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expertise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 교사의 방과후 돌봄 교사와의 의사소통과 협력에 대한 의미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 of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After-school Teachers)

  • 우진경;서영숙
    • 아동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5-110
    • /
    • 2015
  • In this study, an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regar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vels of cooperation was conducted. This was done from the assumption that it is essential for goo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o exist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fter-school care teachers to provide the most reliable after-school care environment possible. Individual interviews with 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for clos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was clearly established, due to the obvious advantages obtained from cooperation on supporting children and improving the teacher's levels of expertise. However, contrary to thi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fact did not have very good communication between themselves and the after-school care teachers. Second, the problems in cooperation revealed a degree of disapproval regarding the perceived independence of after-school care teacher's duties, a sense of burden arising from interaction with a large number of teachers, the lack of communication time due to the workload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lack of material resources. Third, teachers further stated that although they were generally interested in after-school care classes, and showed approval of the role of after-school care teachers, regular meetings, and an expansion of the current messenger systems of communication with after-school teachers are clearly needed.

미국의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f Mathematical Pedagogy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n the US)

  • 방정숙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87-507
    • /
    • 2011
  • 최근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관심의 증가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교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에 대한 실천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연구는 교사교육자 스스로의 반성이나 다른 동료교수의 수업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교수법 강좌를 참여관찰의 방법으로 탐색한 결과를 자세히 기술하고 이로부터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강좌는 예비초등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전형적인 교사교육과는 다른 방법으로 수업을 구현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사교육자에게 대안적인 수학교수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이론과 실제를 접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도입에 따른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 (Ways to Improve In-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tise with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이재봉;이양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63-271
    • /
    • 2017
  •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이 학교 현장에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현직교사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교과목 신설에 대비하여 중등 과학교사의 자격종별로 현직교사 재교육 내용을 구상하고,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과학교육 전문가 22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징을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 및 내용 구성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교사 역량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학교 현장의 중등학교 과학교사 자격증 유형별 특징과 통합과학 지도를 위해 추가되어야 할 교사 역량을 탐색하여, 교사 자격증 유형별로 2015 개정 통합과학의 이해 직무 연수(A형), 통합과학 직무연수(B형), 통합과학 부전공 자격연수(C형) 등 3가지 유형의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각의 연수 프로그램 유형별로 교사 자격증별 대상자, 운영시간, 연수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구성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전문가 의견에 기초하여 현직 교사뿐만 아니라 통합과학 교사 양성과정 개선안과 통합과학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 개선안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과학 지도를 위한 현직교사 재교육 연수 프로그램 구성상의 유의점 및 통합과학 교사 양성과정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How Are the Novice Getting to Be the Expert? : A Preliminary Case Study on Japanese Science Teachers

  • Ogawa, Masakata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082-1102
    • /
    • 2002
  • Most of comparative studie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so far have been conducted in terms of teacher education policy, pre- and in-service training system and curriculum, and certificate system. While such superficial information can be readily obtainable, it does not necessarily enable us to make access to reality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respective countries, because practic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mong science teachers is deeply embedded into respective socio-cultural environment or climate. In order to get information on reality in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lternative approaches of research should be developed. This paper aims at pursuing an alternative way to approach reality of Japanese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 email survey of free description method with 29 in-service science teachers with a variety of years of experience in Ibaraki Prefecture, Japan, revealed that Japanese science teachers have developed their expertise through very close daily-based communication with their peer science teachers. At least, within their consciousness, neither formal in-service training programs, nor pre-service training programs have had much stronger effects o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an such non-formal, daily-based, deep, apprenticeship-typed or in some sense, family-typed communi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conduct meaningful comparative studies, we should take much more attention to how to make access to reality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학교도서관의 협동교수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 한윤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9권
    • /
    • pp.257-279
    • /
    • 1995
  •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is a strategy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resource based learning. This approach combines the classroom teacher's subject expertise and knowledge of the students with the teacher­librarian's specialized knowledge of the availability and use of learning materials. And the purpose of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is to develop learning experiences or units of study that effectively integrate the student's resource center activities with other learning experiences. There are also some conditions that are conducive to effective planning sessions. First, the teacher-librarian must be prepared to initiate planning with teachers, rather than waiting for teachers to come to them. Second, the teacher-librarian must be prepared to present suggestions in such a way that the teacher can resp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planning process of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in the previous studies and (2) to find general problems when the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apply in actual situation. For these purposes, I chose a school library and a teacher-librarian in Seoul to observe how this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carry out in the school library.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teacher who teaches alone for one grade is more proper to carry out the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Young teachers are usually more active to change their teaching methods. (2) The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is a program what needs a lot of materials. When there is no right reference book in a school library, it would be good to access DB through PC telecommunication. It is also possile to contact lirarians who work in large public libraries or university libraries. (3) The coo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needs cooperative working between a teacher-librarian and a teacher. Thus a teacher-librarian should be in his school in the day time like the other teachers for the program's planning process. ( 4) There has to be a guide to change into resource based learning in teaching method. Thus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or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should offer a seminar or a workshop about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for the teacher-librarians. (5) It needs a system that a teacher-librarian can know about student's assignments so that he can prepare reference books for them. (6) The school library can be able to offer excellent service like cooperative program planning and teaching to the teachers and students according to a teacher-librarian's enthusiasm.

