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stem identification

검색결과 5,890건 처리시간 0.047초

감음성 난청 보상을 위한 부밴드 구조 디지털 보청기 설계 (A Subband Structured Digital Hearing Aid Design for Compensating Sensorineural Hearing Loss)

  • 박조동;최훈;배현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38-24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보청기의 보상필터와 적응 궤환제거기의 부밴드 설계기법을 다룬다 감음 신경성 난청은 주파수 대역에서 비선형 특성을 보이는 가청 한계값 (hearing thresholds)을 가지며 시변하는 궤환경로에 의해 보상이 어렵다. 그러므로 디지틸 보청기는 주파수 대역별 비선형적 이득조정이 가능하며 반향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보상기를 필요로 한다. 제안한 디지털 보청기에서 보상필터는 부밴드 구조에서 적응 시스템 식별기법을 이용하여 설계되며 적응 궤환제거기는 부밴드 인접투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설계된다. 설계된 보상필터는 비선형 이득을 각 부밴드에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이득보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부밴드 적응필터를 사용하는 궤환제거기는 빠른 수렴속도를 가진다. 설계된 보상필터는 주파수 대역별로 비선형적 이득보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적응 궤환제거기는 원치 않은 반향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제안한 보상필터의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전 방법의 성능과 비교하여 입증한다.

有機하로겐 化合物의 中性子線 照射에 依한 定性放射化 크로마토그래피에 關한 硏究 (Study on a Ridio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of Organic Halogen Compounds by a Neutron Irradiation. A Qualitative Approach)

  • 김유선;최송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7-56
    • /
    • 1964
  • 展開한 페이퍼크로마토그램을 韓國 Triga-Mark-Ⅱ 硏究用 原子爐의 뉴마딕튜부施設(中性子線束; 1.5{\times}$10^{12}n/cm^2$, sec)을 利用하여 照射하여 본 結果 크로마토그램上에 展開된 스폿트(spot)를 定性的으로 確認할 수 있었다. 有機하로겐 化合物(크로로酸, 크로로에스테르, 沃化物, 及 弗化物)에 있어서 一般發色法으로서는 明確한 着色스폿트(spot)를 나타내지 못한 것에 있어서도, 이 方法으로서 展開된 스폿트를 明確히 區別할 수 있었다. 濾紙成分의 放射化에 依한 誤差를 減少시키기 爲하여 濾紙두께 補正 及 放射化度 補正을 硏究한 結果, 濾紙두께 補正 及 放射能崩壞 補正法을 究明하였으며, 이 方法으로 스폿트를 放射化하여 定性分析하는데 좋은 結果를 얻을 수 있었다. 有機하로겐化合物의 分析 及 確認에 있어서의 이 方法의 效用性에 關하여 論議하였다. 濾紙相으로는 正常相 及 逆相을 함께 使用하였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a2]-Neuromedin N from the Visceral Tissue of the African Lungfish, Protopterus dolloi

  • Kim, Chan-Hee;Go, Hye-Jin;Kim, Eun-Jung;Seo, Jung-Kil;Hong, Yong-Ki;Kim, Hyung-Rak;Chung, Joon-Ki;Muneoka, Yojiro;Park, Nam-Gy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11호
    • /
    • pp.1733-1736
    • /
    • 2006
  • A new biologically active peptide with structural similarity to neuromedin N (NMN) has been isolated from extracts of visceral tissue of the African lungfish, Protopterus dolloi, using the rectum of the quail as the bioassay system. The primary structure of NMN-related peptide was established as Lys-Ala-Pro-Tyr-Ile-Leu-OH ([$Ala_2$]-NMN) and contained one substitution ($Ala_2\rightarrow$Ile) compared with the porcine NMN. [$Ala_2$]-NMN was found to have an excitatory effect on rectal muscle tissues of quail (Coturnix japonica), newt (Cynops pyrrhogaster) and black bass (Micropterus sulmoides). The threshold concentration of [Ala2]-NMN for contraction of C. japonica muscle was found to be approximately $10^-11$M. [$Ala_2$]-NMN showed contractile activities in the following order: C. japonica > C. pyrrhogaster > M. sulmoides. The identification of [Ala2]-NMN provides evidence that NMN family, hitherto confined to mammals, has a widespread occurrence in lungfish.

