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in charge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1초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로봇의 교육적 활용 방안 (A Method on Educational Use of Robot for Enhancement of Problem-solving Ability)

  • 정분임;문외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41-351
    • /
    • 2006
  • 로봇 교육은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력 향상에 적합한 학습 도구이나, 초등학교에서 효율적인 로봇 교육을 위해서 개발된 교육과정이나 교재 그리고 전문교사를 위한 연구 자료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논리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도구로서 로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초등학교에서 로봇과 관련된 내용을 교육과정에 도입하기 위하여 논의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조사 분석하고, 현재 개발되어 있는 교육용 로봇의 종류와 특성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재량활동 시간 등을 통해 로봇 교육을 실제로 담당하게 될 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효율적 로봇 교육을 위한 설문을 통하여 견해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도입하기에 적당한 로봇의 조건, 적절한 내용, 로봇의 형태, 교수 학습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 PDF

과학영재학교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교수활동 유형 (Beliefs About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of the Science Teachers at Science Academy in Korea)

  • 김경진;권병두;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14-525
    • /
    • 2005
  • 일반교육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재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서는 영재학생들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현재 각급 학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단 기간의 영재교육연수를 받은 후 영재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런 단기간의 영재교육연수만으로도 그동안 일반 학생들을 담당하고 있던 교사가 영재교육에 대한 나름대로의 철학을 정립하고 영재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최근 교사의 신념이 교수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과학영재학교에서 과학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개인적 신념과 교수활동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구체적 으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아. 첫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은 무엇인가? 둘째, 이들의 신념은 교수활동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 되고 있는가?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과학영재학교 물리교사 2명, 생물교사2명, 기구과학교사1명으로 총 5명이다. 자료는 참여교사 당 4차시의 수업 관찰 및 녹화, 심층면담을 통해서 수집하였고, 모든수업과 면담자료를 전사 후에 분석하였다. 이외에 추가적인 자료는 이메일을 통해서 수집하였다. 참여교사들의 사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학습관과 교과목에 대한 신념이 서로 맞물려 하나의 신념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교사들의 신념체계는 '학생 중심', '교사 중심', '갈등 혼돈', 이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학생 중심'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들은 수업진행 시 학생들의 질문이나 의견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하며, 학생들이 교사의 지적권위에 의지하지 않고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수업에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수업에 동참하게 하는 교실 참여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교사 중심'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들은 주어진 시간 내에 많은 지식을 가르치는데 치중하고, 수업진행에서 학생보다 교사가 절대적인 역할을 수항하여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수업을 이끌어나가기 보다는 교사의 지적권위에 학생들이 의존하는 수동적인 교실 참여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갈등 혼돈' 신념체계를 가진 교사는 자신만의 확고한 신념체계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교수활동에서 전통주의 교수학습관이 많이 반영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신념이 교수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시켜준다. 특히, 영재학생 담당교사의 경우는 영재교육에 관한 신념뿐 아니라 교수학습관과 교과목에 대한 개인적 신념이 교수활동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더하여 연구자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교사교육에 대한 몇 가지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보육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훈육방식과 유아의 적응간의 구조모형 분석 (Analysis on Structural Models between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Self-Efficacy, Discipline Styles and the Young Children's Adjustments)

  • 김명희;박혜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9-74
    • /
    • 2013
  •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which belongs to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ducare teachers on the behavior young children's adjustments through the edu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styles of disciplin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866 children aged 2-5 years attending 23 edu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region of Gyeonggi and Gyeongsangbuk-do, and their 135 teachers in char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first,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had indirect effects on the young children's adjustments by the media of self-efficacy. Second, the educare teachers'adult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s on the young children's adjustments by the media of discipline styles. Third, the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the young children's adjustments through self-efficacy and discipline styles. In conclusion,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the edu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on the young children's adjustments the mediated effects of self-efficacy and discipline styles were confirmed. This research enables one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in which the educare teac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ave important effects o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come evidence data for realizing the need for developing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regarding the character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of the educare teachers.

