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assessment

검색결과 481건 처리시간 0.019초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에 대한 자기 평가, 교사 평가, 객관적 평가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 Self-, Teacher-, and Objective Assessment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 김민주;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4호
    • /
    • pp.440-454
    • /
    • 2018
  • This study aims to compare student self-, teacher-, and objective assessment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A science-gifted program on the topic of Hydraulic Machine was implemented to 40 fifth-grader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of an education office in Seoul, Korea for four weeks. The products of the students' activities were assessed by three types of 'Student Self-Assesment', 'Teacher-Assesment', and 'Objective Assessment using Formula'. Based on two essential components of creativity, the scientific creativity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originality and usefulness. Ideas that satisfy both components can be counted as scientifically creativ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each week and the average of the overall four-week scores on scientific creativ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tudent self-assessment (r=.687), teacher-assessment (r=.715), and objective assessment (r=.724) appeared consistently over instructional periods. Second, the average scores of student self-, objective, and teacher-assessments were 73.15, 35.72, and 26.60, respectively. The result of student self-assessment on scientific creativity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formula and teacher. Third, among the three types of assessment on scientific creativity, a strong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teacher- and objective assessment (r=.974), but neither between student self- and objective (r=.161) nor between student self- and teacher- (r=.213). Fourth, the scores on originality compon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and objective assessment (r=.713). The scores of student self- and teacher-assessment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o (r=.315), but not between student self- and objective assessment (r=.279). Fifth, the scores on usefulness compon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udent self- and teacher-assessment (r=.155). Six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cientific creativity between student self- and objective assessment [${\chi}^2$(1, n=40)=1.667, p<.197]. Not between student self- and teacher-assessment either [${\chi}^2$(1, n=40)=1.616, p<.204]. On the contrar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 and objective assessment [${\chi}^2$(1, n=40)=32.593, p<.000]. Seventh,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ir scores by student self- and teacher-assessment. The result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elf-assessment are inherent in the personality traits of gifted individuals, such as self-esteem and perfectionism.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are challenges for the educators to make efforts to construct consistent assessment methods for scientific creativity.

A Korean Elementary School EFL Teacher's Implementation of Teacher-Based Assessment

  • Kang, Dae-Min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2호
    • /
    • pp.19-37
    • /
    • 2011
  • This study examines a Korean elementary school EFL teacher's practice of teacher-based assessment (TBA), a subject which has been little researched despite the authorities' strong call for its implementation. The classroom interactions for TBA were observed and audio-recorded in eight fifth-grade classes between March and June 2010. Additionally, the teacher and students were interviewed in a semi-structured wa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 used three types of TBA: assessment of individual students on different topics, assessment of the entire class on the same topic, and assessment of individual students on the same topic. Due mainly to time constraints during class time and classroom management issues, the teacher preferred implementing the first two types of TBA. During the practice of the types, the teacher provided prompts or posed questions in ways that elicited responses which were short in length and easy. Although the third type of TBA was perceived by both the teacher and students as helping students enhance their EFL proficiency and was the most favored by the students, it was viewed by the teacher as having the potential of causing classroom management difficulties. Based on the findings, a number of implications are suggested.

  • PDF

Teacher Change in Teaching Practices Towards Developing Students' Reasoning in Mathematics

  • Kim, Hee-Je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223-234
    • /
    • 2014
  • Research shows that formative assessment has a more powerful effect on student learning than summative assessment. This case study of an 8th grade algebra classroom focuses on how the implementation of Formative Assessment Lessons (FALs) and the participation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related to FALs changed in the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s, over the course of a year, to promote students' mathematical reasoning and justification. Two classroom observations are analyzed to identify how the teacher elicited and built on students' mathematical reasoning, and how the teacher prompted students to respond to and develop one another's mathematical ideas. Findings show that the teacher solicited students' reasoning more often as the academic year progressed, and students also began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meaningful ways, such as articulating their mathematical thinking, responding to other students' reasoning, and building on those ideas leading by the teacher. However, findings also show that teacher change in teaching practices is complicated and intertwined with various dimensions of teacher developmen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changes in teaching practices, which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frameworks for investigating teacher learning.

실습과 반성을 통한 수학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Improving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Assessment Competence through Practice and Reflection)

  • 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277-292
    • /
    • 2012
  •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학생 평가 전문성은 평가방법을 선택하고,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평가를 실시하여 채점하고,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고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경험하고, 그것을 반성할 때 신장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평가 과정 전반을 경험하는 실습과 학습 일지를 통한 반성을 경험하게 하여 이들의 평가 전문성 신장이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학습일지는 예비교사의 평가 관련 지식, 학생과 교사의 이중적 입장, 평가 실행의 영역에서 분석되었고, 그 결과 이 세 가지 영역은 상호작용하며 예비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각각의 영역은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소가 되었다. 그리고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양적으로 확인한 결과,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의 평균 점수가 신장되었다.

