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professionalism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6초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s Performance of the Fisheries & Shipping Business High Schools)

  • 김삼곤;차철표;이종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358-36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ther background data of teacher's performance of the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ies high schools. This data will provide direction for advancing teacher's performance of the fisheries and shipping business high school,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performa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opinions of thirty teachers within the fisheries and shipping business high school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ontinually seek goal achievement, rewarding jobs, and a feeling of self-worth. However, it was found that male teachers have stronger task performing ability and form stronge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tners than female teachers. Second, it was shown that teachers have a much higher percentage of ability to teach. Particularly, male teachers are generally higher than female teacher. Third, it was shown that teachers have a much higher percentage of ability to teach, but it is required that they both get equal participation opportunity as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male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Fourth, it was found teachers exhibited a lower percentage rate of ability to manage activities, and required further development of programs for expansion of professionalism of this field.

융합인재교육의 관점에서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선 방안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Enhancement Program for Teachers in Charge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on STEAM Perspectives)

  • 이성희;신동훈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22-3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SESE(Save Earth Save Energy) 나라' 지도자 직무연수 프로그램 및 연수 참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여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개선방안을 융합인재교육적 관점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연수 프로그램을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연수 담당교사의 전문성 요소별로 분석하였고,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도를 사전 사후 설문검사를 통해 전문성이 신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수 대상자들과 면담을 통해 연수의 SWOT 분석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연수 개선방안을 논의 하였다. 첫째,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융합적 차원에서 연수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융합교육과 연계된 체험 활동을 하고 이에 관한 논의를 풍부히 할 수 있는 교사 교류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집중 연수를 통해 전문성이 신장될 수 있도록 60시간 이상의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넷째, 원격연수를 활용하여 연수의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전문성 요소추출을 바탕으로 연수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충분한 시간 동안 연수를 준비해야 한다. 여섯째,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교사 연수는 대부분 학교급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학습모임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주현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460-475
    • /
    • 2010
  • Professionalizing the teaching workforce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primary factors to reforming public education. In response to this challenge, it has been emphasized that an educational leader's role is to suppor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more effectively. Although the academia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increasingly drawn the significance of a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understanding of an educational leader's role and contribution to this effort is quite limited and unclear. This article examines what factors and barriers affect teachers'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rom the voices and experiences of teachers. The analysis found 1) identification, 2) autonomous will, 3) practical solution for factors to participation and 1) lack of theoretical foundation, 2) financial burden, 3) insufficient time for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conclusion, the author suggests the strategies for an educational leader who ha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a teacher's professionalism: 1) create a strong network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other experts for career advice, 2) make an institutional effort to stimulate teachers' motivation to learn; 3) decrease the teachers' workload, 4) build a synthesized and consolidated system to establish communities.

IB 국제학교 구인광고에 담긴 사서교사의 직무 및 역량 분석 (An Analysis of the Teacher Librarian's Duties and Competencies Embedded in the IB International School Job Advertisement)

  • 김은혜;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2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요자인 학교가 교육과정 운영을 위하여 요구하는 사서교사의 직무와 역량 사례를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IB 국제학교가 사서교사를 선발하기 위하여 게시한 20건의 구인광고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직무와 역량을 IFLA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IB 국제학교의 사서교사 직무 및 역량은 IB 교육과정 지침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이 지침은 IBO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이념과 학습자상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학교가 사서교사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직무는 도서관 장서관리 및 협동을 통한 교수이며, 이를 위한 주요 역량은 의사소통과 협동능력, 교수-학습·교육과정·교육설계 및 제공 그리고 디지털과 매체활용능력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사서교사의 전문성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육적 인간상과 학습자 역량에 기반을 두고 있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에 학교도서관의 역할 포함하기 둘째, 학교도서관진흥법시행령 개정을 통한 인적자원의 직무 구분하기 셋째, 사서교사 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 과목 개편 및 교육실습과 사서교사 임용시험에 협동수업 시연 도입하기 등이다.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전문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eacher and Consciousness of Professionalism on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 김갑순;박윤조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7-1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전문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의 보육교사 237명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해 도구의 신뢰도 및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전문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유아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예방전략I에는 정서활용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반응전략에는 타인정서인식, 정서활용, 전체 정서지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유아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타인정서인식과 정서활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유아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예방전략I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예방전략II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반응전략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반응전략에는 직업윤리와 사회경제적 지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교수 전략 및 학습 동기 촉진 프로그램이 초등예비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Teacher Professional Program about Science Teaching and Motivational Strategies on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배민정;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1호
    • /
    • pp.109-124
    • /
    • 2012
  • Develop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has been emphasized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it should be done from systematic teacher training cour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ang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CK of science teaching and motivational strategies before and after a training course. For th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CK, their lesson plan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pre-servic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usually used didactic or combination of didactic and inquiry teaching strategies and a few pre-service teachers used inquiry or discovery teaching strategies when making lesson plans. However, at the end of the semester many pre-service teachers used inquiry teaching strategies in their lessons which included activities of asking students' prior knowledge, conducing experiments, finding conclusion, and comparing teachers' explanations with students' explanations. Regarding motivational strategies,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ey focused using activities to create student's emotional interest in science lesson but at the end they used other strategies to create positive atmosphere for learning, capture intellectual interest in science, and connect science to students' everyday lives. The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PCK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eaningful because there was less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PCK i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PCK.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A Meta Review of the Researches on PCK in Mathematics)

