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il length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33초

감마선 조사 과일류에서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에 따른 DNA Fragmentation의 변화 (Changes of DNA Fragmentation by Irradiation Doses and Storage in Gamma-Irradiated Fruits)

  • 김상미;박은주;양재승;강명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94-598
    • /
    • 2002
  • 과일의 방사선 조사 여부 확인과 저장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감마선 조사로 유도된 DNA손상을 comet assay로 확인하였다. 키위, 오렌지, 배를 구입하여 0.1, 0.3, 0.5, 0.7, 1.0 kGy의 저 선량으로 조사하고 비 조사 시료와 조사 시료간의 DNA 손상정도를 tail length와 tail moment로 측정하였다. 과일 씨의 DNA를 형광 염색하여 이미지 분석기를 이용하여 comet 양상을 관찰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비 조사 시료보다 조사시료의 tail length가 더 길었으며 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tail length가 유의적으로 길게 나타났다. Tail moment로 나타난 결과도 이와 비슷하였으나 전체적으로 tail length에 비해 그 민감도가 낮았다. 방사선 조사한 과일을 저온에서 3개월 동안 저장한 후에도 저장 전과 마찬가지로 모든 시료에서 비 조사시료보다 조사 시료의 tail length가 더 길었으며, 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tail length가 길게 나타나, 저장 후에도 comet assay를 이용해 조사 시료와 조사 시료의 방사선 조사여부를 검지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comet assay는 신선한 과일과 일정기간 저장한 과일의 방사선 조사여부 판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감마선 조사된 감자, 마늘, 생강에서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에 따른 DNA fragmentation의 변화 (Changes of DNA Fragmentation by Irradiation Doses and Storage in Gamma-irradiated Potato, Garlic and Ginger)

  • 이혜진;박유경;양재승;강명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1-258
    • /
    • 2004
  • The changes in DNA damage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fter irradiation. Potato, garlic were irradiated at 0.05, 0.07, 0.1 and 0.15 kGy and stored for 3 months. Ginger was irradiated at 0.01, 0.02, 0.03, 0.04 and 0.05 kGy and stored for 1 month. The comet assay was applied to the sample immediately after irradiation and at the end of storage. Samples were isolated, grounded and the suspended cells were embedded in an agarose layer. After lysis of the cells, they were electrophoresed for 1 min. and then stained. DNA fragmentation in seeds caused by irradiation was quantified as tail length and tail moment (tail length ${\times}%$ DNA in tail) by comet image analyzing system. Right after irradiation, the differences in tail length between unirradiated and irradiated samples were significant(p<0.05) in potato, garlic and ginger. With increasing the irradiation doses, statistically significant longer extension of the DNA from the nucleus toward anode was observed. The results represented as tail moment showed similar tendency to those of tail length. Similarly in the stored samples, even 1 or 3 months after irradiation, all the irradiated samples significantly showed longer tail length than the unirradiated contro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et assay could be one of the simple methods of detecting irradiated samples. Moreover, the method could detect DNA damage even after 1 or 3 months after irradiation.

감마선 조사 육류, 가금류에서 저장전과 후의 조사선량에 따른 DNA fragmentation의 변화 (Changes of DNA fragmentation by Irradiation Doses and Storage in Gamma-irradiated Meats and Poultry)

  • 이혜진;김상미;박유경;양재승;강명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9-138
    • /
    • 2004
  • The changes in DNA damage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fter irradiation. Beef, pork and chicken were irradiated at 1.0, 3.0 and 5.0 kGy and stored for 6 months at $-20^{\circ}C$. The comet assay was applied to the sample muscles at the beginning of irradiation and at the end of storage. Muscles were isolated, sliced, and the suspended cells were embedded in an agarose layer. After lysis of the cells, they were electrophoresed for 2 min. and then stained. DNA fragmentation in tissues caused by irradiation was quantified as tail length and tail moment (tail length ${\times}$ % DNA in tail) by comet image analyzing system. Right after irradiation, the differences in tail length between unirradiated and irradiated muscles were significant(p<0.05) in beef, pork and chicken. With increasing the increasing doses, statistically significant longer extension of the DNA from the nucleus toward anode was observed. Similarly even 6 months after irradiation, all the irradiated muscles significantly showed longer tail length than the unirradiated controls. The results represented as tail moment showed similar tendency to those of tail length, but the latter parameter was more sensitive than the form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et assay could be one of the simple methods of detecting irradiated muscles. Moreover, this method suggest that using comet assay, we were able to detect DNA damage differences even after 6 months after irradiation.

