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job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5초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 job str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 임난주;김안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72-498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자료처리를 SPSS 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을 예측하는 유용한 변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과 업무과부하로 인해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며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근무환경과, 직무자체의 특성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부분매개효과를 거의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매개변인의 효과가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와 문항의 중요도 및 수행도에 대한 사서교사들의 인식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ir Roles Inherent in the Indicators and Items for Teacher Evaluation)

  • 박지혜;최희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93-111
    • /
    • 2009
  • 이 연구는 2009년에 개발되어 현재 선도학교를 통해 활용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및 문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평가지표 및 문항의 중요도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이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각 문항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평가지표 및 문항에서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현재의 평가문항에 다양한 독서교육활동 실시여부에 대한 항목 추가, 자료조직 및 관리 관련 평가문항 수정의 필요성, 학생지도 평가영역 명칭에 대한 제고 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활용되고 있는 사서교사 평가지표와 문항이 대체로 타당하기는 하지만 일부분에서 수정 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PDF

유아교사의 일터영성 척도(WSSECT)의 타당화 : 행복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판별력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WSSEC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 이경화;임정수;정혜영;심은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399-413
    • /
    • 2015
  •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WSSECT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using discriminant analysi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The data from 504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t-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higher group in workplace spirituality significantly gets more scores of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than the lower group, 2) 4 factors of the WSSECT have discriminant power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3) 2 factors ('meaning for life' and 'calling for ECE teacher job') of the WSSECT are effective to discriminat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Further statistical works are supplementary needed to validate the WSSECT and to increase its'feasibility.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채진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223-241
    • /
    • 2013
  • 이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영유아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 가운데 직무특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훈육에 대한 교사 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직접적 대처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가운데 긍정적인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능력은 영유아교사직의 직무특성,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의사결정참여 능력은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근무환경, 복리 및 보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가운데 직접적인 대처 방식이 직무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적, 심리적, 파괴적인 대처 방식은 각각 직무특성,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복리 및 보수에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관련 변인: 직업 선택 동기, 직무 환경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Relevant Factors in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s of the Child in Charge of the House: Motivation for Selecting Child-Care Profession, Job Environment,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박형경;문혁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221-232
    • /
    • 2017
  • This study analyzes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child-care profession, job environment,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sociated with child-care center teacher's (lead teacher and head teacher) role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6 teachers (lead teacher and head teacher) who worked in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 23.0 program using t-test, F-test, analysis of variance, post-hoc analysis (Dunca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nquired on if the child-care center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year) influence the child-care center teacher's role performance. Consequent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overall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but not in the child-care center teacher's age, academic ability, and licensing. Second,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profession (teaching aptitude, teacher's desire for social respect, and possibility of self-realization), job environment, and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role performance.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profession (without motiv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role performance. Third, the strongest predictors of 'overall role performance' were teaching aptitude, variable of motivation for selecting child-care profession, and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variable.

도시와 농촌지역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 Urban vs. Rural Areas -)

  • 장영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3-5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urban and rural day 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4 teachers in urban(n=68) and rural(n=66) areas. Participants completed an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The statistics used for this data were t-test, one-way ANOVA (Duncan'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the job itself, human relationships, and working environmen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in urban day care centers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related variables: age of teacher,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educational career, capacity, number of classes, class size, working hours, and the age of the children in clas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in rural day care centers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the above variables. The important factors on predi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urban day care teachers were found to be the age of teachers, educational career, education level, and number of classes. The important factors for predi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rural day care center teachers were found to be the age of teacher, educational career, education level, number of classes and working hours.

  • PDF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ir Life Satisfaction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 문명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26-13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강원도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직의식, 발전성, 혁신성, 자율성, 동료애, 보상이 높을수록 교사- 유아의 상호작용도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부담이 높을수록 언어적 상호작용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도 높게 나타났다. 즉,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변인과 삶의 만족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과 정적인 유의한 관계가 있다. 셋째, 교사- 유아 상호작용 전체에 대한 예언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삶의 만족도(β= .24), 발전성(β= .22), 동료애(β= .16) 순이고, 그 설명변량은 25%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평가의 주체 및 영역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원들의 인식 (A study of teacher's recognition on teacher evaluation system)

  • 김달효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508-522
    • /
    • 2009
  • A teacher evaluation system is a hot issue of educational policy these days. Many teachers have opposed teacher evaluation system, but government and many parents have agreed teacher evaluation system. And some people agree teacher evaluation system, but some people disagree teacher evaluation system. The approvers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insist that teacher evaluation system can provide the quality of instruction, satisfaction of schooling, and nation's competition capacity. But opponents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insist that teacher evaluation system can provide dissatisfaction of teachers' job, excessive competition among teachers, and the failure of educational policy. So, comprehensive studies about teacher evaluation system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recognition about teacher evaluation system. The tool of this study was used questionnaire which was made by researcher of this study. This study indicates as follows. Many teachers opposed teacher evaluation system, because of defici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Also, many teachers indicated instruction 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standard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And many teachers predicted the dissatisfaction of teachers' job and excessive competition among teachers as a result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사립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Job Stress)

  • 최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9-57
    • /
    • 2015
  •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도의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16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사효능감 질문지(신세니, 2001), 의사소통능력 질문지(최일선, 조운주, 2010)와 직무스트레스 질문지(임진형, 2000)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립유치원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 전체뿐만 아니라 그 하위요인 모두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의 경우 개인 관련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립유치원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직무스트레스 전체와 하위변인인 원아들과의 활동, 업무관련, 행정적 지원, 대인관련, 경제적 안정, 그리고 개인과 관련된 스트레스에 모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내에 교사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과 의사소통능력을 발휘하고 직무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과내용을 구성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육교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과 직무스트레스 (A Study o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Day Care Teachers)

  • 구은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711-72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d child care teachers' health state and a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job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1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They responded to 'health state open ended questi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ale', and 'job stress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SD), frequencies, t-test, Pearson's correlation were run by using SPSS WIN computer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uncomfortable symptoms of child care teacher's physical health state was respiratory organs and the main cause was classroom ventilation and dust. The most uncomfortable symptoms of child care teacher's mental health state was tension and the main cause was children's safety. Second, the mean scores of the variables were as follows :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2.54. The highest sub factor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positive self recognition' and the lowest one was 'exercising'. The mean score of job stress was 2.80 and the highest sub factor was 'administration services'. They desire for a healthy life, but in reality,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current health state and they are not able to practice certain actions actively to promote their health. Third,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ducing day care teacher's job stress,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day care teacher's health and improving day 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