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tract background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55초

Design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Background Machine Learning

  • Kim, Hyung-Hoon;Cho, Jeong-R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49-156
    • /
    • 2019
  • The existing subtract image 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CCTV digital images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distinguish intruders from moving backgrounds that exist in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f existing system by designing real - time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CCTV digital image by combining subtract image based intrusion detection method and background 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ology. Our proposed system consists of three steps: subtract image based intrusion detection, background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ing stage, and background artificial neural network evaluation stage. The final intrusion detection result is a combination of result of the subtract image based intrusion detection and the final intrusion detection result of the background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step of subtract image based intrusion detection is a step of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intrusion by obtaining a difference image between the background cumulative average image and the current frame image. In the background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ing, the background is learned in a situation in which no intrusion occurs, and it is learned by dividing into a detection window unit set by the user. In the background artificial neural network evaluation, the learned background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used to produce background recognition or intrusion detection in the detection window unit. The proposed background learning intrusion detection system is able to detect intrusion more precisely than existing subtract image 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adaptively execute machine learning on the background so that it can be operated as highly practical intrusion detection system.

배경 추정을 통한 수중음향신호의 표적 추출 알고리즘 (An Algorithm of Target Detection of an Underwater Acoustic Signal by Estimating the Background)

  • 최민관;변기원;임재욱;김대동;남기곤;주재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881-882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of target detection of an underwater acoustic signal by estimating the background. At first, subtract the estimated background from the underwater acoustic signal. To estimate the background, this paper uses an algorithm of Denoising. By using Thresholding and Power analysis, we extract targets from the signal to eliminate the background. The proposed method is valuable as an algorithm to reduce calculation amounts of multi frames we will apply.

  • PDF

밝기 정보와 깊이 정보를 결합한 배경 제거 (Background subtract ion with comb mat ion of intensity and depth informal ion)

  • 서경민;이칠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38-141
    • /
    • 2001
  • 영상을 전경과 배경으로 분리하는 작업은 영상을 의미 있고 관심의 대상인 전경 영역과 그렇지 않은 배경 영역으로 나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작업이다. 기존의 제안된 방법으로는 intensity 기반, 깊이 기반 그리고 motion 기반 배경 제거 방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내의 intensity 정보와 깊이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영상 내의 배경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영상 인식과 강시 시스템 등의 전처리로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객체 예측을 이용한 고속 MOG 알고리즘 (Fast MOG Algorithm Using Object Prediction)

  • 오정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721-2726
    • /
    • 2014
  • 배경제거를 위해 GMM(Gaussian Mixture Models)을 이용하는 MOG(Model of Gaussian) 알고리즘에서 각 화소들에서 수행될 모델변수 계산과 객체 분류는 방대한 계산을 요구하여 MOG 알고리즘의 활용들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객체 예측을 근간으로 단순한 모델변수 계산과 객체 분류 생략을 부분적으로 수행하는 고속 MOG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전자는 모델변수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화소에서 적용되고, 후자는 객체 예측이 확실히 믿을만한 화소에 적용된다. 동영상을 이용한 기존 알고리즘과 제안된 알고리즘의 비교 실험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단순 모델변수 계산과 객체 분류 생략을 각각 77.75%와 92.97% 이상을 수행하지만 영상 단위와 이동 객체 단위의 평균 분류 정확도 측면에서 각각 99.98% 이상과 99.36% 이상을 유지시켜 주고 있다.

웹캠을 이용한 손동작 인식 방법 (A Hand Gesture Recognition Scheme using WebCAM)

  • 김건우;이원주;전창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619-620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hand gesture recognition scheme using hand poses captured from a web camera. The key idea of this scheme is to extract skin color from the background-subtracted image. To extract skin color, in the first phase, we subtract background by repeatedly comparing the stored initial frame with next frames. And then we eliminate noise using dynamic table. In the second phase, we exactly recognize hand gesture by extracting skin color from ${YC_b}{C_r}$ color region.

  • PDF

야간 영상 감시를 위한 GMM기반의 배경 차분 (Background Subtraction based on GMM for Night-time Video Surveillance)

  • 여정연;이귀상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3호
    • /
    • pp.50-5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야간 영상 감시(night-time video surveillance)에 특화된 GMM(Gausssian mixture model)기반의 배경 모델링(background modeling)을 이용한 배경 차분(background subtraction)방법을 제안한다. 야간 영상에서는 낮 영상에 비해 배경과 객체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매우 흡사한 픽셀 값들을 이용하여 배경을 분리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처리 단계에서 조정된 범위의 히스토그램 스트레칭을 이용하여 입력 픽셀 값을 배경 모델링에 이로운 픽셀 값으로 변경해준다. 조정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가장 이상적인 배경을 찾기 위해 픽셀 단위로 GMM기반의 배경 모델링 방법을 적용한다. GMM을 기반으로 한 배경모델링 방법에서는 새로운 픽셀 값이 입력되었을 때 어떤 가우시안에도 속하지 않는다면 가장 낮은 가중치를 가진 가우시안 분포를 제거함으로써 이전의 축적된 배경의 정보를 무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낮은 가중치의 가우시안을 제거하는 대신 기존 가우시안의 평균과 입력된 픽셀 값의 차를 이용하여 새로운 평균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쌓여진 정보를 고려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배경 모델링 방법이 기존 방법의 이점을 유지하면서 야간 영상 감지에 특화된 배경 차분 결과를 보였다.

