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support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31초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 지도 영역에 대한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비교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ognition of Instruction Teacher and Student-teacher about Role of Industry Vocational Subjec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

  • 이상현;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3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생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이 지도 영역의 중요도에 대한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영역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문헌 고찰과 전문가 검증을 통해 공업계열 전문교과 예비 교사 교육 실습 담당 지도 교사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이 영역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교육 실습생에게 지도해야할 지도 영역으로는 7개 대영역, 17개의 중영역, 85개의 세부 지도영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가들은 예비교사에게 교사의 가치관 및 인성 형성 영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학교 업무와 관련된 영역은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지도할 영역으로 그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교육활동 지원 영역'과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 실습생은 대체적으로 모든 영역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전문성 향상 영역', '수업 활동 영역'의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지도 영역은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이었다. 반면 교육 실습생은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전문성 향상 영역'이었다. '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 영역', '교육 활동 지원 영역',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두 집단 모두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였다.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 (Preschool Children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Using Korean Parent as a Teacher Test)

  • 김신정;김계숙;김영희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KPAAT(Korean Parent As a Teacher Test) and provide a basic data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 Methods: This is a secondary analysis study using 103 preschool mothers who were chosen from 2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located at Kyounki-Do. Results: 1) Subjects' child-rearing attitude was above average at the point of $2.86({\pm}\;.20)$. 2) 16 sub-dimension(response to question, permissive attitude of play, control, control of play, expectation about child, understanding about learning, support of learning, encouragement of thinking, provision of imaginary play opportunities, support of play, encouragement of accomplishment motivation, propriety of child-rearing, affectional support, fixed idea, confidence about education, limitation) and 6 factors(response to question, permission of play, control & limitation, evaluation & support about child, encouragement of academic accomplishment, facilitation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were above 2.50 except ($2.24{\pm}\;.29$) sub-dimension.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From this study, KPAAT can be utilized later childhood period. And nurses need to help mothers to have sound child rearing attitude.

  • PDF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 관련 변인 (Factors Related to Techno-stres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 엄우용;이희명;이성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77-188
    • /
    • 2020
  •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와 관련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 관련 변인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 교사가 지각하는 TPACK의 정도와 교사효능감, 학교 환경 지원은 테크노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플립드러닝 수업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초등 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테크노스트레스, TPACK, 교사효능감, 학교 환경 지원으로 구성된 연구도구를 활용하였으며, 독립표본 t 검정, 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도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지각하는 테크노과부하, 테크노복잡성은 높다. 둘째, 교사의 경력, 선도학교 근무 여부에 따라 TPACK, 교사효능감, 학교 환경 지원의 지각 정도에 차이가 있다. 셋째, TK, TCK, TPACK 그리고 교사효능감의 교육 지원과 학교 환경 지원의 테크놀로지 어포던스는 테크노스트레스와 정적인 관계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초등 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연구 (The Influential Factors on Parenting Guilt of Mothers using a Day-care Center)

  • 이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9-177
    • /
    • 2014
  • 본 연구는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 어머니들의 양육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보편적 양육죄책감이 아닌 보육시설에 자녀를 맡기는 상황에서 경험하는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어머니 350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죄책감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양육죄책감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의 지지, 어머니의 적극적 상호작용, 보육시설 만족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영아 어머니가 유아 어머니에 비해, 그리고 첫째아의 어머니가 둘째이후 자녀의 어머니에 비해 높은 양육죄책감을 보고하였다. 둘째,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중, 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양육죄책감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의 적극적 상호작용, 그리고 보육만족도가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는 자녀를 보육시설에 맡기는 상황에서 경험하게 되는 어머니들의 양육죄책감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교사와 어머니 간의 적극적 상호협력을 통한 양육공조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 연구 (The Case study of cognition of participant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vailable for science teachers in Timor-Leste)

  • 홍준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543-554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동티모르에서의 과학교사 실험 연수에 대해 대한민국과 동티모르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참여관찰과 설문 조사, 면담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대한민국 과학 교사들이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를 실시하는 이유는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의 자발적인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며, 과학교사로써 국제적인 재능 기부 형태의 봉사활동 수행하는데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은 연수를 진행하면서 언어 및 실험 재료 등의 현지화가 절실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동티모르 과학교사 실험연수가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동티모르의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육 현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 현지 과학교사들의 필요가 무엇인지 파악, 연수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연수에 참가한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은 10년 이내, 20-30대의 교사들이 많았고, 초등보다는 중등교사들의 참여가 많았다. 동티모르의 과학교사들이 연수를 통해 기대하는 것은 과학에 대한 전문성의 심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연수 참가시 어려운 점은 언어, 비용, 거리 등의 요인이었다.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동티모르 교사들의 평가는 모든 프로그램이 재미있고, 유용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강력히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의 최종 목표는 동티모르 교사들의 자생적인 연수 능력 획득에 있었는데,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실마리를 얻었다는 것이 중요한 의미이다.

