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critical fluid extract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182초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 자색당근 초임계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주름 효능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and Anti-wrinkle Effect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Black Carrot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 김지수;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36-243
    • /
    • 2021
  • 본 연구는 자색당근(black carrot, BC) 소재로 초임계추출물에 대해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 인간의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성과 MMP-1 발현을 조사하여 항주름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색당근 초임계추출물 내 총 폴리페놀 함량 (9.037±1.123 mg GAE/g), DPPH, ABTS 분석 결과로 높은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NHDF 세포에서 초임계추출물 농도에 의한 세포독성은 거의 없었으며, 이때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MMP-1 단백질 및 MMP-1 mRNA 발현을 억제하고, 콜라겐 type I 유전자 mRNA 수준 증가에 의한 type I procollagen의 합성을 촉진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색당근 초임계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능과 친환경(solvent free)물질, 항노화 원료로서 화장품, 식품, 미용식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있어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Detection of estrogenic hormone 17β-estradiol in soil samples by a recombinant yeast bioassay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Shim, Jae-Han;Kim, Mi-Ra;Topp, Edward;Choi, Jeong-Heui;Mamun, Iqbal Rouf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47-455
    • /
    • 2008
  • Recombinant yeast estrogenicity (YES) assay was used as a bioanalytical tool in order to screen $17{\beta}$-estradiol in the soil samples collected from different sites of South Korea. Solvent extraction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methods were compared for the extraction of the estradiol from the soils. Most high detection of the estradiol based on YES assay was observed in the soils extracted with methanol. Different types of estrogenic hormones including $17{\beta}$-estradiol were suggested to be possibly exiting in the soils, since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soils showed an estrogenic activity that was not observed in the hexane extracts of the soil. SFE extracts showed estrogenic activity in some of the samples but methanol extract showed best activity.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ginseng seed oil based on bacterial strain and extraction method

  • Lee, Myung-Hee;Rhee, Young-Kyoung;Choi, Sang-Yoon;Cho, Chang-Won;Hong, Hee-Do;Kim, Kyung-Tac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428-433
    • /
    • 2017
  • Background: In this study, the fermentation of ginseng seeds was hypothesized to produce useful physiologically-active substances, similar to that observed for fermented ginseng root. Ginseng seed was fermented using Bacillus, Pediococcus, and Lactobacillus strains to extract ginseng seed oil, and the extraction yield, color, and quantity of phenolic compounds, fatty acids, and phytosterol were then analyzed. Methods: The ginseng seed was fermented inoculating 1% of each strain on sterilized ginseng seeds and incubating the seeds at $30^{\circ}C$ for 24 h. Oil was extracted from the fermented ginseng seeds using compression extraction, solvent extraction,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Results and Conclusion: The color of the fermented ginseng seed oil did not differ greatly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or extraction method. The highest phenolic compound content recovered with the use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combined with fermentation using the Bacillus subtilis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KFRI) 1127 stra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did not differ greatly according to fermentation strain and extraction method. The phytosterol content of ginseng seed oil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KFRI 1127 and extracted using the supercritical fluid method was highest at 983.58 mg/100 g.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ginseng seed oil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KFRI 1127 and extracted using the supercritical fluid method can yield a higher content of bioactive ingredients, such as phenolics, and phytosterols, without impacting the color or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product.

한국산 동백종자 초임계 추출물의 피부 항산화 및 항노화 연구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Extracts from Seed of Camellia japonica L.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김희택;김태준;김이화;곽병문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43
    • /
    • 2020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the seed of Camellia japonica 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O2. Methods : The cell viability was performed by MTT assay.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performed by NO assay. The anti-oxidant effect was performed by beta-carotene bleaching assay and the intracellular proteome was analyzed expression of each 15 proteins by 2-D electrophoresis. Results : Fatty acid analysis of extract from Camellia japonica L. has shown oleic acid was 84%. And the antioxidant effect was about 186% compared with alpha-tocoperol(0.1%) by beta carotene bleaching assay. In 2D PAGE analysis, fifteen protein changes in five mechanisms which was collagen synthesis pathway, MMPs, ECM-cell interaction, cytokine, antioxidant enzymes were analyzed. Conclusions : On this study extract from seed of Camellia japonica L. by supercritical extraction could be used as a antioxidant and antiaging substance for the skin.

젖산균 발효를 통한 녹차 추출물의 Epigallocatechin 함량의 증대 (Increase of Epigallocatechin in Green Tea Extract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 최찬영;박은희;주영운;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2-67
    • /
    • 2016
  • 전통발효 식품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하고, ${\beta}$-glucosidase, ${\beta}$-glucuronidase, ${\beta}$-xylosidase, ${\beta}$-galactosidase, ${\beta}$-arabinofuranosidase, ${\beta}$-arabinosidase, ${\beta}$-arabinopyranosidase 등 생물전환과 관련된 유용 효소활성을 조사하였다. 효소활성 평가를 통하여 선발된 9점의 젖산균 발효에 의한 epigallocatechin-3-gallate(EGCG), epigallocatechin(EGC), epicatechin gallate(ECG), 및 epicatechin(EC)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추 김치에서 분리된 Leuconostoc mesenteroides MBE1424로 명명된 균주는 발효에 의하여 카테킨 중 EGC의 함량을 약 60% 증가시켰으며, 배양온도 $40^{\circ}C$에서 가장 우수한 비성장속도를 나타내어 기존에 보고된 균주보다 상대적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Leuconostoc mesenteroides 균주는 녹차 추출물의 생물전환에 필요한 유용한 효소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추출 방법에 따른 비파엽 추출물의 미백 및 항염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박정옥;박진오;주철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1-15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하여 비파엽 추출물을 제조하고 효소 및 세포 활성평가를 진행하였다. 활성평가는 tyrosinase 측정법을 이용한 미백 효능, NO 측정법을 이용한 항염 효능에 대한 활성등을 분석하였다. 미백 효능 관련 tyrosinase 활성 저해는 10% 농도의 비파엽 초임계 추출물에서 미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염 효능 관련 NO 활성 저해 분석 결과, 초임계 추출물, 에탄올 환류 추출물, 열수 추출물의 순서로 NO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70% 에탄올 환류 추출물 5% 처리를 제외하고는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미백 효능 관련 멜라닌 생성 저해는 5% 처리 농도에서 30%, 70% 에탄올 환류 추출물이 강하게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로부터 비파엽 추출물 제조를 통한 우수한 항염 효능 및 미백 효능 관련 활성을 나타내는 추출조건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용 자료로서의 역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가미청비음이 알러지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amichungbieum on Allergic Reaction)