  • PDF

사서교사의 정보이용교육을 위한 수행평가 방법 및 도구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and Tool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Teacher-Librarians)

  • 함명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83-97
    • /
    • 2008
  • 본고는 사서교사가 정보이용교육을 실시하는 데 필수적인 수행평가 방법 및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사서교사의 정보이용교육에서 중요한 영역이 평가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사서교사의 교육 활동은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다만, 초 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에 평가 영역이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이에, 사서교사가 실시하는 정보이용교육을 위한 수행평가 방법 및 도구의 개발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평가 방법과 도구는 평가이론과 목표준거에 입각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본고의 최종적인 목적은 현장 사서교사들이 수행평가이론과 목표준거를 바탕으로 정보이용교육을 위한 다양한 수행평가 방법, 도구, 사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Teacher Perception and Practice on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3-16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된 이후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 경험이 있는 중등 과학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와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실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서술형 문항 설문과 개인 면담 전사본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선택형 문항 설문은 응답 빈도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 기본 방향 중 평가 방법 변화는 낮은 순위로 선정한 교사가 많았고, 자유학기제 평가의 객관성 부족, 자유학기제 평가의 입시 미반영, 자유학기제 평가에 대한 체계 미확립, 활동 중심 수업 및 교과에 대한 학생의 흥미 유발이 평가보다 더 중요함 등을 이유로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대부분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평가의 기본 방향을 교육부에서 제시한 과정 중심 평가로 이해하고 있었다. 과정 중심 평가를 매우 긍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학생에게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 반면, 과정 중심 평가를 보통 또는 부정적으로 인식한 교사들은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절반 교사들은 주관성과 복잡성 등의 이유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를 실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부족을 이유로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거의 제공하지 않은 교사들도 일부 있었다. 일부 교사들은 평가 방법에 익숙하지 않거나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특정 평가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 중 교과 협의를 하지 않은 교사들은 동 학년을 담당하는 교사의 수나 동료 교사의 태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협의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관련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교사들은 자유학기제 담당자만 연수에 참여하거나 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족, 교사 개인 사정 등과 같이 교과 협의회와는 달리 교사의 자율적 선택에 의해 연수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닝 협동학습 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Collaborative e-Learning Evaluation Model)

  • 오양가 체렝검버;이길흥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35-144
    • /
    • 2015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valuation model that enables cooperative learning using e-Learning system. Even i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re not in the same place at the same time, the team project deliverable submitted by the student to the online system can be viewed by the teacher, enabling the teacher to assess the student not only based on the project but also in many other aspects. The proposed e-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model allows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factors, using such factors in assessment of the student's activities which are performed through the e-learning system, and the feedback of the results to the student so that the student is further motivated for learning. The teacher performs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such factors, which is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student's assessment. Implementing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n various e-learning systems such as Moodle is expected to motivate the student for learning, produces better cooperative learning results, provides greater convenience of assessment to the teacher, and improves fairness of assessment by showing the student's activities in real time.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과학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and Solutions of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66-1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실행하면서 과학 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수업 및 평가 경험이 있는 과학 교사 15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과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참여 과학 교사들은 평가 주체 영역에서의 어려움으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시 정확한 평가 불가능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체적인 평가 항목 제시, 학생의 평가 능력 향상을 위한 연습 기회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평가 내용 영역에서 객관적인 평가 기준 부족으로 인한 정의적 영역 평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가 실시 전 학생에게 평가 기준 제시, 교사 간 협의를 통한 기준 선정 등을 제시하였다. 평가 방법 영역의 수행 평가시 어려움으로 관련 자료 및 평가 도구 개발 보급 미흡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평가 결과 영역 중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많은 수의 학생에게 피드백을 해야 하는 부담을 가장 많은 교사들이 선택하였고,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 또는 교사의 수업 시수 감소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평가 결과 서술식 기재의 어려움으로 가장 많은 교사들이 언급한 학생의 특성 파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와 행정 업무 경감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교과 협의회에서는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동료 교사의 이해 부족과 소극적 태도로 인한 어려움이 언급되었는데 꾸준한 토론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선이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었으며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연수 관련 어려움으로 학생 수 과다 및 시간 부족으로 연수 내용의 현장 적용의 어려움이 언급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사 스스로의 노력뿐 아니라 제도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성공적 운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서술형 평가에서의 교사평가와 동료평가 활동 경험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인식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Descriptive Assessment Activity Experiences by Teacher or by Peer)

  • 백성혜;류혜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93-599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서술형 문항에 대한 교사평가와 동료평가가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소도시에 있는 고등학교 2학년 2개반을 선정하여 학업성취도, 정의적 영역의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서술형 문항의 평가는 10차시 수업 동안 진행되었으며, 교사평가를 실시한 반에서는 학생들이 서술형 문항을 푼 후에 교사가 이에 대한 피드백을 수업 중에 실시하였다. 동료평가를 실시한 반에서는 학생들이 서술형 문항을 푼 후에 소집단 별로 동료평가를 실시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교사평가에 긍정적인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하위 집단 학생들은 동료평가에 긍정적인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학업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은 교사평가와 학생평가에서 동일한 채점 기준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교사평가에 대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하위 집단 학생들은 교사평가에 대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업성취도가 하위인 학생들만 비교한 결과 교사평가를 실시한 학급보다 동료평가를 실시한 학급에서 성취도의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의 평가 결과에서도 하위 집단 학생들은 동료 평가가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별히 과학에 대한 인식 영역에서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lective teaching evaluation based on teacher knowledge in school mathematic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23-1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업 과정 내지 단계에서 교사의 반성 역할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반성을 통한 교사 지식의 확장 과정을 탐색하여 이를 도식화하여 나타내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도식화된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교사가 자신의 수업 반성을 통해 수업 개선은 물론 교사 지식의 확장을 이끄는 수업 평가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평가틀은 반성에 초점을 둔 수업 평가틀로서, 교사 자신의 수업 평가를 통하여 교수 개선 및 교사 지식의 확장을 통한 전문성 신장을 이루고자 함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평가틀에 기초하여 교사 자신이 활용 가능한 자기 평가지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만, 교사 지식의 범위가 방대하므로 여기서는 교과 내용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을 중심으로 해당 연구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교과 내용 지식이야말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요 요소로서 교수 활동 결정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