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paramagnetic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초

Engraftment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in a Rat Photothrombotic Cerebral Infarction Model : Comparison of Intra-Arterial and Intravenous Infusion Using MRI and Histological Analysis

  • Byun, Jun Soo;Kwak, Byung Kook;Kim, Jae Kyun;Jung, Jisung;Ha, Bon Chul;Park, Serah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4권6호
    • /
    • pp.467-476
    • /
    • 2013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hypotheses that administration routes [intra-arterial (IA) vs. intravenous (IV)] affect the early stage migration of transplanted human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BM-MSCs) in acute brain infarction. Methods : Male Sprague-Dawley rats (n=40) were subjected to photothrombotic infarction. Three days after photothrombotic infarction, ra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four experimental groups [IA group : n=12, IV group : n=12,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SPIO) group : n=8, control group : n=8]. All groups were subdivided into 1, 6, 24, and 48 hours groups according to time point of sacrific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sisting of T2 weighted image (T2WI), $T2^*$ weighted image ($T2^*WI$), susceptibility weighted image (SWI), and diffusion weighted image of rat brain were obtained prior to and at 1, 6, 24, and 48 hours post-implantation. After final MRI, rats were sacrificed and grafted cells were analyzed in brain and lung specimen using Prussian blu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ults : Grafted cells appeared as dark signal intensity regions at the peri-lesional zone. In IA group, dark signals in peri-lesional zone were more prominent compared with IV group. SWI showed largest dark signal followed by $T2^*WI$ and T2WI in both IA and IV groups. On Prussian blue staining, IA administration showed substantially increased migration and a large number of transplanted hBM-MSCs in the target brain than IV administration. The Prussian blue-positive cells were not detected in SPIO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 In a rat photothrombotic model of ischemic stroke, selective IA administration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is more effective than IV administration. MRI and histological analyses revealed the time course of cell migration, and the numbers and distribution of hBM-MSCs delivered into the brain.

초미세 나노분말 MnFe2O4의 초상자성 성질 연구 (Superparamagnetic Properties of MnFe2O4 Nanoparticles)

  • 이승화;이재광;채광표;권우현;김철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7-61
    • /
    • 2009
  • 졸-겔법을 이용하여 나노 입자 $MnFe_2O_4$를 제조하여 x-선 회절법(XRD) 및 주사전자현미경(SEM) 측정을 통하여 결정학적 특성 및 입자의 크기를 연구하였으며, 제조된 나노입자의 초상자성 성질을 $M{\ddot{o}}ssbauer$ 분광법, 진동시료 자화율 측정기(VSM)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XRD 및 SEM의 측정으로부터 열처리 온도가 $250^{\circ}C$에서 순수한 큐빅 스피넬 구조를 가지며, 이 때 열처리한 시료의 평균입자 크기는 17 nm 임을 알 수 있었다. $M{\ddot{o}}ssbauer$ 분광실험으로 $250^{\circ}C$에서 열처리한 입자가 상온에서 초상자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4.2 K에서의 초미세자기장은 $H_{hf}$(B-자리) = 508, $H_{hf}$(A-자리) = 475 kOe, 이성질체 이동값은 0.35(B-자리), 0.33 mm/s(A-자리)로 분석되었다. 상온에서 초상자성 특성을 갖는 $MnFe_2O_4$의 차단온도 $T_B$는 120 K로 결정하였으며, 자기이방성상수 $K\;=\;4.9{\times}10^5\;erg/cm^3$의 값을 얻었다. 그러나 $400^{\circ}C$ 이상에서 열처리한 경우는 준강자성의 특징을 나타냈다.

초미세 나노분말 γ-Fe2O3의 초상자성 특성연구 (Superparamagnetic Properties of γ-Fe2O3 Nanoparticles)

  • 이승화;이재광;채광표;안성용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96-200
    • /
    • 2010
  • Sol-gel 법을 이용하여 초상자성 나노 입자 $\gamma-Fe_2O_3$를 제조하였다. 입자의 크기 및 자기적 성질을 x-선 회절법(XRD), Mossbauer 분광법, 진동시료 자화율 측정기(VSM)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x-선 회절 실험결과 150 이상에서 열처리한 입자는 순수한 cubic spinel 구조를 가지며, $150^{\circ}C$에서 열처리한 $\gamma-Fe_2O_3$의 평균입자 크기는 7 nm로다. Mossbauer 분광실험으로 $150^{\circ}C$에서 열처리한 입자는 상온에서 초상자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초상자성의 특성을 잃어버리는 차단온도 $T_B$$183^{\circ}C$로 결정하였으며, 또한 자기이방성상수 K = $1.6{\times}10^6erg/cm^3$의 값을 얻었다. $150^{\circ}C$에서 열처리한 $\gamma-Fe_2O_3$의 VSM 측정 결과로부터 $150^{\circ}C$에서 열처리한 $\gamma-Fe_2O_3$의 경우 상온에서 초상자성의 특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산화철 나노입자의 U373MG 세포 독성평가 및 방사선 세포생존 곡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Toxicity to U373MG Cell and its Effect on the Radiation Survival Curve)