  • PDF

어린이집 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교육 경험과 인식에 관한 탐색 (Explor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 김현영;이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19-534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중심 교육 경험의 실제와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유아교육 현장의 현실적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 누리과정 교육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Hatch(2002)의 유형적 분석과 해석적 분석 그리고 Seidman(2006)의 면담 자료분석을 사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동일한 통합 개정 누리과정을 적용하고 있지만, 어린이집은 보육적 관점과 안전을 더 고려한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들이 주체가 되는 자기주도적인 열린 놀이활동 연계과정에서 교육적 매칭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셋째, 교사들의 놀이활동에 대한 교육적 이해와 가치 파악 능력은 유아 상호작용 및 유대관계 성장에 기여한다. 결론적으로 현 누리과정의 효과적인 교육 시행을 위한 교사교육과 교류지원 그리고 유아비율 조정의 국가적 정책 방안이 시급하다.

영아반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원장과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motional Support of the Director and Co-worker on the Childcare Efficacy of Infant Teacher)

  • 정꽃님;문혜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75-1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영아반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가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반 교사 169명이다. 자료는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반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보육효능감을 살펴보면 결혼여부와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반 교사의 보육효능감은 동료교사 지지와 가장 큰 양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그 다음 원장 지지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반 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동료교사 지지, 경력, 결혼여부, 원장 지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경력이 많고 기혼인 교사의 보육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반 교사의 보육효능감에는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아동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어머니 양육행동 및 사회적 지원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Support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 김지현;한준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6호
    • /
    • pp.1-11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supports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 participants are 148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teachers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differences in maternal parenting behavior(warmth), teacher support, and internal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2) mothers's parenting behavior(warmth) and teachers' support explained children's overt problem behaviors; and (3) mothers' parenting behaviors(supervision) and friends' support explained children's internal problem behaviors. In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subscale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supports influencing overt problem behaviors and internal problem behaviors.

학교도서관지원센터의 현장 지원 과제와 전략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학교도서관지원센터(중부도서관)의 경우 - (An Analysis on the Tasks of a School Library Support Center : A Case Study of JungBu Public Library of Ulsan Metropolitan City)

  • 권은경;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5-248
    • /
    • 2010
  • 이 연구는 울산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 학교도서관지원센터로 지정된 울산중부도서관이 지원센터로서의 역할, 지원해야 할 업무, 지원 우선순위 등을 파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 교육청의 2009년도, 2010년도 학교도서관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현황을 파악하였고 사서교사 및 학교도서관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지원 업무의 종류와 중요도를 식별하였다. 지원 업무에는 교육청이 주도해야 할 정책적 지원으로 인력 지원, 장학체계 확립, 도서관 자원 확충, DLS 센터와 학교도서관 지원센터의 통합 운영 등이 있고 공공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추진해야 할 업무 지원으로는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외부강사 정보 풀 운영, 지원 협력체제에 대한 홍보 강화 등이 있다.

  • PDF

중·고등학교 교사의 정신건강 관심군 학생 지도 경험 (Experiences with Guiding Students with Mental Health Support Need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 박옥남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1-22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ocial stigma phenomenon in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tudents who are classified as mental health support needs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f 17 teachers and 2 consultants from 2 middle and high schools in Green City, which were evaluated as successful among the six pilot project school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3. The study's analysis is based on Hatch's hermeneutical method. Common categories were developed from the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en, inferences were made per category and given importance to draw conclusions and lessons. Results: Teachers had a strong stigma in their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 special needs students. Their perception was that those students are bound to go wrong due to family problems, even some having difficulty breathing, and that it's beyond their limit to help them. In addition, their attitudes included stereotypes, favoritism, punishment, and referral to experts. As a result, teachers did not expect those students would be cured or change and showed passive attitudes while shifting the responsibility to families and expert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limitations of the role of teachers regarding mental health support needs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achers themselves. Today, when students' mental health problems are emerging as a serious issu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to improve teacher's awareness and capabilities regarding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s. In addition, we suggest the current selective policy that sorts out special needs students and provides care for them to evolve into a universal policy that improves public awareness and focus on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