POWER TAIL ASYMPTOTIC RESULTS OF A DISCRETE TIME QUEUE WITH LONG RANGE DEPENDENT INPUT

  • Hwang, Gang-Uk;Sohraby, Khosrow
    • 대한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7-107
    • /
    • 2003
  • In this paper, we consider a discrete time queueing system fed by a superposition of an ON and OFF source with heavy tail ON periods and geometric OFF periods and a D-BMAP (Discrete Batch Markovian Arrival Process). We study the tail behavior of the queue length distribution and both infinite and finite buffer systems are considered. In the infinite buffer case, we show that the asymptotic tail behavior of the queue length of the system is equivalent to that of the same queueing system with the D-BMAP being replaced by a batch renewal process. In the finite buffer case (of buffer size K), we derive upper and lower bounds of the asymptotic behavior of the loss probability as $K\;\longrightarrow\;\infty$.

DNA ‘Comet Assay’를 이용한 곡류의 방사선 조사 여부 확인 (Detection of Irradiated Grains Using the DNA ‘Comet Assay’)

  • 김충기;양재승;이해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06-911
    • /
    • 1999
  • 저선량으로 조사된 곡류의 방사선 조사 여부를 판별 하는데 DNA 'Comet Assay'의 활용이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참깨, 들깨, 밀, 보리 및 쌀을 0, 0.1, 0.3, 0.5, 0.7, 1.0 kGy로 조사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에 PBS 용액을 가하여 세포 현탁액을 조제하고 agarose gel과 혼합하여 microscope slide 상에서 lysis한 후 전기영동하여 염색한 다음 DNA 절편의 이동에 의해 형성된 ‘comet’의 tail length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0.3 kGy 이상으로 조사한 모든 시료에서 tail length가 비조사한 시료와 차이를 나타내어 조사 여부를 확실히 판별할 수 있었다. 또한 비조사된 시료에서는 tail이 없거나 아주 짧은 tail을 가진 세포들이 관찰되었으며, 조사된 시료에서는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DNA의 손상정도가 증가함으로서 tail length가 길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히 참깨, 들깨 및 밀의 경우는 0.1 kGy의 낮은 조사선량에서도 현미경을 통하여 육안으로 비조사한 시료와의 구별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DNA 'Comet Assay'는 간단하고 신속하며 비교적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곡류의 방사선 조사 여부를 판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Exploitation of the Dose/Time-Response Relationship for a New Measure of DNA Repari in the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Comet) Assay

  • Kim, Byung-Soo;Edler, Lutz;Park, Jin-Joo;Fournier, Dietrich Von;Haase, Wulf;Sautter-Bihl, Mare-Luise;Hagmuller, Egbert;Gotzes, Florian;Thielmann, Heinz Walter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89-100
    • /
    • 2004
  • The comet assay (also called the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assay) has been widely used for detecting DNA damage and repair in individual cells. Since the conventional methods of evaluating comet assay data using frequency statistics are unsatisfactory we developed a new quantitative measure of DNA damage/repair that is based on all information residing in the dose/time-response curves of a comet experiment.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25 breast cancer patients before undergoing radiotherapy. The comet assay was performed under alkaline conditions using isolated lymphocytes. Tail DNA, tail length, tail moment and tail inertia of the comet were measured for each patient at four doses of $\gamma$-rays (0, 2, 4 and 8 Gy) and at four time points after irradiation (0, 10, 20 and 30 min) using 100 cells each. The resulting three-dimensional dose-time response surface was modeled by multiple regression, and the second derivative, termed 2D, on dose and time was determined. A software module was programmed in SAS/AF to compute 2D values. We applied the new method successfully to data obtained from cancer patients to be assessed for their radiation sensitivity. We computed the 2D values for the four damage measures, i.e., tail moment, tail length, tail DNA and tail inertia, and examined the pairwis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2D both on the log scale and the unlogged scale. 2D values based on tail moment and tail DNA showed a high correlation and, therefore, these two damage measure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as far as DNA repair is concerned. 2D values based on tail inertia have a correlation profile different from the other 2D values which may reflect different facets of DNA damage/repair. Using the dose-time response surface, other statistical models, e.g., the proportional hazards model, become applicable for data analysis. The 2D approach can be applied to all DNA repair measures, Le., tail moment, tail length, tail DNA and tail inertia, and appears to be superior to conventional evaluation methods as it integrates all data of the dose/time-response curves of a comet assay.