Chamfer 알고리듬에 기초한 영상분리 기법 (An Image Segmentation based on Chamfer Algorithm)

  • 김학경;정남수;이명숙;김상봉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670-675
    • /
    • 2001
  • This paper is to propose image segmentation method based on chamfer algorithm. First, we get original image from CCD camera and transform it into gray image. Second, we extract maximum gray value of background and reconstruct and eliminate the background using surface fitting method and bilinear interpolation. Third, we subtract the reconstructed background from gray image to remove noises in gray image. Fourth, we transform the subtracted image into binary image using Otsu's optimal thresholding method. Fifth, we use morphological filters such as areaopen, opening, filling filter etc. to remove noises and isolated points. Sixth, we use chamfer distance or Euclidean distance to this filtered image. Finally, we use watershed algorithm and count microorganisms in image by labeling. To prove the effectiveness, we apply the proposed algorithm to one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Acinetobacter sp. It is shown that both Euclidean algorithm and chamfer algorithm show over-segmentation. But Chamfer algorithm shows less over-segmentation than Euclidean algorithm.

  • PDF

배경 분리 기반의 실시간 객체 추적을 위한 개선된 적응적 배경 혼합 모델 (An Improved Adaptive Background Mixture Model for Real-time Object Tracking based on Background Subtraction)

  • 김영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87-194
    • /
    • 2005
  • 연속 영상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움직임 객체를 추출하고 추적하기 위해 배경분리(Background Subtraction)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외부 환경에서는 조명 조건의 변화, 나무의 흔들림과 같은 반복적인 움직임 그리고 급격히 움직이는 객체 등과 같이 고려해야할 많은 환경 변화 요인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외부 환경의 변화를 적응적으로 반영하여 배경을 분리할 수 있는 배경 모델로는 주로 가우시안 혼합 모델 (GMM: Gaussian Mixture Model)이 적용되고 있으며, 실시간 성능 등을 개선시킨 적응적 가우시안 혼합 모델 등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개선된 적응적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적용하고 고정된 학습률 a(일반적으로 작은 값)을 사용함으로써 물체의 갑작스러운 움직임 등에 빠르게 적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우시안 분포 수의 적응적 조절 기능과 픽셀 값의 분산 등을 이용하여 학습률 a값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배경분리를 위한 개선된 적응적 가우시안 혼합모델에서의 동적 학습률 제어 (Dynamic Control of Learning Rate in the Improved Adaptive Gaussian Mixture Model for Background Subtraction)

  • 김영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66-369
    • /
    • 2005
  • 연속 영상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움직임 객체를 추출하고 추적하기 위해 배경분리(Background Subtraction)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외부 환경에서는 조명의 변화, 나무의 흔들림과 같은 반복적인 움직임 그리고 급격히 움직이는 객체 등과 같이 고려해야할 많은 환경 변화 요인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외부 환경의 변화를 적응적으로 반영하여 배경을 분리할 수 있는 배경 모델로는 주로 가우시안 혼합 모델(GMM: Gaussian Mixture Model)이 적용되고 있으며, 실시간 성능 등을 개선시킨 적응적 가우시안 혼합 모델 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개선된 적응적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적용하고 고정된 학습률 ${\alpha}$(일반적으로 작은 값)을 사용함으로써 물체의 갑작스러운 움직임 등에 빠르게 적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우시안 분포 수의 적응적 조절 기능과 픽셀 값을 분산을 이용하여 학습률 ${\alpha}$값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방사전자파 특성을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의 기초연구 (The Fundamental Study About Partial Discharge Detection With The Radiated Electromagnetic Wave Characteristics)

  • 이상훈;박광서;김충년;이현동;송현직;김기채;이광식;이동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49권7호
    • /
    • pp.412-417
    • /
    • 2000
  • This paper offer fundamental materials about Partial Discharge(PD) detection by electromagnetic waves. All spectrum data-usually used as grape- can be used as numbers. And then the average of background noise spectrum strength was made. Average value subtract from every data. Then average value appeared, graphed. The graph was compared with the magnitude of charge. The shape of changes is similar, and the change of electric field strength could be seen in one sight. When the magnitude of charge is over than 100[pC], antenna can detect partial discharge. So this method will be very useful to diagnosis of insulation. It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used in this experiment is analyzed, good results can be obta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