  • PDF

사서교사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 (Ethical Dilemmas in Teacher-librarians' Professional Practice)

  • 정진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61-180
    • /
    • 2021
  •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하여 현황과 사례를 조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도서관인 윤리선언』의 내용을 틀로 윤리적 딜레마 경험 정도를 묻는 설문조사에 259명의 사서교사가 참여하였고, 5명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반 구조적 인터뷰를 수행하여 직접경험 사례를 수집하였다. 기술통계와 인터뷰 전사자료의 질적 분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들은 정보 접근을 저해하는 검열에 관하여 가장 많은 경험을 딜레마 경험을 하였다. 둘째, 사서교사들은 직업적 책무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성을 활용하기 어려울 경우 딜레마가 발생하였다. 셋째, 사서교사들은 지식재산권 존중과 이용자와 권리자 간 균형 추구에 관련하여 그 중요성은 잘 알지만 실제 사례에 당면하여 구체적인 적용 방법에 대해 잘 알지 못해 딜레마가 발생하였다. 넷째, 사서교사들은 사서교사 전문성 함양 분야와 학교에서 원하는 사서교사상 간의 차이로 인해 딜레마가 발생하였다. 다섯째, 사서교사들은 대출반납 업무와 학생 개인 대출 정보 공개에 관한 딜레마가 있었다. 여섯째, 사서교사들은 학교교육시스템과 도서관운영의 관습관련 딜레마가 있었다. 특히, 윤리적 딜레마 사례는 각각 맥락의존적으로 사서교사들의 균형적 판단이 중요함이 나타났다. 향후 윤리적 딜레마에서 사서교사의 균형적 판단을 위한 지점과 대처에 대한 도서관계의 고민이 필요하다.

초등교사를 위한 원격연수의 질적 향상 방안 (Quality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stance Training)

  • 류근영;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17-625
    • /
    • 2005
  • 1997년부터 교사에게는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연수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기존 출석중심 연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연수체제 구축을 위한 대안으로 교원 원격교육연수원이 도입 운영되어 왔고, 해마다 그 수의 증가를 거듭하면서 2004년 9월 현재 총 53개의 원격교육연수원이 운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원격연수의 질적 향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원격연수원의 교육과정 운영현황을 중심으로 교육 콘텐츠 및 전반적 운영현황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한 원격연수의 제공자, 수요자 측면의 상호 만족도 향상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제공자는 시대변화에 따른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피드백 해야 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점수위주의 수강보다는 초등교사로서의 자기 계발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영역의 수강을 필요로 하고 있다.

  • PDF

수학교사의 노티싱(Noticing) 분석을 통한 중심신념 탐색 (Exploring Central Beliefs through Noticing Analysis of Mathematics Teachers)

  • 강성권;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377-411
    • /
    • 2021
  • 본 연구는 교수학습 맥락에서 수학교사의 중심신념과 주변신념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고등학교 현직교사 8명을 대상으로 가상의 수학 수업 동영상을 활용하여 수학적 신념 측면에서 교사 노티싱(noticing)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티싱하는 교사는 동영상 속 수업교사의 교수학습 문제 상황에 대하여 자신의 수학적 신념을 반영하여 비판하고, 교수학습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노티싱 분석은 '교수학습의 학생참여'와 같은 특정 노티싱 주제에 반영된 교사들의 수학적 신념을 비교하여 교사 개인의 상대적 중심신념과 주변신념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노티싱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맥락의 제약조건에서 수학교사의 중심신념과 주변신념을 추출하는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부가적으로 수학교사의 교수학습-의사결정-전문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빈도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수학 교과에서 기초학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with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615-633
    • /
    • 2023
  •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서 기초학력 및 학습부진에 관련한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고자 2023년 8월까지의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연구 197편의 국문 초록을 자료로 수집하여 빈도 분석 및 LDA 기반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TF 및 TF-IDF 기준으로 '학업성취', '영향', '효과', '변인'은 모두 상위권에 위치하였다. 둘째, LDA 기반 토픽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기초학력 미달 발생 원인,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실태, 수학 학습부진학생 지도 교사의 전문성, 수학 학습부진학생 지원 프로그램,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로 5개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학 교과의 기초학력 및 학습부진에 관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학습부진학생의 성장에 초점을 둔 연구, 수학 교과에서 학습지원을 필요로 하는 학생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체계화하는 연구, 수학 교과에서 학습지원대상학생을 지도하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관한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Analysis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Student-Teacher Practice)

  • 강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80-59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들이 교육실습 중 겪는 어려움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56명의 중등 예비 과학 교사들은 교육실습 동안의 일화에 대해 기록하도록 요구받았다.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은 수업지도와 관련해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흥미 유발과 주의 집중, 적절한 발문 구성,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 등이 특히 어려웠던 것으로 응답했다. 실험 지도와 관련해 예비 과학교사들은 실험 수업 중 학생들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에 대해 노력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생활지도와 관련해 상담 시간이 부족했고 상담 내용이나 수준이 불만족스러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더욱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의 이행 뿐만 아니라 피드백을 통해 꾸준히 개선시켜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사 전문성 계발 기준에 기초해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보다 체계화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