 완전한 전문직으로 거듭나기 위해 보완해야할 부분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지원 방안을 고찰하였다. 동료교사들로부터 추천을 받은 6명의 교사들은 과학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과학 내용 지식,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 학생들에 대한 지식, 전문성 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자세 등이라고 설명하였다. 이들은 전문직으로서 교사의 고유한 지식 영역에 해당되는 교과교육학지식, 즉 사회의 일반 구성원들이 교사가 소유하고 있기를 기대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을 학생 이해 자체를 목적으로 한 교사의 체화된 지식이며, 과학교사들이 나름대로 지니고 있는 교과교육학지식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알아듣게 가르칠 것인가들 오랫동안 고민한 결과 축적된 노하우라고 설명하였다. 과학교사들은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문제점이나 부족한 부분으로 책임을 묻지 않는 시스템, 지속적인 자기 개발에 대한 외부의 인정과 요구 결여, 동료의식의 부족, 자신감 부족에서 비롯된 폐쇄성, 업무량 과다. 관리자의 경영 능력이나 목표 의식 부재, 교사 자격시험의 신뢰도와 타당도 부족, 교직의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나 처우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학교사의 갈루아 이론 이해를 위한 자립연수자료 개발 (A Development of Self Learning Material for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Galois Theory)

  • 신현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279-290
    • /
    • 2017
  • 본 연구는 교사양성 과정에서 갈루아 이론에 관련된 군, 체, 벡터공간 등 대수적 구조를 배운 바 있으나 그러한 구조가 다항식의 가해성, 더 나아가 학교수학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자립 연수를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자료를 개발하여 제시한다. 여기서 말하는 자립 연수에서는 교사 스스로 연수를 주도하지만 연수 도중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한두 차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 이 글에서 두 표현 '다항식 f(x)의 풀이'와 '방정식 f(x)=0의 풀이'는 같은 의미이고 '교사'는 현직 수학교사를 뜻한다.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방향 탐색 (Suggestions for Invention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rofessionals Related to the Invention Gifted Education)

  • 박기문;이규녀;이병욱;나영민;이경표;손다미;이상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21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영재교육의 문제점 개선과 확대 발전하기 위하여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명영재교육 체제와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발명영재학급 또는 영재교육원 소속의 발명영재 교원과 발명영재 관련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만족도와 발전방안 등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보통(M=3.0)이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교육 자료', '교원대상 연수프로그램', '지원기관의 인 물적 지원체제' 분야에서는 다소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는 발명영재교육의 발전과 효율성을 위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구심점 역할의 연구 전문기관을 지정 또는 설립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 결과, 발명영재교육 전문 연구기관에 대한 필요성과 기대감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특히 전문 연구기관의 중점 요구분야는 '영재교육 방법 및 자료의 연구 개발', '교원 연수 자료의 연구 개발 및 연수 실시'이다. 셋째,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은 현재 발명영재교육을 수혜하는 학생들이 9개의 발명영재의 특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느냐 하는 질문에 대하여 발명 지식과 사고 영역의 '발명 지식'과 발명 태도 영역의 '기업가 정신' 은 다소 낮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발명영재 선발 모형에 대한 검토뿐만 아니라 낮게 나타난 특성을 배양할 수 있는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어린이의 지방 섭취 저감화를 위한 교육 콘텐츠 및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s and Textbooks for the Education to Reduce Elementary Students' Fat Intake)

  • 김유경;김주영;차명화;이경애;이성숙;이경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8-16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children's fat intake and to establish healthy dietary lifestyles. To achieve these goals, we searched,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fat education, based on which the research personnel-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in nutrition and child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discussed to figure out major topics, objectives, and detailed contents and activities appropriate for fat intake reduction. We also organized an advisory committee composed of 15 professionals in related fields to discuss the adequacy and validity of the specific contents. Finally, we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contents and developed children'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Considering the different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of junior and senior elementary students we developed two different textbooks for each of them which are easy to read and understand, fun to play with lots of activities, and designed to practice into daily life. The contents cover three major topics-the concept of lipid, lipid in food, lipid in life and are composed of 6 units in total. To help teachers understand and and to instruct, teacher's guidebooks contain an overview of the education, specific information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each class. We developed these education materials with the aim of lowering children's fat consumption and eventually promoting their health welfare; hopefully we expect these materials would be useful for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field.

어린이의 나트륨 섭취 저감화를 위한 교육 콘텐츠 및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s and Textbooks for the Education to Reduce Elementary Students' Natrium Intake)

  • 조명기;이경혜;이경애;이성숙;김유경;허은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6호
    • /
    • pp.567-576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sodium (Na) intake and to establish healthy dietary lifestyles of children. To achieve these goals, we searched,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Na education, based on which the research personnel-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in nutrition and child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scussed to figure out major topics, objectives, and detailed contents and activities appropriate for Na intake reduction. Also a survey was done on the sodium intake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ementary students. We also organized an advisory committee composed of 15 professionals in related fields to discuss the adequacy and validity of the specific contents. Finally, we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contents and developed children'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Considering the different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of junior and senior elementary students, we developed two different textbooks for each of them which are easy to read and understand, fun to play with lots of activities, and designed to practice into daily life. The contents cover three major topics-the concept of Na, Na in food, Na in life and are composed of 6 units in total. To help teachers understand and instruct, teacher's guidebook contains an overview of the education, specific information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each class. We developed these education materials with the aim of lowering children's Na consumption and eventually promoting their health welfare; hopefully we expect these materials would be useful for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