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ognition of Instruction Teacher and Student-teacher about Role of Industry Vocational Subjec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 지도 영역에 대한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비교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grasp industry vocational subject student-teachers' instruction area, compare cognitive level of cooperating teacher and student-teachers for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 area and secure base data required to develop educational practical area of professional teachers in specialized high school. To achieve this, instruction area of instruction teacher in charge of industry vocational subject pre-teacher education was developed by document consideration and expert verification and differences of importance cognition for the area was compared between educational practice insturction teacher and student-teacher.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for the instruction areas tha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teacher, there are 7 categories, 17 mid-fields and 85 subsections. Especially expert group suggested an opinion that areas of teacher's values and personality formation should be added to pre-teachers. And, they judged that category of school business showed low validity for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s instruction area. Second,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 importantly cognized 'class activity', 'student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desirable view of education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y cognize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support on educational activity',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tie with local community' and 'specialty improvement' less importantly. Student-teachers cognized 'class activity', 'student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specialty improvement', 'development of desirable view of education attitude' importantly. They cognize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support on educational activity' and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tie with local community' relatively less importantly. Third, both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s and student-teachers importantly cognized 'class activity', 'student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desirable view of education attitude'. However, student-teachers importantly cognized, bu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s didn't importantly cognized 'specialty improvement'. Both two group cognize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support on educational activity' and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tie with local community' less importantly.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생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이 지도 영역의 중요도에 대한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영역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문헌 고찰과 전문가 검증을 통해 공업계열 전문교과 예비 교사 교육 실습 담당 지도 교사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이 영역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교육 실습생에게 지도해야할 지도 영역으로는 7개 대영역, 17개의 중영역, 85개의 세부 지도영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가들은 예비교사에게 교사의 가치관 및 인성 형성 영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학교 업무와 관련된 영역은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지도할 영역으로 그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교육활동 지원 영역'과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 실습생은 대체적으로 모든 영역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전문성 향상 영역', '수업 활동 영역'의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지도 영역은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이었다. 반면 교육 실습생은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전문성 향상 영역'이었다. '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 영역', '교육 활동 지원 영역',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두 집단 모두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3). 교원 양성 기관 현황. 검색일 : 2013. 5. 26. 사이트 주소 : http://www.mest.go.kr/web/977/ko/board/view.do?bbsId=61&boardSeq=44059.
  2. 김진(1997). 가정과 교사와 가정교육과 교수의 가정과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형태(2003). 중등학교 교사와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 실습의 이론. 대전: 한남대학교 출판부.
  4. 신현석(1998). 중등교원의 질 관리를 위한 정책모형의 개발(I). 교육정치학연구, 5(4), 102-122.
  5. 엄미리, 엄준용(2010). 교육실습제도 개선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인적자원관리연구, 17(1), 127-149.
  6. 이규녀, 김소연, 박기문(2011). 예비 공업교사의 직업기초능력과 교사효능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181-199.
  7. 이영민(2013). "마이스터고에서의 예비교사." 2차년도 교원양성교육 선도 사범대학 지원사업 제6차 교사교육자 포럼. 충남대학교.
  8. 장명희, 변숙영(2001).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교사의 직무수행 기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장한기, 장홍석(2001). 중등교사가 인식하는 유능한 교사의 자질. 수산해양교육연구, 13(1), 37-62.
  10. 조영남(2001). 초등교사의 교사 효과성 평가준거 개발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4(3), 243-268.
  11. 한국교육개발원(2005). 교원의 직무 수행 실태 분석 및 기준 개발 연구.
  12. 황윤한(2007). 교육대학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실천 방안. 초등교육연구, 20(1), 301-333.
  13. Kuehl, Ray(1984). Critical behaviors of cooperating teachers ; Key persons in quality student teaching programs. ERIC Document No. ED 282 821
  14.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