중대사고관리전략의 평가를 위한 의사결정수목과 영향도에 관한 연구 (On the Tools of Decision Trees and Influence Diagrams for Assessing Severe Accident Management Strategies)

  • Moosung Jae;Park, Chang-Ku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6권2호
    • /
    • pp.168-178
    • /
    • 1994
  • 사고관리란 사고발생시에 이용가능한 모든 자원, 즉 인원과 설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발전소를 안전상태로 회복시키거나 사고의 피해를 완화시키기 위한 제반 활동을 말한다. 사고관리의 접근방식은 첫째, 후보사고관리방안의 사전 평가, 둘째, 효과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수행하게 하는 세부 절차서의 개발, 그리고 셋째, 그러한 조치수행에 필요한 도구와 자원의 준비, 실현 가능한 원전 시스템의 변경등을 포함한다. 사고관리 전략을 평가할 때에는 그 전략의 효율성분만 아니라 부작용, 타당성, 필요한 정보, 기존 절차서와의 양립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여러가지 사고관리 전략을 모델링하고 평가하기위한 체제를 개발하기 위한 의사결정 수목과 영향도의 해석도구를 소개하는 것이다. 이 해석도구와 관련한 여러가지 특징들이 제시되었으며 이 해석도구에 근거하여 세워진 사고관리전략의 평가체제가 간단한 예제문제에 적용되었다.

  • PDF

GC/MS와 화장품 분석의 응용 (GC/MS and its applications for the analysis of cosmetic produtcts)

  • 노경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9
    • /
    • 1993
  • GC/MS는 GC의 분리능과 질량분석기의 화합물의 확인 능력을 결합시킨 기기이다. 질량분석기는 1) 시료를 주입하는 시료 주입부 2) 이온을 형성시키는 ion source 3) 이온을 질량 대 하전비로 분리하는 질량 분석관 4) 분리된 이온을 감지하고 신호를 증폭하는 검출기 5) 검출된 신호로부터 질량스펙트럼을 만들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GC/MS는 혼합물을 GC로 분석하여 MS를 반복적으로 주사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크로마토그램을 얻은 후 각 성분의 질량스펙트럼으로부터 물질 구조를 확인하는 scan mode와 특정 성분을 높은 감도로서 정량할 수 있는 SIM mode를 수행한다. GC/MS를 이용한 화장품 분석의 예로서 로션, 크림화운데이션, 염모제중의 휘발성분 분석과 비누중의 지방산 분석, 그리고 head space sampler/GC/MS를 이용한 치약 중의 휘발성분 분석 결과를 소개하였다.

  • PDF

배관계 티에서 유동가속부식으로 인한 난류속도성분과 국부감육의 관계 규명 (Identification between Local Wall Thinning and Turbulent Velocity Components by Flow Acceleration Corrosion inside Tee of Pipe System)

  • 김경훈;이상규;조연수;황경모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3권7호
    • /
    • pp.483-491
    • /
    • 2011
  • When pipe components made of carbon steel in nuclear, fossil, and industry are exposed to flowing fluid, wall thinning caused by FAC(flow accelerated corrosion) can be generated and eventually ruptured at the portion of pressure boundary. A study to identify the locations generating local wall thinning and to disclose turbulence coefficient related to the local wall thinning was performed. Experiment and numerical analyses for tee of down scaled piping components were perform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In particular, flow visualization experiment which was used alkali metallic salt was performed to find actual location of local wall thinning inside tee components.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urbulence coefficients and local wall thinning, nume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for tee components. The turbulence coefficients based on the numerical analyses were compared with the local wall thinning based on the measured data. From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the vertical flow velocity component(Vr) flowing to the wall after separating in the wall due to the geometrical configuration and colliding with the wall directly at an angle of some degree was analogous to the configuration of local wall thinning.

GroupMutual-Boost를 이용한 얼굴특징 선택 및 얼굴 인식 (Face Feature Selection and Face Recognition using GroupMutual-Boost)

  • 최학진;이종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3-20
    • /
    • 2011
  • 현재 일상생활에서 얼굴 인식은 신원확인, 보안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얼굴인식의 과정은 첫 번째로 얼굴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해야 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특징을 학습하고 그 중 학습이 잘된 식별력 있는 특징을 선택하게 된다. 그 이후 식별력 있는 특징을 이용하여 얼굴이미지를 인식하게 된다. 얼굴인식을 위해 사용하는 얼굴이미지의 특징의 수는 매우 많다. 이 많은 특징을 학습 및 인식에 다 사용할 경우 학습 시간과 컴퓨팅 자원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여러가지의 Boosting 기법이 소개되어왔다. Boosting 기법은 특징을 효율적으로 선택하여 학습 알고리즘의 성능을 좋게해주는 기법이다. 그 중 MutualBoost라는 기법이 있는데 이 기법은 특징간의 상호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을 효율적으로 선택하게 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MutualBoost의 효과를 더 증대시키기 위해서 개별적인 특징학습이 아니라 특징들을 Group화하여 특징학습을 하는 GroupMutual-Boost기법을 제안한다. 특징들을 Group화 함으로써 특징의 학습 및 선택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컴퓨팅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velopment of a single-nucleotide-polymorphism marker for specific authentication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Meyer) new cultivar "G-1"

