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17초

대학과목선이수제를 위한 환경과학 표준교육과정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for University-level Program in Environmental Science)

  • 최돈형;조성화;이순철;전영석;홍준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4호
    • /
    • pp.67-78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standard curriculum for University-level Program (UP) in environmental science. UP has much merit; for example, high school students can develop their road for future by the UP procedure which is related intimately with their choice of road for future. Environmental Science is the subject which is stable for UP's goals because of interated nature of environmental science. These goals and the increase of social demand made us proceed this study. So this study had developed a standard curriculum for UP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designed in-service program for lecturer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the pres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liberal arts and high school environmental science curriculum. As a result,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s have been conducted mainly by an approach of natural science. Inevitably they should have limits in which students can't have holistic view in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for UP in Environmental Science targeted on three points. The first point is the consideration for nature of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interests for environment. The second point is promotion of environmental literature for talented highschool students. The third point is the level of lecture, which we put together the lecture level on university general liberal arts. And designed the in-service program for lecturers, which constructed of six field and sisty hours.

  • PDF

초등 과학 우수 학생의 일상적 맥락의 과학 문제 해결 과정: 서답형 문항에 대한 응답 분석 (Everyday science problem solving processes of high ability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Analysis of written responses)

  • 김찬종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1호
    • /
    • pp.75-87
    • /
    • 1998
  • The problem solving process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are talented in science have been seldom studied. Researchers often resort to thinking aloud method to collect data of problem solving processes.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investigating high abili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es through the analysis of written responses to science problems in everyday context. 67 elementary students were participated Chungcheongbuk-do Elementary Science Contest held on October, 1997. The written responses of the contest participants to science problems in everyday context were analyzed in terms of problem solving processe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High ability elementary students use various concepts about air and water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2) High ability elementary students use content specific problem solving strategies. (3) The problem solving processes of the high ability elementary students consist of problem representation, problem solution, and answer stages. Problem representation stage is further divided into translation and integration phases. Problem solving stage is composed of deciding relevant knowledge, strategy, and info..ins phases. (4) High ability elementary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es could be categorized into 11 qualitatively different groups. (5) Students failures in problem solving are explained by many phases of problem solving processes. Deciding relevant knowledge and inferring phases play major roles in problem solving. (6) The analysis of students' written responses, although has some limitations, could provide plenty of information about high ability elementary students' problem solving precesses.

  • PDF

고등학교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수학적 사고력의 비교 (Difference between Gifted and Regular High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 황동주;이강섭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847-860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수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9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수학적 사고력 검사를 353명의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과 192명의 과학 고등학교 1학년 학생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학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정보의 조직화 능력, 시각화/공간화 능력 및 직관적 통찰 능력이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을 구분하는 중요한 특성임을 추출하였다.

음악재능 청소년의 음악열정: 음악가치, 음악만족감 및 음악성취감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Musically Talented Adolescents' Passion for Music: On the Relations of Music Valuation, Satisfaction in Music, and Music Accomplishment)

  • 안도희;김유리;홍성아
    • 영재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81-9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음악재능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닌 음악에 대한 열정(조화열정, 강박열정)의 고 저에 따른 군집 간 음악가치, 음악만족감 및 음악성취감이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음악가치와 음악성취감 간의 관계에서 음악열정과 음악만족감의 매개효과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경기, 충남 및 부산지역에 소재한 예술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음악 전공학생 총 599명이었으며, 이들 중 응답이 불성실한 학생들을 제외한 나머지 총 524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음악열정 유형의 고 저에 따른 군집이 4개(고열정, 조화열정, 강박열정, 저열정)로 나타났으며, 이들 4개 집단 간 음악가치, 음악만족감 및 음악성취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모두 높게 지니고 있는 고열정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강박열정은 낮지만 조화열정이 높은 조화열정 집단이 높게 나타났고,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모두 낮은 저열정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가치와 음악성취감 간의 관계에서 열정(조화열정, 강박열정)과 음악만족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조화열정이 강박열정에 비해 음악성취감에 미치는 직 간접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와 아울러, 음악가치의 영향을 받은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모두 음악성취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음악만족감을 거쳐 음악성취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강박열정보다 조화열정을 추구할 때 음악재능 청소년들의 음악성취감이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음악재능 청소년들의 음악성취감 증진을 위해 이들로 하여금 강박열정보다는 조화열정을 추구할 수 있도록 지도해 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모델링 활동에 대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Perception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on Modeling Activity)

