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job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5초

보육교사의 직장 내 무례, 소진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place Incivility, Burnout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in Nursery Teachers)

  • 신건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371-381
    • /
    • 2016
  •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장 내 무례, 소진, 그리고 교사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371명을 대상으로 WIS, MBI, TES, 그리고 JSS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례는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보수승진을 제외한 모든 하위 요인과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둘째, 소진은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직무환경을 제외한 모든 하위 요인과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직무환경을 제외하고 모든 하위 요인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넷째,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에 대한 영향에서 무례가 소진이나 교사효능감보다 직무만족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의 선행변수로 직장 내 무례와 같은 인간관계변인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치원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 개념 요인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on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 조부경;고영미;박근희
    • 아동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1-94
    • /
    • 2003
  •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345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struments were 2 questionnaires: The Tools for Measuring kindergarten Teachers' Self-concept, and the Survey of Kindergarten Teacher Job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self-concep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The most important sub-factor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was self-concept regarding professional and social posi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 or organizational climate improving teachers' positive self-concept would be needed.

  • PDF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중심으로) (Impact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eacher efficacy and Nursery School Teacher Job Stress (Focused on Ulsan Ulju))

  • 이언영;조성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52-16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 ${\bigcirc}$군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237명이며. 2014년 9월 7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효능감이 높은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시사점은 어린이집 교사의 근무 환경 개선 및 교사 복지향상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분산적 지도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시민행동과 교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 (On the Effect of Dispersed Leadership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Through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 Empowerment)

  • 최상국;황찬규;권두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09-122
    • /
    • 2019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examine how vocational skill development teachers' distributed leadership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throug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 empowerment.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among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teachers, the unemployed and teachers who have used a government-subsidized education card. First, the study revealed that vis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 empowerment. Second, leader-plu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 empowerment. Third, situat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 empowerment. Fourth,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 empowerment. Fifth, a significant influence was found between teacher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astl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eacher empowermen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Teaching Efficacy)

  • 강이슬;김민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5-352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내적 교육신념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및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아들과의 활동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교육수준, 월 급여,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서교사의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The Relation of the Awareness of Teacher Librarians about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and Their Job Satisfaction)

  • 이승길;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9-18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전국의 초중고 사서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참여 인원은 총 371명이다. 연구 결과 사서교사의 등급은 S등급 4.1%, A등급 27.5%, B등급 62.5%, 성과급 제외 5.9%의 비율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의 성과급 등급이 높을수록 성과급제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평가 기준의 적절성, 평가 절차 및 결과의 공정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서교사의 성과급 등급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요소인 업무 관계, 인사 및 승진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원 성과급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원 성과급제에서 사서교사 평가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사의 근골격계 질환 및 직무 스트레스의 분석을 통한 직무 유해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Hazard Factors through Analysi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Job Stress of Teachers)

  • 김승연;정명진;서예슬;윤은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163-17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업성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을 규명하고, 직무형태에 따라 유해요인 제거에 관한 해결책 도모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함이다. 서울 소재 내 초·고등학교 교사 총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평균 RULA점수는 4.2점이었으며, 근골격계 질환을 호소하지 않는 교사의 RULA 평균 점수는 4.3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원의 직무스트레스 평균 점수는 58.9점으로, 요인별 스트레스 점수의 경우, 학생지도, 업무의 과부담, 권위상실, 조직구조와 교육과정, 대우 및 복지, 인간관계 순이었다. 교사의 RULA와 직무스트레스 점수를 분석한 결과, 직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과 직무 스트레스 간 상관성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 검증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이경숙;채진영;김명식;박진아;이정민
    • 아동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45-158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among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586 ECEC teachers from 99 centers in Seoul, Gyeonggi-do, Daejeon,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ies, percentages, and Pearson's correlations using SPSS 21.0 (IBM Co., Armonk, NY).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Ping's (1996) two-step approach was used via AMOS 20.0 (IBM Co., Armonk, NY).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s of ECEC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showed above the average, and the mean score of emotional dysregulation was the nearly average. Second, fit statistic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as revised, provided an acceptable fit to the sample data. This proposed model showed that the emotional dysregulation of teachers in ECEC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ECEC teachers showed the higher level of self-trust and self-confidence than average regarding their own work, and suffered from the work overload. Also, the positive and supportive working environment would help the ECEC teachers to reduce their emotional dysregul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the ECEC teachers'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workshop or counselling programs need to be provided to teachers in order to help control their emotion dysregulation and reduce their job stress.

교수효능감과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교사들을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Happiness - By Teachers' Perspectives)

  • 허무열;신혜경;전미란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53-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효능감과 관련된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구글 온라인 설문을 제작하였고 교사연수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초·중·고 교사들 249명의 자료를 기술통계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2.0 과 Amos 21.0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사회적지지는 직무만족과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직무만족이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지만,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행복감으로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교사효능감으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 간 영향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공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교사 직무만족도 및 영아기질과 교사-영아 관계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Infant Temperament Associated with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the 2-year-olds class)

  • 이기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9-107
    • /
    • 2007
  • 본 연구는 영아 보육시설에서의 교사 직무만족도 및 영아 기질에 따라 교사-영아 관계가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영아 보육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주지역의 27개 보육시설에서 영아반 교사 50명과 교사가 담당하는 영아 175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연령과 근무하는 시설유형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원장과의 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높은 교사가 연령이 낮은 교사들보다 더 높았고, 반면, 보수에 대한 만족도는 연령이 낮은 교사들이 높은 교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아 성별과 월령에 따른 영아 기질은 차이가 없었다. 교사-영아관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어서 여아가 남아의 경우보다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어린 영아들이 교사와 더욱 의존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직무만족도는 교사-영아 관계에서 친밀성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친밀한 교사-영아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과 의존성의 부정적인 교사-영아 관계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영아 기질에 따른 교사-영아 관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질은 교사-영아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