  • 강성희;김정환;김도경;강보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507-513
    • /
    • 2012
  • 본 연구는 초상자성 산화철 나노입자 (SPIONs)의 세포독성평가 및 SPIONs를 uptake한 뇌신경교종 (glioblastoma multiforme, GBM) 세포의 방사선 세포생존곡선을 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양성자선과 SPIONs 이용한 GBM의 양성자선 치료선량 정보 등 양성자선 치료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PIONs의 세포독성을 평가는 in vitro 실험 후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독성평가 결과 $1{\sim}100{\mu}g/ml$의 농도에서는 세포생존율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200{\mu}g/ml$의 농도에서는 세포생존율이 74.2%로 감소하며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SPIONs가 uptake 된 U373MG세포와 uptake 되지 않은 U373MG세포에 0~5 Gy의 양성자선을 조사하여 각각에 대한 세포생존곡선을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여 SPIONs가 uptake된 U373MG세포의 세포생존율이 더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SPIONs가 uptake 된 세포에서는 보다 적은 선량으로도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GBM에 SPIONs를 타겟팅하면 양성자선을 이용한 뇌신경교종 치료효과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였다.

나노입자 Zn0.5Ni0.5Fe2O4 초상자성 성질 연구 (Superparamagnetic Properties off Zn0.5Ni0.5Fe2O4 Nanoparticles)

  • 이승화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0-44
    • /
    • 2006
  • 졸-겔법을 이용하여 나노 입자 $Zn_{0.5}Ni_{0.5}Fe_2O_4$를 제조하여 x선 회절법(XRD) 및 주사전자현미경(SEM) 측정을 통하여 결정학적 특성 및 입자의 크기를 연구하였으며, 제조된 나노 입자의 초상자성 성질을 Mossbauer분광법, 진동시료 자화율 측정기(VSM)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XRD및 SEM의 측정으로부터 열처리 온도가 $300^{\circ}C$에서 순수한 cubic spinel구조를 가지며, 이 때 열 처리한 시료의 평균입자 크기는 7nm인 균일한 구형상 임을 알 수 있었다 Mossbauer분광실험으로 $300^{\circ}C$에서 열처리한 입자가 상온에서 초상자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4.2K에서의 초미세자기장은 $H_{hf}$ (B-자리)=510, $H_{hf}$(A-자리)=475 kOe, 이성질체 이동 값은 0.37(B-자리), 0.33mm/s(A-자리)로 분석되었다. VSM측정 결과로부터 상온에서 초상자성 특성을 갖는 7nm $Zn_{0.5}Ni_{0.5}Fe_2O_4$의 차단온도 $T_B$는 90 K로 결정하였으며, 자기이방성상수 $K=1.6\times10^6\;erg/cm^3$ 값을 얻었다.

망간-철산화물 나노입자의 뫼스바우어 분광 연구 (Mössbauer Studies of Manganese Iron Oxide Nanoparticles)

  • 현성욱;심인보;김철성;강경수;박주식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4-27
    • /
    • 2008
  • Polyol법을 이용하여 $MnFe_2O_4$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X-선 회절기(XRD)와 진동시료형 자화율 측정기(VSM)를 이용하여 결정학적 및 거시적인 자기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뫼스바우어($M\"{o}ssbauer$) 분광실험을 통하여 $MnFe_2O_4$ 물질의 초미세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RTEM)을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입자크기가 $6{\sim}8$ nm 정도의 분포를 가지는 매우 균일한 입자로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X-선 회절실험의 분석 결과, $a_0=8.418{\pm}0.001{\AA}$의 격자상수를 가지는 입방정형의 스피넬 구조로써 그 공간군이 Fd3m 임을 확인하였다. 상온에서의 VSM 측정결과 강한 초상자성 거동을 보였고, 뫼스바우어 분석결과로 상온에서 초상자성 영향에 따른 요동현상이 나타남을 관측할 수 있었다. 4.2K에서는 6개의 공명흡수선이 2 set으로 존재하고 초미세 자기장 값($H_{hf}$)이 A-site의 경우 498 kOe, B-site의 경우 521 kOe 로 분석되었다.

