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ubway station

검색결과 630건 처리시간 0.021초

공간정보의 탐색과정에 나타난 시각정보획득특성에 관한 연구 - 지하철 홀 공간의 주시실험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Features of Visual-Information Acquirement Shown at Searching of Spatial Information - With the Experiment of Observing the Space of Hall in Subway Station -)

  • 김종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90-98
    • /
    • 2014
  • This study has analyzed the meaning of observation time in the course of acquiring the information of subjects who observed the space of hall in subway stations to figure out the process of spatial information excluded and the features of intensive searching.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searching process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process for information acquirement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observation area and time. First, based on the general definition of observation time, the reason for analyzing the features of acquiring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observation time has been established. The feature of decreased analysis data reflected that of observation time in the process of perceiving and recognizing spatial information, which showed that the observation was focused on the enter of the space during the time spent in the process of observing the space and the spent time with considerable exclusion of bottom end (in particular, right bottom end). Second, while the subjects were observing the space of hall in subway stations, they focused on the top of the left center and the signs on the right exit the most, which was followed by the focus on the both side horizontally and the clock on the top. Third, the analysis of consecutive observation frequency enabled the comparison of the changes to the observation concentration by area. The difference of time by area produced the data with which the change to the contents of spatial searching in the process of searching space could be known. Fourth, as the observation frequency in the area of I changed [three times -> six times -> 9 times], the observation time included in the area increased, which showed the process for the change from perception to recognition of information with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through visual information. It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at more time was spent on the information to be acquired with the exclusion of the unnecessary information around.

지하철 광통신 시스템의 효율적 운용방안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ffective application scheme of Subway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 권기정;이기승;고영윤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41-1550
    • /
    • 2007
  • 지하철은 대중교통 수단으로서 서울을 비롯한 도시에서는 없어서 안 되는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어 이용하는 계층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객의 정보 제공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표출과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있도록 종합관제센터 및 역사에 광통신망이 설치 운용되고 있으며, 통신망 서비스 의존도가 약 95%를 차지함에 따라 안정적 운용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광통신망 구축 후 실질적 시스템 운영의 초기단계에서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면서 도출된 기술사항과 경보메시지 분석에 의한 효율적 운용방안을 기술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필요한 실질적 전문기술과 효율적 시스템 운영방식 공유와 동종 기관간의 운영노하우 상호 정보교류를 촉진 시키고자 한다. 도시철도에서의 광통신망은 열차운행을 위한 각종 제어망과 Data망을 수용하고 있어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 정립이 필요함에 따라, 본 논문은 광통신시스템 효율적 운용과 전문조직 구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PDF

지하철 화재시 제연모드에 따른 열 및 연기 배출 특성 연구 (A Study on Heat and Smoke Exhaust Characteristics from the Subway Fire for Different Ventilation Modes)

  • 장희철;윤경범;박원희;김태국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7-42
    • /
    • 2008
  • 본 연구는 지하철에서 화재발생시 최적의 제연모드 예측을 목적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현재 국내 지하철 화재발생시 제연모드는 승강장 내 화재구역 배기, 비화재구역 급기 또는 정지로 설정 되어있다. 수치해석 조건은 2가지 국내 비상시 제연모드 및 발화 4분(승강장 피난허용시간, NFPA 130) 이전까지 승강장에서 배기를 하며, 발화 4분이 후 터널 배기로 전환되는 스위치모드의 3가지 경우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승객 호흡높이(1.7 m)를 기준으로 열, 일산화탄소 및 가시거리를 비교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급기팬 작동은 연기를 교란시키고 확산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승강장 및 터널 제연모드로 작동할 경우 승강장의 제연모드로만 작동한 경우에 비하여 연기 배출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하철 혼잡도 개선방안에 관한 빅데이터융합 기반의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Improvement Method of the Subway Congestion Based Big Data Convergence)

  • 김근원;김동우;노규성;이주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35-42
    • /
    • 2015
  • 빅데이터의 가치가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이 빅데이터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과거와는 다르게 다양한 데이터의 원천이 있고, 이러한 데이터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기획 및 분석기법이 등장하게 되면서, 빅데이터는 새로운 고급 정보의 창출 및 의사결정 고도화 기반으로 자리매김할 것이 확실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는 지하철 혼잡도 문제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시 지하철의 혼잡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색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는 서울시 공공데이터 분석을 오픈 소스 R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혼잡도가 높은 지하철 역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버스 노선을 신설하는 정책 대안을 도출하게 되었다.

기계학습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승하차 패턴에 따른 서울시 지하철역 분류 (Classification of Seoul Metro Stations Based on Boarding/ Alighting Patterns Using Machine Learning Clustering)

  • 민미경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3-1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서울시 지하철역의 승하차 패턴에 따라 지하철역을 분류한다. 대상 데이터는 공공데이터 포탈에서 제공하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 지하철 233개 역에서의 매일 매시간별 승차객 숫자와 하차객 숫자이다. 기계학습 기법으로는 가우시안 혼합 모델(GMM)과 K-평균 클러스터링을 사용한다. 이용객의 승차시간과 하차시간의 분포는 가우시안 혼합 모델로 모델링할 수 있으며, 이를 K-평균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비지도 학습시킨다. 학습결과 서울시 지하철역은 승하차 패턴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 지하철역의 특성을 파악하여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주요 기반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클러스터링이 필요한 모든 공공데이터나 빅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도시철도차량의 안전기준 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Regulation Revision for Urban Transit Vehicles)

