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practice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25초

가정과 교육실습에 대한 가정과 교사와 교수의 인식 (Perception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Regarding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ctice)

  • 김진;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7-10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d no investigate and to compare perception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educators regarding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tice, thereby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tice.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t follows. 1.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perception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1) the objectives of student teaching, (2) the experiences of student teaching, (3) procedures for selecting cooperating teachers, (4)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cooperating teachers, and (5)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university supervisors. 2. To identify problems and revisions about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tice suggest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included 90 home economics teachers in 500 girls’middle schools and 13 teacher educators in 21 universities with home economics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For this study, the Habedi’s instruments were used through testing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1. The areas with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jectives of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 teaching, procedures for selecting cooperating teachers, and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cooperating teachers. 2. Regarding problems about home economics students teaching practice, home economics teachers indicated difficulty in performing adequate student teaching because of reduction in class hours, and lack of student teachers’positive attitude in performing student teaching, while teacher educators indicated having reluctancy of cooperating school to admit student teachers, and difference in experiences of student teachers because of disparity among cooperating schools. As solutions about the problems of home economics student teaching practice, home economics teachers suggested that student teaching course should be limited to the students qualified for teaching and that class observation and teaching practice in real class should be emphasized, while teacher educators suggested that student teaching should be performed adequately by providing institutions to control student teaching practice teacher should be made efficient by examining the scales of cooperating schools.

  • PDF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 -생명과학 탐구 수업 시연 및 반성 과정을 중심으로-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 Identity via Planning, Enacting and Reflecting Inquiry-based Biology Instruction)

  • 안지은;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519-53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이 수업 시연 강좌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정체성을 드러내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사범대학의 '탐구학습과 생명과학실험 지도' 강좌를 수강하는 예비과학교사 22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예비교사들의 탐구 수업 설계 및 시연 과정에서 만들어진 모든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업 시연 및 반성 장면을 녹화 및 전사하였다. 또한, 수업 후에 9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녹음 및 전사하였다. 연구 결과, 강좌 초반에는 과학 교사 정체성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의 초기 구두 반성에서는 권위적 담화가 나타났으며, 이는 예비교사들이 구두 반성 활동을 '시연된 수업에 대한 평가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식은 예비교사들이 대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으로서 과제를 수행하고 교수자에게 평가를 받는 입장으로 수업 시연 강좌에 참여함을 보여준다. 강좌 중반부 이후,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사 정체성을 보여주는 담화가 관찰되었다. 중반부 이후 구두 반성에서는 종종 대화적 담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예비교사들이 구두 반성 활동을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배움 활동'으로 인식함을 보여준다. 또한 후반부에는 자신의 경험을 교사의 활동과 연결 짓고 해석하는 담화가 나타났다. 이는 예비교사들이 이 순간 자기 자신을 교사로서 인식함을 보여준다. 또한 강좌를 통해 실험 수업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었다. 강좌 내에서 참여자들의 권위를 평등화하고, 반성의 역할 모델을 제공하였으며, 수업을 둘러싼 다양한 입장을 경험해보는 연습이 이루어졌던 것이 예비교사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사 양성 과정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협력적 탐구와 반성적 실천 맥락에서 예비교사 발문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a Preservice Teacher's Questioning: The Effect of Practicum Program Based on Collaborative Inquiry Community)

  • 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4호
    • /
    • pp.515-535
    • /
    • 2008
  • 본 연구는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일환으로서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발문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실습과정을 통해 실습생의 교실담화에서 발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였다. 둘 째, 수업상황에서 제기하는 발문의 유형이 다양화면서 학생들에게 설명, 정당화 등과 같이 보다 고등수준의 수학적 사고에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세 째, 재성을 동반하는 발문이 증가하였으며, 학생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발문과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발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발문 유형에서의 변화 양상을 수업 수행 능력 개발 양상과 연결지어 설명하여 개발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수업 능력 개발에 기여하는 바와 사범대학 교육실습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to Teach: Theory Into Practice

  • Kwak, Young-Sun;Choe, Seung-Ur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6-179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constraints in implementing their ideal pedagogies and the influence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on their pedagogical beliefs changes. Unique features that the university-based coursework and field experiences had 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to teach were also explored. This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employs constructivist aspects of teacher education and generates applications of constructivism to the practice of teaching. Major findings include: preservice teachers' having traditional pedagogy as the default, recovery of prior beliefs, constraints on implementing constructivist pedagogy, and being overly confident in themselves as teachers. With the influence of constructivist epistemology, these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beliefs evolved and were refined over time as they incorporated various constructivist ideas. The benefits and influences of the M.Ed. program's theoretical coursework and the field experiences on these teachers' learning-to-teach experiences are addressed with rich data.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ors as well as for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discusse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presented.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re-service Teacher Librarian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 권선영;박장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21-3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과정을 체험하면서 느꼈던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실습과정 전반과 실습과정을 둘러싼 모든 환경을 총체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최근 교육실습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사서 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 구성요소는 '성장과정을 통한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의 형성', '진로설계에 대한 구체화와 실행전략', '실습경험을 통한 자기성장의 욕구', '조직문화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관계 인지',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현실 직시'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요소는 시간적 흐름에 의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현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사서교사를 위한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환경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 지도 영역에 대한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비교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ognition of Instruction Teacher and Student-teacher about Role of Industry Vocational Subjec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

  • 이상현;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3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생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이 지도 영역의 중요도에 대한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영역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문헌 고찰과 전문가 검증을 통해 공업계열 전문교과 예비 교사 교육 실습 담당 지도 교사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이 영역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교육 실습생에게 지도해야할 지도 영역으로는 7개 대영역, 17개의 중영역, 85개의 세부 지도영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가들은 예비교사에게 교사의 가치관 및 인성 형성 영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학교 업무와 관련된 영역은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지도할 영역으로 그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교육활동 지원 영역'과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 실습생은 대체적으로 모든 영역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전문성 향상 영역', '수업 활동 영역'의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지도 영역은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이었다. 반면 교육 실습생은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전문성 향상 영역'이었다. '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 영역', '교육 활동 지원 영역',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두 집단 모두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였다.