중학교 보건교사와 일반교사의 성교육 중요도와 수행도: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방법을 이용하여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ex Education between Health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Middle Schools: Based on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 이지선;정혜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21
    • /
    • 2015
  • Purpose: In this study,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health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sexual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s to find out their understanding o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degree of performance on key concept of the sex education and then compare their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sex education which leads to find out the contents and range of capabilities required for the teachers in charge of sex education.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on 77 health teachers and 71 general teachers using IPA and SPSS/WIN was practiced. Results: The result of research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nual hours for sex education of their schools, the contents of the sex education which was given in the lecture type lesson, and their performance degree. It was also found the distribution of key concepts by differences in IPA matrix. Conclusion: As there are th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degree in sex education between health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middle school, more specific education for each of them is needed. And the way to reinforce the key concepts, which are found high in perceived importance degree for both health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but low in the performance degree should be considered.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급식관리 실태에 대한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연구 (The Different View Point of Child Education Center Food Service Program between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 이영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654-667
    • /
    • 2005
  • To survey the different view points about food service programs among parents and teachers, 2 types of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attitude, perception, satisfaction and demand of the food service program in child education centers, were us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450 parents and 450 teachers who attended a child education center in 16 provinces, nationwide. SPSS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ANOVA test and $X^2-test$. The frinding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erving size of meal (lunch) were 80 meals per day and 167 meals per day at large institutions. Mean cost of snacks was 14,709 won per month and mean costs of lunch were 29,319 won per month. The mean pri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cale of institution. The numbers of servings of lunch, morning snack and afternoon snack were 5, 3.4 and 3.5 times per week each. $56.4\%$ of the institutions served meals to children in classrooms, but the national/public institutions, which were attending elementary school, served meals in a dining place in the elementary school. 2. Teacher controlled serving portion size of snacks $(79.6\%)$ and lunch $(88.8\%)\;and\;30.1\%$ of teacher did not allow leaving lunch food. The ratio of knowing about preserved meals of the teacher who worked at a small institu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acher who worked at large institutions (p<0.01). 3.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several different view points about school lunch programs were detected. Most parents and teachers wanted that the school lunch to be fully cooked and served at the child education institution itself, but $12.2\%$ of parents and $14.4\%$ of teachers wanted a catering service. The teachers group preferred 'lunch box from home' and 'home partially prepared lunch' as an ideal meal serving type than the parent groups (p<0.01). A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view points about price factors in school meals, teachers group highly answered that operating expenses must be added in meal prices. 4. The teacher groups' priorities of education activities during meal time were a significantly lower score than parents group in overall education activities. Teacher and parent groups pointed out that individual sanitation activities were most important of the education activities during meal time, but promoting good eating habits was the lowest score in both groups. 5. 'Improving taste and food quality' was most urgent in food service at child education centers, but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view points between parent groups $(64.5\%)$ and teacher groups $(43.8\%)\;(p<0.05)$. They answered at a lower percent in 'employee qualified person' and 'cost control' point to improve food service, but there were also different opinions between the two groups (p<0.01). 6. As to the matter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atering services, two group answered that the advantages of a catering service were 'convenience' and 'to solve facilities and labor problems', disadvantages were 'lower in food freshness' and 'sanitation problems'. There were also several different view pionts in catering services, the parents groups were more anxious about food sanitation than teachers. This study found several different view points about school food services among parents and teachers. To improve food services at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there is a need to adjus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channels and education and to employ dietitians as taking charge of adjusting roles between the two groups.

수원지역 학교도서관 사서연구회 운영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Operation Situation of School Library Librarians' Study Circle in Suwon)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7-56
    • /
    • 2015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의 학습동아리 운영 현황과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학습동아리의 필요성 및 효과 그리고 향후 개선방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25개 교육지원청의 학교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학교도서관 사서의 학습동아리 운영에 관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그 중 학교도서관 사서의 학습동아리 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난 수원지역 사서연구회를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서의 학습동아리 활동은 학교도서관 운영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사서로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며, 학교도서관 업무 수행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중요도에 대한 집단 간 인식차이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Perception of the Level and Importance of the Key Competencies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안광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중요도를 측정하고 향상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산학협동교육을 담당하는 담당자 12명과 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 7명 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 직업기초능력의 여러 부분에서 산학협동교육 담당 교사와 기업체 업무 담당자 사이에 인식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문서이해능력에서는 두 집단 모두 수준과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여 직업기초능력으로 재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직업기초능력에 추가되어야 할 능력으로는 한자 독해능력, 경청 능력 등으로 밝혀졌다.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습득해야할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정확히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직업기초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디지털 사진을 이용한 점심급식의 영양소 섭취량 분석: 예비조사 (Feasibility of Using Digital Pictures to Examine Individuals Nutrient Intakes from School Lunch: A Pilot Study)