  • Yang, Dong-Uk;Kim, Min-Kyeoung;Mohanan, Padmanaban;Mathiyalagan, Ramya;Seo, Kwang-Hoon;Kwon, Woo-Saeng;Yang, Deok-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1호
    • /
    • pp.31-35
    • /
    • 2017
  • Background: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is a well-known medicinal plant of Oriental medicine that is still in practice today. Until now, a total of 11 Korean ginseng cultivars with unique features to Korean ginseng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pure-line-selection method. Among them, a new cultivar namely G-1 with different agricultural traits related to yield and content of ginsenosides, was developed in 2012. Metho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tinguish the new ginseng cultivar G-1 by identifying the unique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SNP) at its 45S ribosomal DNA and Panax quinquefolius region than other Korean ginseng cultivars using multiplex amplification-refractory mutation system-polymerase chain reaction (ARMS-PCR). Results: A SNP at position of 45S ribosomal DNA region between G-1, P. quinquefolius, and the other Korean ginseng cultivars was identified. By designing modified allele-specific primers based on this site, we could specifically identified G-1 and P. quinquefolius via multiplex PCR. The unique primer for the SNP yielded an amplicon of size 449 bp in G-1 cultivar and P. quinquefolius. This study present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genetic identification of the G-1 cultivar and P. quinquefolius. Conclusion: The results from our study shows that this SNP-based approach to identify the G-1 cultivar will be a good way to distinguish accurately the G-1 cultivar and P. quinquefolius from other Korean ginseng cultivars using a SNP at 45S ribosomal DNA region.

Penicillium islandicum에 의한 황변미독(黃變米毒) Luteoskyrin의 생성(生成) (Formation of Luteoskyrin by Penicillium islandicum)

  • 김용화;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6-51
    • /
    • 1978
  • 황변미독(黃變米毒)의 일종인 luteoskyrin의 동정(同定) 및 정량법(定量法)을 검토한 후 변질미에서 분리된 Pen. islandicum의 luteoskyrin 생성능(生成能)을 추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Luteoskyrin은 0.5 N oxalic acid impregnated silicagel G plate로서 acetone : n-hexane : water(6:3:1.5, upper layer)를 전개용매로하는 TLC방법에서 분리(分離)가 가장 좋았다. 분리된 황색물질의 최대흡수파장(吸收波長)은 426, 448nm이었으며 chromatogram을 태양광선에 $2{\sim}3$시간 노출시 자색(紫色)으로 변하였다. 2) Luteoskyrin의 정량법으로서 TLC전개(展開)후 용출비색법(溶出比色法)에서는 4 ppm, densitometry에서는 0.1 ppm이 검출한계(檢出限界)이었다. 미곡 중의 허용량(許容量)을 3.68 ppm이하로 정설할 경우 곡류시료 중 luteoskyrin의 검색(檢索)에는 densitometry가 적합할 것이다. 3) Pen. islandicum에 의한 luteoskyrin 생성능은 Czapek 액체배지에서는 균계체(菌系體) 1g당 11mg, 가압살균한 쌀에서는 1g당 40mg이었다.

  • PDF

가금티브스균 Salmonella gallinarum의 생육을 저해하는 길항미생물의 선발 및 동정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ultural Condition of the Antagonistic Microorganism Against Salmonella gallinarum Causing Fowl Typhoid)

  • 김진락;김상달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43-848
    • /
    • 2003
  • 가금티프스는 가금류에 Salmonella gallinarum이 원인균이 되어 발병하는 양계산업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질병이다. 가금티프스를 억제하기 위한 생균제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써 가금티프스 원인균인 Salmonella gallinarum의 생육을 저해시킬 수 있는 길항균주를 토종닭의 내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생육특성과 길항물질 생산성을 조사하고, 이 균주를 분류학적으로 동정하였다. 분리된 길항균주는 Bacillus amyloliquefaciens와 98% 상동성을 나타내어 최종적으로 Bacillus amyloliquefaciens Y3로 명명하였다. 0.3% maltose, 0.2% $NH_4Cl,\; 37^{\circ}C$ pH 7에서 균생육 및 길항물질의 생산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나 장내 담즙에 대한 내성은 크게 나쁘지 않을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생산된 길항물질을 추정하여 본 결과 분자량이 10,000보다 작은 저분자물질이었으며 $80^{\circ}C$에서 20분간 열처리한 후에도 80%의 활성을 유지하는 내열성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선발되어진 Bacillus amyloliquefaciens Y3가 생산해내는 길항물질에 대한 연구와 개량을 통하고 장내 정착성 실험을 거쳐 우수균주로 확인되면 양계산업에 사용될 우수한 생균제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