Comet assay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육의 판별 (Discrimination of Irradiated Beef Using Comet Assay)

  • 정석규;박종흠;지승택;박금주;김해홍;현창기;신현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47-754
    • /
    • 2000
  • Comet assay를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육의 조사여부 및 조사량을 판별해내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1-10 kGy의 감마선 조사량으로 조사한 육조직에서 일어나는 DNA 손상을 측정하였다. Comet assay에 있어 최적의 comet image를 얻기 위해 세포 분리, 세포 lysis 및 전기영동에 대한 여러 조건들을 적용하여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DNA 손상도는 관찰되는 comet의 평균 tail length와 tail length에 의해 구분된 4 손상 등급에의 분포, 그리고 그 분포비율에 의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식에 의해 계산한 relative damage index(RDI) 값 등으로 비교 판정하였다. 평균 tail length와 RDI 값은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DNA 손상도가 증가됨을 나타내었으며, 평균 tail length으로는 조사량 간의 차이를 명확히 분별하기가 어려웠던 반면 RDI 값에 의하면 조사여부 및 조사량을 판별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산 한우육과 수입 냉장육에 대하여 blind test를 실시한 결과 수입육이 높은 DNA 손상도를 나타내었는데 그 RDI 값은 방사선 조사에 의한 값보다는 비교적 낮은 것이어서 수입육의 DNA 손상은 방사선 조사가 아닌 저온처리의 결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Comet assay가 우육의 방사선 조사여부 및 조사량 판별에 유용한 기술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고강도 운동 시 성별에 따른 혈장 MDA, SOD 및 임파구 DNA 손상 변화 (Gender-Specific Changes of Plasma MDA, SOD, and Lymphocyte DNA Damage during High Intensity Exercise)

  • 조수연;정영수;곽이섭;노희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38-844
    • /
    • 2011
  • 본 연구는 고강도 1회성 운동 시 혈장 MDA와 SOD의 농도변화와 임파구 DNA 손상에 대한 성별의 차이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자 대학생과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85%$VO_{2max}$ all-out 운동수행에 따른 혈장 MDA와 SOD 그리고 임파구 DNA 손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85%$VO_{2max}$ all-out 운동에 따른 혈장 MDA와 SOD는 운동 종료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성이 여성에 비해 MDA는 높고 SOD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85%$VO_{2max}$ all-out 운동에 따른 임파구 DNA 손상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comet assay 결과 세 가지 parameter (%DNA in the tail, tail length, tail moment) 모두 운동 종료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남성의 %DNA in the tail과 tail length가 여성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1회성 고강도 운동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산화적 손상이 더 크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DNA 손상에는 산화적 스트레스 외에도 체력, 호르몬 수치, 생활습관, 운동 강도 및 지속시간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성별에 따른 DNA 손상에 대한 명확한 기전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DNA 손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들과의 관계를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당뇨환자에 있어서 녹용추출물의 섭취가 혈압, 혈당 및 임파구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er Antler Drink Supplementation on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and Lymphocyte DNA Damag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 김혜영;전은재;박유경;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9호
    • /
    • pp.794-800
    • /
    • 2004
  • Deer Antler has been known for its traditional oriental medicinal properties and has been widely used to promote growth, boost immune function, treat blood loss and chronic joint pain. Recent study showed imported (New Zealand) Deer Antler was beneficial in reducing the side effects of cancer treatments. However, there was no intervention study conducted on the effect of Korean Deer Antler on reducing the oxidative stress to patients with diabetes. One of the sensitive ways to measure endogenous oxidative stress is by measuring cellular DNA damage using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COMET assa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beneficial effect of commercial Deer Antler drink (provided by Chung-yang Deer Farm) on lymphocyte DNA damage and blood glucose of diabetic patients. Ten patients (4 men, 6 wo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nsumed 2 pouches of Deer Antler drink every day for 20 days. Blood was collected on the morning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for lymphocyte isolation and blood glucose analysis. Bo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u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the trial. Blood glucose level was not affected by the supplementation. After the intervention, over 50% reduction were noted in the cellular DNA damage, expressed as tail length (TL) and tail moment (TM: tail length ${\times}$ percent tail DNA) . Although we did not obtain beneficial effect on lowering blood glucose levels in the patients, this results suggest that Deer Antler may initially act in protecting endogenous DNA damage in short-term experiment.