  • 하지희;이화종;강성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87-20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의 사고과정을 반영한 모델링 탐구를 적용한 후 모델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기체의 확산, 이온의 전도도, 이온의 이동에 대한 모델링 모듈을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모델링 모듈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터뷰, 실험보고서, 대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모델링 탐구가 과학자의 연구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이며, 모델링 탐구는 '생각의 근육'을 키우는 활동, '새로운 시각'과 '다양한 표현'이 필요한 활동, '실험 디자인' 과정이 포함된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다양한 모델링 모듈의 개발이 필요하다.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영재판별의 차이 (Difference on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by Level of Percep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 고민석;박병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427-447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영재 판별 및 추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라 영재 판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영재관련 경험에 따라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재직무연수를 이수하였거나 관찰추천을 담당하는 교사의 영재판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일반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교사들은 영재판별척도로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를 가장 높은 판단 기준으로 여겼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학부모 추천 및 동료 추천에 대한 교사들의 영재판별척도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학습능력, 창의성, 리더십, 학습동기 및 태도에 비해 낮았으며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 집단이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 영역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학교 조기입학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arly Entrance Experiences of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 전미란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25-4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교에 조기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기입학의 경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과학영재고등학교 조기입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Giorgi 방법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3개의 주제와 5개의 중심의미를 추출하였다. 조기입학 학생들은 연습삼아 지원했다가 합격하게 되면서 준비 없이 1년을 단축하고 고등학교에 입학하게 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경험하지만 따라잡음에 대한 문제는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차별화된 교육과정, 기숙사 생활, 학생들의 학습을 중시하는 분위기 등이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리더로 나서기가 어렵거나 뭔가 부족한 면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 적응하고 결국에는 형이라고 부르는 친구가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의 성격이 중요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기입학 같은 학생 배치 문제는 나이의 문제가 아니라 학교의 분위기나 개인의 성격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문제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국민학생의 과학개념, 과학과 관련된 태도, 지능의 상관 관계 연구 (Correlatio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Conception, Intelligence and Attitude to Science)

  • 권정민
    • 영재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1-15
    • /
    • 1995
  • The latest researchs show that students have their own preconceptions about scientific phenomena or theory before they learn about it in school. The preconceptions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intelligence and attitude to sci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rom 4th and 6th grade. Data were obtained by IQ test and the questionnaires on scientific conception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he result was analyzed by t-test, Correlation and ANOVA in the statistical packages SPSS/PC+.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scientific con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12.89. The mean score of attitude to science was 247.29. The mean score of intelligence was 109.93. 2.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cientific conception and intelligence (r=.5098)was relatively high(p<.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ttitude to science and scientific conception(r=.2364) was low(p<.001). 3. Significant difference on science conception was found among grade levels(p<.001). Significant difference on science conception was not found between sex (p>.05). 4.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y intelligenc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hese 4 groups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the scientific conception. The groups of high of high intelligence showed high scientific conception.

  • PDF

과학영재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elf Esteem and Reactions on Landscape Montage Test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 송순현;박경빈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2호
    • /
    • pp.313-333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 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1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아존중감 척도검사와 풍경구성법을 실시한 후 SPSS.PASW18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보다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전체적으로 높았다. 둘째, 풍경구성법에 나타난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 간의 반응특성을 살펴보았다. 풍경구성의 통합성, 원근과 공간감 표현, 추가 항목 수, 문과 창문의 유무 4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과학영재 고등학생 집단과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 간의 자아존중감과 풍경구성법 반응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귀인성향과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Relation between Attribution Style of Elementary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on and Their Attitude to Information Science)

  • 이재호;정누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547-563
    • /
    • 2015
  • 본 연구는 성별, 학년, 영재교육기간에 따른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 귀인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귀인성향,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 ICT 역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정보과학영재 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귀인성향의 차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내적성향이 더 높았고 외적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학년이 6학년보다 내적, 외적성향 모두 점수가 높았고 1년과 2년 이상 교육받은 학생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 남녀 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5학년이 6학년보다 몇 가지 요인에서 점수가 높았다. 영재교육기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귀인성향은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 내적성향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외적성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ICT역량의 하위요인인 ICT 원리에 대한 이해는 내적 성향과, SW코딩 능력은 외적성향 중 과제곤란도 요인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ICT 역량의 몇 가지 하위요인과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시사점은 여학생들이 정보과학의 성취결과를 노력 귀인에 더 많은 비중을 부여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고학년 학생들에게 정보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정보과학영재의 선발 과정에서는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 역시 선발 요인으로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하며 정보과학학습에 대한 노력에 가치를 두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