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preparation program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초

중등예비음악교사의 교직에 대한 염려 조사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Concerns About Music Teaching and Learning)

  • 신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5권1호
    • /
    • pp.1-23
    • /
    • 2018
  • 최근 들어 교사 성장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염려에 많은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직에 대한 염려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전반적인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가? (2)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단계에 따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이전 음악교수 경험에 따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재학중인 93명의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예비음악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음악교수와 학생에 대한 영향에 대해 가장 높은 염려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교육 단계가 높아질수록 예비음악교사들의 자신에 대한 염려는 줄어들고 음악교수와 학생에 대한 영향과 관련된 염려는 더 많이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 수업이나 돌봄 교실을 경험한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은 이를 경험하지 않은 참여자들보다 낮은 염려의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교직에 대한 세부적인 염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사교육기관의 교과과정 개선의 필요성과 학교 현장과의 협력을 통해 교사교육기간 동안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다양한 교수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An In-Depth Understanding of Five Asian English Teachers' Beliefs

  • Shin, Soo-Jeong
    • 영어어문교육
    • /
    • 제8권1호
    • /
    • pp.103-124
    • /
    • 2002
  • For the current study, five Asian English teachers participated in their case studies to investigat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and unstructured interviews, written documents, observations of teacher-participants' micro teaching, a research methodology journal and a self-reflection journal. This study described the beliefs that Asian English teachers brought to th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examined to see if these teacher-participants who were involved in case studies perceived change in their beliefs. The study found that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greatly shaped the way teacher-participants' beliefs about the way learning and teaching ought to be. In addition, early experiences of learning and teaching influenced teacher-participants' change in beliefs.

  • PDF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teracy about Software Education Contents, In preparation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Kim, Dong Man;Lee, Tae 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69-175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direction for effective SW education. In an effort to better understand the efficient SW training contents and methods for teachers, 200 of elementary teachers had been selected from different places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1)it should be operated by focusing on the training of female teachers, especially, strengthening the contents of SW ethics. 2)It will need to actively operate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to foster the necessary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gram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work in big cities. 3)It need to create a training program for expanding the SW studying groups. 4)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courses in the development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s, the SW ethics contents need to be coordinated with the link the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graming.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the efficient methods to design the future SW training programs.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이 경험하는 임용시험 중도포기 및 탈락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An Ecological Approach to Physical Education Students' Drop-out and Opt-out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bout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of Secondary School)

  • 조기범;김승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델을 바탕으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이 임용고사 시험에 중도포기하거나 탈락할 수 있는 요소들을 탐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으로 학업중인 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요소 측면으로는 학업에 영향을 끼치는 현재 직업을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어떻게 긍정적으로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임용고사 준비를 위한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결정 할 필요가 있었다. 개인 간 요소 측면으로는 주관적 규범에 의해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개인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성이 있었다. 조직 간 요소 측면으로는 학비지원의 미흡과 학업을 위한 부적합한 장소가 강조되었으며 실기 지도 강사 혹은 임용시험 준비반과 같이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했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임용시험 대비 통합시스템'에 대해 소개하였다.

문제 만들기를 통해 알아본 교사의 내용지식 사용에 대한 결정과 수행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Teachers' Decision and Enactment of Their Content Knowledge Assessed Through Problem Posing - A U.S. Case)

  • 노지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153-16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가 문제 만들기 과제를 위해 분수곱셈지식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이해의 정도와 유형을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대학 교사교육과정의 입문단계와 종료단계에 있는 총 164명의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분수곱셈에 대한 문장제 문제를 작성하게 하고, 이를 수학적 정교성과 작성한 문제에 사용한 분수곱셈의 의미의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교육과정 입문단계와 종료단계의 예비교사 그룹 간의 차이점, 각 그룹, 그리고 전체적인 경향에 대해 기술하였고, 분수곱셈 지도와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을 통해 알아본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효과 및 과제: 학생들의 변하지 않는 신념들 (Impacts and Task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vealed by Preservice Teachers: Students' Intact Beliefs)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9-323
    • /
    • 2002
  • 본 정성적 연구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기초를 이루는 존재론 및 인식론적 관점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수준을 네 번의 심충인터뷰를 통하여 추적 조사한 것이다. 보다 큰 연구에 참가한 16명의 예비교사들 가운데 5명이 유의미한 존재론 및 인식론적 변화를 보이고, 11명은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교사양성 교육과정 동안, 철학적 신념에 있어서 변화를 보이지 않은 이들 11명의 교사들에게 초점을 두었다. 과학적 실재론적 신념을 일관되게 유지한 10명의 교사들은 하나의 합성사례로서 제시되었다(Young의 사례). 나머지 한 명은 예외적인 사례로서, 본 연구의 시작부터 관념론과 상대주의 인식론적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하여 또 하나의 사례분석의 대상이 되었다(Ben의 사례). 이들 사례들은 각 개인의 깊이 새겨진 존재론이나 인식론적 신념은 굉장히 변하기 어렵다는 기존 주장을 확증한다. 본 연구에서 예비교사들은 그들의 신념이 변하지 않은 이유들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그들의 이상적인 교수방법들의 현장 적용과정에서 경험하는 장애요소들과 교사양성 프로그램이 예비교사들의 교수론적 신념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이론적 교육과정과 예비교사들의 현장경험이 예비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성장과정에 주는 장점과 영향력들이 풍부한 증거자료와 함께 진술되었다. 교사 교육자들 및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수업실제에 주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현장에 기초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절실함과 노련하고 모범적인 현장교사들을 교사양성 및 교사 재교육에서 교사교육자들로서 권한을 부여해 주어야 함을 강조한다.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in Science Lessons)