  • 김광식;이동희;권영안;최서영;은재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57-86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 of Kamichungbieum (SFE) on allergic reaction. SFE (500 mg/kg) inhibited the systemic anaphylaxis induced by compound 48/80 or platelet activating factor and inhibited the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induced by anti-dinitrophenyl (DNP)-lgE and DNP-human serum albumin (HSA) in vivo. Also, SFE inhibited the SRSC-induced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and inhibited the hind paw edema induced by histamine. In addition, SFE inhibited the permeability of evans blue induced by acetic acid and inhibited the writhing syndrome induced by acetic aci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FE may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y related disease.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한 난황분의 추출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f Dried Egg Yolk)

  • 임상빈;좌미경;고영환;유익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60-865
    • /
    • 1997
  •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on the effects of extraction temperature, pressure, time on solubility and selectivity of egg yolk lipid and cholesterol, and color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residue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SC-Co$_2$) extraction. Lipid and cholesterol solubility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Co$_2$ density and was found to strongly depend on the extraction pressure rather than the extraction temperature. The relative concentration of cholesterol in the extract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emperature and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pressure and extraction time. extraction of dried eg yolk for 3hr at 4$0^{\circ}C$/276 bar removed 46.1% of cholesterol from the residual egg yolk with a yield of 63.2%. SC-Co$_2$ extraction produced a lighter color egg yolk with less redness and yellowness. As the extraction time increased, the resultant residual egg yolk became more saturated with fatty acids. SC-$CO_2$ extraction offers a safe, natural method for removing cholesterol from dried egg yolk.

  • PDF

초임계 $CO_2$를 이용한 Camptotheca acuminata에서 Camptothecin 및 10-hydroxycamptothecin 추출 (Supercritical $CO_2$ Extraction of Camptothecin and 10-hydroxycamptothecin from Camptotheca acuminata)

  • 부성준;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66-70
    • /
    • 2001
  •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camptothecin(CPT)와 10-hydroxy camptothecin(HCPT) 추출 시험을 결과, 이들은 각각 유기용매 메탄올 추출에 비교하여 3%와 2% 밖에 추출되지 않았다. 보조용매로 메탄올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CPT와 HCPT를 추출하면 추출 효율이 상승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에탄올 보다 메탄올이 효율이 좋았다. 따라서 보조용매 적용에 관련된 여러 조건들을 최적화 하였다. 메탄올을 보조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 보조용매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추출 효율도 증가하였고 16% 이상에서는 추출 효율이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추출은 온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으나 온도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임계 추출에서 압력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250 bar까지 압력이 증가할수록 추출 효율은 증가하였다. Acetate ion을 공급하여 추출 실험을 수행하였으나 CPT나 HCPT 모두 ion pairing agent의 영향은 없었다. 본 시스템과 같은 solid/fluid 추출 시스템에서 추출 효율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3가지 요소 (용해도, 확산, 및 matrix)중 확산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여러 기하학적 모델 중 matrix가 구형인 hot-ball model로 확산게수를 계산하였다. 본 시스템에서 보조용매를 포함한 초임계 유체의 $D/r^2$ 값은 0.0072 $min^{-1}$로서 순수한 메탄올 유기용매 추출보다 큰 값을 보였다.

  • PDF

초임계 추출 느릅나무 성분을 함유한 고 보습 화장품 제형에 대한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Formulation of high-moisturizing Cosmetics containing Ulmus davidiana supercritical fluid extract)

  • 구은비;김한규;김윤식;추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41-251
    • /
    • 2020
  • 항균, 항산화, 항염증 효능의 기능성 원료로써 효능이 확인된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개발을 위한 연구와 이 화장품의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건조하고 민감한 피부 개선 효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원료 물질인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박 60%주정 추출물(USCFR)과 초임계 추출물(USCF), 이를 포함하는 예비제형 DKBP-1903 (겔)에 대한 독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무독성'으로 판정되었다. 이를 토대로 조제한 각 제형별 화장품 로션, 크림, 겔에 대한 안정성 시험 결과, 크림과 겔이 더 우수한 안정성을 보였고 안정성이 확보된 두 가지 제형에 대해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능 입증을 위한 화장품 효능시험으로 48시간 보습지속력 시험과 건조함에 의한 소양감개선 시험을 진행한 결과, 크림과 겔 도포 24시간 후 82.9%, 92.32%의 피부각질층 수분함량 개선율을 보였고 2주 후부터 소양감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크림과 겔 모두 비교적 안전한 보습제로써 건조하고 민감한 피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