  • 이우동;신정렬;김길동;한석윤;박기준;홍재성;안태기;이호용;김종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I)
    • /
    • pp.322-326
    • /
    • 2003
  • Dae-gu subway accident raise whole points in connection with safety facilities and operating of national urban transit system like rolling stocks, facilities, management of human. Rolling stock is made every effort for improvement of performance, guarantee of comfortableness, insurance of economical efficiency. But Security like safety of fire is not thoroughgoing enough. Especially, interior material has used although it is not prove its degree of safety. it is a main cause of Dae-gu subway accident. Safety regulation of urban transit vehicle that legislate for security in March 2000 does not applied manufacturing vehicles before in 2000. It has be prescribed in the regulations that incombustibles must be used. But detailed test standard related with incombustibles is not prescribe. Thus that regulation be required reinforcement of detailed test standard. Main cause of Dae-Gu subway accident is a fire in vehicle. However, many defects are found in infrastructure and operating vehicle of urban transit, such as inexperienced disposal of driver and CCC in early stage of the fire accident, unskilled opening and closing doors, insufficient escape facilities and safety facilities of a station house and tunnel, and incomplet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vehicle and CTC, extraordinary step. Thus the aims of this study are prevention of urban transit accident, improvement plan of safety driving, and proposal of quick action plan through analysis of total faculty of vehicle.

  • PDF

세종특별자치시의 발전을 위한 교통체계 연구 (The Research on Transportation Systems Development in Sejong City)

  • 주용준;류창수;박효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738-2744
    • /
    • 2014
  • 전 국토가 골고루 발전할 수 있는 세종시가 조기에 정착할 수 있는 방법 중 교통 인프라 구축이 가장 선행되어야 한다. 여러 가지 교통수단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BRT(Bus Rapid Transit)와 철도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건설비가 지하철보다 10분의 1에 불과하지만, 지하철의 시스템을 갖추어 수송능력을 크게 높이는 신개념 대중교통수단 BRT, 기존선을 활용하여 건설하는 충청권 광역철도가 있다. 또한, 대전지하철 1호선을 정부세종청사까지 연장 운행하여 중앙행정기관 이전과 세종시 인구유입에 따른 교통수요의 급격한 증가에 대비하여 교통편익을 제공하고 세종시에 새로운 교통수단이 추가로 건설하여 인근 지역과 상생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M2M기반 지하공간(지하철) 재난대응 네트워크 및 EL 디스플레이 통합 보드 개발 (Development of M2M-based Underground Space (subway) Disaster Response Network and EL Display Integrated Board)

  • Park, Miyun;Kwon, Segon;Park, EunChurn;Lee, Jeonh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22-441
    • /
    • 2017
  •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지하철역사의 재난 전조를 조기에 발견하고 승객들에게 피난을 유도하는 지하철 재난전조 감지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재난 발생시 상황대피 유도방법과 정확한 재난 위치 알림 및 대피경로 안내는 재난 상황에 빠른 대피와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수 있는 매우 적극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좁은 출구밖에 없는 지하공간 구조상 소방 시설 및 장비들의 완벽한 작동을 담보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피를 가장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재난대응 EL Display 통합 보드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현장 실험을 통해 실제 활용성에 대한 검토를 실험하였다. 특히, EL패널을 재난 대피유도용으로 활용한 사례가 없어 현장적용테스트를 거쳐 그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지하철 화재 안전 가이드 방안 연구 - 일본의 도쿄방재 안전 가이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ire safety guide for notifying how to cope with the fire in the subway. - Focus on TOKYO BOUSAI safety guide in Japan -)

  • 박미선;김승인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57권
    • /
    • pp.398-407
    • /
    • 2016
  • 본 논문은 관리자 중심의 지하철사고 대응 매뉴얼을 사용자 중심의 지하철안전 가이드로 바꾸어 시민 스스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의식의 필요성을 알리는 연구이다. 최근 국제 사회를 보면, 공공장소의 테러와 대형 재난 재해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지하철 화재사고의 경우 대처방법에 따라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예방과 사고 시 대처방법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하철의 화재 안전 가이드는 현재 홈페이지에 가장 자세히 안내되어 있지만, 역사 내 홍보물은 역마다 각기 다른 위치에서 통일성 없는 내용으로 홍보하고 있다. 사용자 중심의 지하철 화재 안전 가이드는 첫째, 공공디자인의 이해를 바탕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알기 쉬운 유니버설디자인의 법칙이 적용 되어야 하며 둘째, 기관마다 다른 방식의 홍보물을 통한 일방적인 홍보가 아닌 일관성 있는 디자인과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고, 마지막으로 일상에서 사용성과 접근성을 높여 시민 스스로 안전의식을 높이고 더 나아가 사고예방 훈련 및 캠페인의 참여로 확장되어야 한다.

Design of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algorithm by learning failure patterns of PHM-based air conditioning facilites

  • Park, Jeong In;Kang, Un G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7호
    • /
    • pp.83-92
    • /
    • 2022
  • 본 연구에서 우리는 PHM 기반 공조설비의 연쇄 고장 패턴을 학습하여 미세먼지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공조설비의 고장으로 인한 공조설비 가동중단과 이로 인한 미세먼지의 확산은 불가피하다. 우리가 개발한 알고리즘은 PHM을 통한 미세먼지 관리 체계를 수립하는 것으로써 공조기 정지/가동 패턴학습을 통하여 일정하게 안정화 상태를 유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세먼지를 관리하는 알고리즘이다.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지하철 역 내에서 시뮬레이션 한 결과, 미세먼지의 농도가 평균 30%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하철 이용 승객이 많은 역의 경우 미세먼지 농도가 환경부 기준(100㎍/m3)을 초과하였지만,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모든 역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로는 지하철 역사 내의 미세먼지 뿐만아니라 CO2, CO, NO2 등 오염물질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확장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