  • 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1호
    • /
    • pp.93-105
    • /
    • 2009
  • Considering the fact that PCK(pedogogical content knowledge) tends to guarantee the identity of mathematics education as a discipline and the teacher professionalism, PCK is one of the core concepts in the research on subject matt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on the definition and the components of PCK in mathematics. Based on the review, this study identified 3 knowledges which consist PCK; knowedge of mathematic content, knowledge of learner'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eaching. Then this study provided some examples of PKC in the topic, the limit of sequences, and introduced the LMT and TEDS-M items, which were designed to measure the teacher's PCK. Lastly,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items on mathematics education included in the Teacher Employment Test administered for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based on PCK.

  • PDF

특수교육보조원제도에 대한 융복학적 연구 (A Convergent Study on the Teacher Aide System in Special Education)

  • 조홍중;김태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297-30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특수교육보조원제도 운영 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연도별 특수교육 통계, 연도별 특수교육연차보고서, 연도별 특수교육 운영계획,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등을 분석하였다.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운영 상 문제점은 첫째, 특수교육보조원 역할의 불명확성, 둘째, 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 간의 협력 부족, 셋째, 특수교육보조원 관리에 대한 세부적인 지침 미비 등이며, 이러한 특수교육보조원제도의 운영 상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특수교육보조원의 구체적인 역할에 대한 법제화, 둘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전문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제도, 셋째, 특수교육보조원 활용 및 관리 방안에 대한 세부적인 지침 개발 등이 요구되고 있다.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lective teaching evaluation based on teacher knowledge in school mathematic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23-1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업 과정 내지 단계에서 교사의 반성 역할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반성을 통한 교사 지식의 확장 과정을 탐색하여 이를 도식화하여 나타내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도식화된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교사가 자신의 수업 반성을 통해 수업 개선은 물론 교사 지식의 확장을 이끄는 수업 평가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평가틀은 반성에 초점을 둔 수업 평가틀로서, 교사 자신의 수업 평가를 통하여 교수 개선 및 교사 지식의 확장을 통한 전문성 신장을 이루고자 함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평가틀에 기초하여 교사 자신이 활용 가능한 자기 평가지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만, 교사 지식의 범위가 방대하므로 여기서는 교과 내용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을 중심으로 해당 연구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교과 내용 지식이야말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요 요소로서 교수 활동 결정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PDF

교사 전문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의 학습 커뮤니티 사례-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ism -Focusing on Korean Cases-)

  • 나혁진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53-62
    • /
    • 2020
  •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두 전문 학습 커뮤니티인 '전국역사교사모임'과 '초등학급경영연구회'의 구조 및 운영체제를 검토하고, 그 장·단점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러한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로비(Robey)의 조직 변화 모델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는 주로 문헌 검토와 현장 인터뷰라는 두 가지 연구방법이 채택되었다. 분석 결과, 여러 가지 장점(교사의 진취성과 자율적 의지에 의해 주도되는 쉬운 접근성, 풍부하고 실용적인 교육 해결책)과 약점(재정적 부담, 이론적 배경의 결여, 산발적인 참여자)이 발견되었다. 결론에서 이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함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육 리더 그룹이 되기 위한 세 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1) 교사의 학습 동기를 자극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을 기울인다. 2) 교사라는 직업 자문을 위해 대학교수 및 다른 전문가들로 구성된 강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3) 종합적이고 탄탄한 통합 시스템을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