급속 응고된 CuCo 리본의 Co 조성에 따른 자기저항 변화 (Effect of Co content on Magnetoresistance in Rapid Solidified CuCo ribbons)

  • 송오성;윤기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20-125
    • /
    • 2006
  • 산업적으로 경제적인 급속 응고법과 $450^{\circ}C-1hr$ 대기 어닐링을 이용하여 ${\pm}5000Oe$ 이상의 고자계에서 5% 이상의 거대 자기효과를 보이는 두께 $20{\mu}m$의 granular CuCo 합금 리본을 제작하였다. Co의 함량에 따른 최대 자기저항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Co의 함량을 $5{\sim}30at%$ 범위에서 변화시키며 아래의 자기저항효과와 포화자화의 자기적 특성과 미세구조를 확인하였다. 최대자기저항 효과는 Cu-10at%Co에서 1.2T에서 5.2%의 GMR ratio를 얻었으며, 0.5T에서는 $Cu-8{\sim}14at%Co$에서 공업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3% 이상의 MR ratio를 확보할 수 있었다. 5% 이하의 Co 조성범위 리본에서는 초상자성(superparamagnetic)때문에, 20%이상의 Co 조성의 리본에서는 포화자화는 커지지만 Co 클러스터의 과도 성장으로 MR 효과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대기 분위기의 급속 응고와 열처리에 의한 표면 산화막은 자기저항효과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따라서 고자계 센서로 사용되는 CuCo 그래뉼라 합금 리본은 $8{\sim}14wt%Co$의 조성 범위에서 공업적 목적에 유리한 거대 자기저항을 갖는 것이 가능하였다.

  • PDF

생의학적 응용을 위한 Fe3O4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 (Preparation of hybrid Fe3O4 nanoparticl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 배성수;우엔 테 쭝;김교선
    • 산업기술연구
    • /
    • 제36권
    • /
    • pp.77-81
    • /
    • 2016
  • Superparamagnetic $Fe_3O_4$ nanoparticles with particle size from 10 to 20 nm were synthesized by coprecipitation method. Subsequently, the $Fe_3O_4$ nanoparticles were used to fabricate $Fe_3O_4/SiO_2$ core-shell nanoparticles by sol-gel method. The $Fe_3O_4/SiO_2$ nanoparticles synthesized by sol-gel method exhibit the high uniformities of particle size and shape. We also investigated the heating characteristics of $Fe_3O_4$ and $Fe_3O_4/SiO_2$ nanoparticl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The $Fe_3O_4$ nanoparticles show the faster temperature increase and the higher specific loss power(SLP) value than the $Fe_3O_4/SiO_2$ nanoparticles.

  • PDF

A review: Synthetic strategy control of magnetite nanoparticles production

  • Yusoff, Ahmad H.M.;Salimi, Midhat N.;Jamlos, Mohd F.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1-19
    • /
    • 2018
  • Iron oxide nanoparticles excite researcher interest in biomedical applications due to their low cost, biocompatibility and superparamagnetism properties. Magnetic iron oxide especially magnetite ($Fe_3O_4$) possessed a superparamagnetic behaviour at certain nanosize which beneficial for drug and gene delivery, diagnosis and imaging. The properties of nanoparticles mainly depend on their synthesis procedure. There has been a massive effort in developing the best synthetic strategies to yield appropri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namely co-precipitation, thermal decomposition, microemulsions, hydrothermal and sol-gel. In this review, it is discovered that magnetite nanoparticles are best yielded by co-precipitation method owing to their simplicity and large production. However, its magnetic saturation is within range of 70-80 emu/g which is lower than thermal decomposition and hydrothermal methods (80-90 emu/g) at 100 nm. Dimension wise, less than 100 nm is produced by co-precipitation method at $70^{\circ}C-80^{\circ}C$ while thermal decomposition and hydrothermal methods could produce less than 50 nm but at very high temperature ranging between $200^{\circ}C$ and $300^{\circ}C$. Thus, co-precipitation is the optimum method for pre-compliance magnetite nanoparticles preparation (e.g., 100 nm is fit enough for biomedical applications) since thermal decomposition and hydrothermal required more sophisticated facilities.

Implications of SPION and NBT Nanoparticles upon In Vitro and In Situ Biodegradation of LDPE Film

  • Kapri, Anil;Zaidi, M.G.H.;Goel, Reet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6호
    • /
    • pp.1032-1041
    • /
    • 2010
  • The comparative influence of two nanoparticles [viz.,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SPION) and nanobarium titanate (NBT)] upon the in vitro and in situ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biodegradation efficiency of a potential polymer-degrading microbial consortium was studied. Supplementation of 0.01% concentration (w/v) of the nanoparticles in minimal broth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acterial growth, along with early onset of the exponential phase. Under in vitro conditions, ${\lambda}$-max shifts were quicker with nanoparticles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illustrated significant changes in CH/$CH_2$ vibrations, along with introduction of hydroxyl residues in the polymer backbone. Moreover, simultaneous thermogravimetric-differential thermogravimetry-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TG-DTG-DTA) reported multiple-step decomposition of LDPE degraded in the presence of nanoparticles. These findings were suppor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SEM), which revealed greater dissolution of the film surface in the presence of nanoparticles. Furthermore, progressive degradation of the film was greatly enhanced when it was incubated under soil conditions for 3 months with the nanoparticles.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bacteria-nanoparticle interactions, which can dramatically influence key metabolic processes like biodegradation. The authors also propose the exploration of nanoparticles to influence various other microbial processes for commercial vi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