  • 정현혜;윤지현;최경숙;정상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5권3호
    • /
    • pp.278-28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ilot study wa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using digital pictures to assess individuals' nutrient intakes from school lunch.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9 male students and 40 female students from two classes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The school lunch service was self-operated and the students were allowed to portion the foods by themselves. The teacher in charge of each class took digital pictures of every student's lunch plate that was tagged with an i.d. number, before and after eating for two consecutive days. The researchers estimated the amount of food, which an individual actually consumed by comparing pre- and post-pictures of their plate with reference food pictures for better visual estimation of the food amounts. Individual energy and nutrient intakes were calculated using CAN-Pro (ver 3.0) using the food intake data visually estimated from the digital pictures and school lunch recipes. The teachers in charge reported that about 10~15 additional minutes were needed to take the pictures used for the study and this additional time did not place much burden on the service process during the lunch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actual energy and nutrient intakes from the same school lunch menus were quite varied as the serving portions were not regulated and left-overs were not prohibited. This pilot study suggests that examination of individual nutrient intake using digital picture is a feasible method in the context of school lunch service.

  • PDF

초등학교 수.연산 영역 부진아를 위한 웹기반 학습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Learning System for Operation Field Underachiever in Elementary School)

  • 김정랑;강남숙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55-164
    • /
    • 2004
  • 수학과 수 연산 영역의 학습 부진은 위계성이 뚜렷한 수학과의 특성상 이전 학년에서 발생된 학습결손이나 이해의 부족이 다음 학년에서의 학습 방해나 장애로 이어져 결국 학습 부진을 증대시켜 학습 불능에까지 이르게 되는 등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교사는 학급당 40여명의 학생지도, 과중한 잡무로 부진아의 개별 지도시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부진요인에 적합한 지도가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부진아의 평가 결과가 분석되어 관리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부진아의 지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수 연산 영역 부진아의 학습 부진요소를 찾아내어 그에 맞는 적절한 학습을 제공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이 시스템에 접근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DB로 관리하여 부진아를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수 연산 영역 부진아를 위한 웹기반 학습시스템을 구현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의 과중한 부담을 덜어 줄 수 있었으며 부진아들의 학습성취도를 높일 수 있었다.

  • PDF

세계적 동향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 대학의 비교교육학 교육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s of Comparative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Korea and World Wide)

  • 현경석;박애리
    • 비교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1-26
    • /
    • 2008
  • 이 연구는 비교교육학의 개념과 중요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비교교육학의 역사와 발전과정, 그리고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비교교육학의 현황과 실태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비교교육학은 다른 교육학의 세부전공들과 비교하여 나름대로 독자적인 학문분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한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도 대학에서 독립적인 전공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는 않으나, 최근 국제화 추세와 더불어 외국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 예컨대 외국의 교육제도, 교육정책, 교육개혁 동향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중요성과 그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동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교육현황에 대한 전반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한국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둘째, 한국 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교육현황을 조사하였다. 현황 조사는 다음과 같은 다섯 항목 1) 4년제 대학 중 비교교육 관련 강좌를 제공하는 대학(수), 2) 비교교육 관련 강좌의 수업목표, 3) 커리큘럼 및 강좌명, 4) 강의 방법과 교재현황, 5) 한국대학의 비교교육 강좌와 관련된 문제점 및 제언 등으로 나누어, 전국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국 비교교육학의 실태에 대한 외국과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외국 대학들의 비교교육학 발전과정과 교육동향을 문헌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동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비교교육학 교육현황에 대한 첫 조사연구로서, 대학에서의 비교교육학 강좌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재확인과 함께 외국 대학의 비교교육학 발전현황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우리나라 비교교육학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