  • 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74-8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an implication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by exploring the difficultie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ve with their science lessons. 37 pre-service teachers were requested to write an anecdote about their science lessons during their 4 week practicum. By analyzing these anecdotes, the difficulties were grouped into several categories by the researcher, and then reconfirm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themselve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far more difficulties with practical work (cases: 48), than with content knowledge teaching (cases: 17). Among practical work related difficulties, the most frequent cases were: 1) when they have unexpected result different from scientific theory (cases: 10), 2) when they teach process skill and usage of lab equipments (cases: 8), and 3) when they do not have enough preparation for practical work (cases: 7). Unlike the result of preceding research o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there was no affective aspect problems. These difficulties also can be divided into 'problems' and 'dilemmas'. Whereas 'problems' can be settled by removing obstacles, 'dilemmas', a conflict-filled situation, require choices between competing values or aims. The use of scientific language, the decision on the level and amount of knowledge they teach, and disposal of unexpected experiment results caused such dilemmas in science lessons. The research results imply practical work should be more strengthened in th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both teacher educators and pre-servic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at practical teaching is a complex enterprise accompanying some 'dilemmas'. The role of science teachers as managers of dilemmas could be considered.

  • PDF

일부 초등학교 교사의 학생 칫솔질 실천에 대한 의견조사 (Survey on toothbrushung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eachers)

  • 황윤숙;김경미;임미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65-473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paration of toothbrushing and the opinion of teachers in the practice of toothbrush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s. Methods : The subjects were 85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was used to obtain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2$-test. Results :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toothbrushing preparation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priority in this study. The barriers to school-based toothbrushing guideance were limit of education time and shortage of space. School-based toothbrushing was related to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in the meanwhile school without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needed the toothbrushing facilities. About 87.5% of the schools had not equipped with toothbrushing facilities. If the facilities were given, 82.5% of the school would implement the program. Conclusions : The elementary school is the place where the lifelong oral health program is given to the students, so it is very important to promote the school-based toothbtushing nationwide in the future.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직무체험프로그램의 의미 탐색 (Exploring a Chang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aning Through a Field-Based Job Experience Program)

  • 심성희;장석경;나영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30-238
    • /
    • 2018
  •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의 직무체험을 통해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사의 직업에 대한 기대 및 성취에 관한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P시에 위치한 3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유아교육과 1학년 15명이다. 4주 동안 실시된 직무체험프로그램을 마친 후에 예비유아교사에게 나타난 성취에 대한 의미를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직무체험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는 수업준비, 수업실행, 일상생활지도 시 교사 역할의 실제를 알고 배우고자 하는 것이었다. 둘째, 실제로 직무체험프로그램에서 경험한 것으로는 수업준비와 실행, 일상생활지도 외에도 유아의 발달적 특징, 개인차, 놀이방식의 차이 등을 보고 유아관련 지식을 체험했으며, 학급운영과 부모상담 및 돌봄에 이르기까지 유아교사직의 업무가 생각보다 많은 일들을 감당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직무체험프로그램을 마친 후 성취한 것에 대해서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직의 실제를 체험함으로써 유아와의 행복한 시간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유아교사의 업무가 과중함을 알게 되었기에 스스로 보람을 느끼고 성공적으로 해내기 위해서는 체력과 정신력을 기르고 밝고 긍정적이면서도 솔선수범이 되는 교사의 태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고 학업 뿐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함을 깨달았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교사직에 대한 확신을 갖고 교사직과 관련된 다양한 직무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현장에서 직무체험제공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예비화학교사의 TPACK 발달을 위한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방해 요인 분석 (The Effect and Disturbance Factors of Practical-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TPACK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 정미선;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305-32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화학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전문성(TPACK)을 향상시키고자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TPACK 발달 측정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 및 방해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충청북도에 소재한 K 교사양성대학교에서 화학교육강좌를 수강하는 화학교육과 3학년 20명과 4학년 2명이었다. 개발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은 준비, 리허설, 실습, 성찰의 네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준비, 리허설, 성찰 단계에서는 연구자와 동료의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구성적 학습 활동"에서는 교육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제해결"에서는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성적 학습 활동"에서는 사전과 사후에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0수준으로, 테크놀로지를 단순히 교과 내용 설명이나 오개념 개선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예비교사가 일방적으로 제공하고, 학습자는 이를 통해 수동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도록 계획하였다. 그러나 "문제해결"의 경우 사전에 0수준이었던 예비교사들이 1수준으로 변화하였다. 즉,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지 않고 단순 기억에 의존해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수업을 구상하였던 학생들의 대부분이 교사가 제시한 테크놀로지의 관찰을 통해 다양한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을 계획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학습자가 스스로 테크놀로지를 선택하고 다양하게 조작하면서 다양한 문제를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자발적 학습을 구성하는 2수준에 해당하는 예비교사들은 많지 않았다. 또한, 예비화학교사들이 TPACK 발달에 대한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외적요인으로는 TPACK 구현을 위한 교실지원환경 미흡, 교육 계획을 위한 시간 부족, 부적절한 기술 역량 등이 있었으며, 내적요인으로는 전통적 교육관, 그리고 테크놀로지에 대한 부정적 태도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그 중에서 부적절한 기술 역량을 외적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비율이 높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을 위해 TK를 통해 TPACK 발달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TPACK 발달 유형 중 유형 2나 유형 3에 해당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