용접흄 흡입노출 영장류에서 Fpg/Endo Ⅲ FLARE Assay를 이용한 DNA 손상 및 회복 (DNA damages with Fpg/Endo Ⅲ FLARE Assay in cynomolgus monkeys exposed to stainless steel welding fume)

  • 임경택;김수진;정용현;김현영;맹승희;유일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2-281
    • /
    • 2007
  • 선박제조업을 비롯한 운송업 및 건축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용접기술이 이용되어 옴에 따라 용접근로자들에 대한 산업보건학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노출정도가 다양하기는 하지만 용접흄은 6가 크롬을 비롯한 금속화합물과 유해가스, 화학물질 등을 복합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스테인레스 스틸 용접흄에 대한 유전독성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흡입챔버를 이용, 실험동물인 영장류에 스테인레스 스틸 용접흄을 노출시키고 혈액 내 lymphocytes에 생성된 용접흄 노출농도 및 시간별 DNA 손상정도 및 그 회복효소를 측정함으로써, 유해성이 완전하게 확인되지 않은 용접흄에 노출되어 나타날 수 있는 암을 비롯한 심각한 건강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각 지표들을 찾아 그 유용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영장류를 노출시키기 위해 robotic arm을 장치한 영장류 흡입노출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 노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컷 영장류 6마리에 대해 용접흄 노출시험을 실시하였는데 실험군은 대조군 2, 저농도 ($31mg/m^3$) 노출군 2, 고농도 ($63mg/m^3$) 노출군 2마리로 구성하였고, 1일 2시간씩 일주일에 5일 동안 용접흄에 노출시켰다. 노출 농도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였고, 노출과정 중에 영장류의 혈액을 채취하여 lymphocytes를 분리, 단세포 DNA 손상을 선별하기 위해 DNA 손상회복 효소인 E. coli formamidopyrimidine-DNA glycosylase (Fpg)와 endonuclease Ⅲ (Thymine Glycol-DNA glycosylase) 투여와 Comet asaa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단세포겔전기영동기법)를 결합시켜 이용하는 Fpg/Endo III FLARE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Fpg enzyme에 의한 olive tail moment값의 변화는 16주 노출군부터 노출부검(34주)군 까지 노출농도가 높아짐에 따른 olive tail moment 기하평균 값의 양 반응관계를 보기는 어렵지만, 고농도군의 경우 27주 노출군에서 가장 높은 olive tail moment 값을 보이고 이후 차츰 감소하였다. 한편 16주에서 22주까지의 노출기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노출군에서 DNA손상정도(olive tail moment값)는 모두 유의하게 높았으나, 6, 12, 18, 25, 31, 33, 35주간 노출하였을 때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각 실험군의 Fpg enzyme에 의한 tail length값의 분포를 살펴볼 때, 저농도군 및 고농도군에서 27주간 노출하였을 때 가장 높은 tail length 값을 보이고 이후 차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16, 22주간 노출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노출군에서 tail length 값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20주간에서만 양 반응관계가 관찰되었고, 다른 주간에서는 양 반응 및 기간 반응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Endo III enzyme에 의한 olive tail moment값의 변화는 기간별 노출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DNA손상정도(olive tail moment값)를 나타내는 결과들이 있었지만, 10, 12, 16, 22, 25, 31주간 노출하였을 때 등 상당수 노출기간에서 반응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각 실험군의 Endo III enzyme에 의한 tail length값의 분포를 살펴볼 때, 18, 20, 27, 33주간 노출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노출군에서 tail length 값이 조금 높았지만, 양 반응 및 기간 반응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수치의 크기가 불규칙하게 변화하였다. 즉, DNA에 있어 산화된 pyrimidine을 형성하여 손상된 부위의 염기를 제거함으로써 AP site (abasic site)를 만들고 이들이 Comet assay를 통해 break로 전환된 것을 포함한 DNA손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endonuclease III (Endo III)를 첨가시킨 Endo III FLARE 분석법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용접흄 노출 영장류에서 Olive tail moment 및 tail length 공히 노출량 및 노출기간 반응관계를 볼 수 없었다. Endo III FLARE 분석법을 통한 산화적 DNA 손상지표는 영장류에 적용하기에는 적응반응현상으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도 관찰할 수 없었고 더욱이 역으로 대조군에서의 자연발생적 수치가 더 높아질 수 있어 용접흄 노출 영장류의 모니터링 지표로 사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