모델 이그노런스 교수프로그램이 예비화학교사의 인식 및 교수 실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eaching Program for Model Ignorance on the Perception and Teaching Practice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 전은선;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3호
    • /
    • pp.228-24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화학교사들이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을 교육실습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교수프로그램의 구성은 Odden & Russ의 연구에서 제안한 센스메이킹 개념과 Asli 등이 제안한 교사의 센스메이킹 단계를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우리나라 중부 지역에 있는 교사 양성 대학의 화학교육과 4학년 예비교사 23명이었다. 교수프로그램은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에 대한 센스메이킹 형성을 위하여, 초기 생각 도출 단계, 불일치 상황에서 모델의 이그노런스 인식 단계,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을 위한 수업 전략 구성 단계, 그리고 교육실습을 통한 수업 실행 계획 및 실천 단계 등 4단계로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첫 단계를 통해 산·염기 반응의 아레니우스 모델과 브뢴스테드-로리 모델, 산화·환원 반응의 전자 이동 모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초기 아이디어를 알아보았다. 두 번째 단계를 통해 모델의 지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불일치 상황을 제시하여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세 번째 단계로 교과서 분석과 수업 전략 구성 활동을 통해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수 역량을 기르는 활동을 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교육실습 동안 예비교사들에게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 실행을 계획하고 실천해 보도록 하였다. 이러한 모델의 이그노런스 교육에 대한 센스메이킹 형성 교수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인식하게 되었으며, 모델 이그노런스를 반영한 수업 전략 구성 및 실천 역량을 획득하고,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가르치는 것의 교육적 가치와 필요성에 대하여 인식하게 되었다.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사회적 관행과 정체성의 상호작용 분석 (A Study on Interaction between Social Practices and Ident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4호
    • /
    • pp.389-40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arning mathematic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by considering mathematics as a kind of social practices and mathematics classroom as a kind of community of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Do the identities which teacher has on mathematics and teaching mathematics, influence the social practices formed in mathematics classroom, and the identities which students has on mathematics and learning mathematics? 2) Do the social practices formed in mathematics classroom, and the identities which students has on mathematics and learning mathematics, influence the identities which teacher has on mathematics and teaching mathematics? This study was based on ethnomethodology. It was executed participation observations, interviews and surveys with teacher and 5 graders to collect the data for the social practices formed their classroom and their identities, and was analyz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cial practices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teacher and students' identities. We found the scenes that teacher's identities influenced the social practices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students' identities, and also the scenes that the social practices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students' identities influenced teacher's identities. So, we could know that there exist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cial practices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teacher and students' identities.

  • PDF

초등 과학 수업의 실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Perception of Teacher and Student on the Practice of Elementary Science Class)

  • 김현정;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451-464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practice of elementary science class. For this study, an examination tool was made by extracting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class through precedent study investigation and revising it in a questionnaire form of a Likert scale, and conducted to 194 elementary teachers and 320 elementary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science class positively and teachers with career more than 6 years thought it more positively than them with career less than 5 years. Consequently students have a substantially positive perception level about the practice of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and students of 3th and 4th grade perceived science class positively than 5th and 6th grade in all domains. Finally when analyzing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practice of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it appeared that students perceived science class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in most questions.

  • PDF

반성적 실천을 통한 과학교사의 교수실행변화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Reflection-in-practice in Science Teachers' Teaching Changes)

  • 최종림;이선경;김찬종;유은정;김제흥;오현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793-811
    • /
    • 2009
  • 이 연구는 교사변화(teacher changes)의 본질과 이 변화가 발생하는 과정을 구명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과학교사가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는 동안에 비교적 미시적인 교수실행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가 수업상황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지, 교사의 교수실행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 지, 변화의 특징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해석의 과정이 모두 질적으로 수행되었다. 참여교사는 경력 2년과 7년의 중학교 과학 교사이고, 2~3일간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가르치는 일상적인 수업을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 수업의 전과 후에는 면담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연구자의 관점에서 자료를 분석한 후, 자극회상면담(stimulated-recall interview)을 활용하여 녹화된 수업 자료와 전사된 인터뷰 자료를 보면서 분석된 자료를 참여교사와 확인하였고, 이때 이루어진 대화는 다시 녹음되었다. 그리고 다시 연구자에 의해 자료가 다시 분석되고, 기록된 후 참여교사에 의해 확인되는 과정이 반복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교사들의 교수실행은 크게 시간과 비중, 교수항목, 교수 실행 도구, 교수 실행 순서라고 하는 네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중 계획하거나 의도하지 않았지만, 계속해서 변화하는 불안정하고 불특정한 교수-학습 상황과 자신의 교수 행위에 대한 평소의 고민이 어우러져, 수업 중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교수 실행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셋째,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 과정에서 교사는 특정한 상황을 스스로 자신의 문제로 만들고, 즉각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탐색적 교수실행(Exploratory Teaching)'과 '검증적 교수실행(Move-testing Teaching)'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는 반성적 실천의 한 사례라 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일상적인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교수 실행의 미시적 변화를 규명하고, 교수 실행의 반성과 실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 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 및 연구에 교사 스스로 무의식적인 변화 과정을 의식화하여 반성적 실천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