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group I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5초

Characterization of Cucumber mosaic virus Subgroup II Isolated from Paprika (Capsicum annuum var, grossum) in Korea

  • Choi, Gug-Seoun;Kim, Jae-Hyun;Choi, Jang-K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6-11
    • /
    • 2002
  • An isolate of Cucumber mosaic virus (CMV), PaFMl-CMV causing malformation on the fruit of paprika (Capsicum annuum var, grossum) was characterized based on biological reactions, serological relationships, and partial nucleotide sequence analyses. PaFMl-CMV was distinguishable from other isolates of CMYI Mf-(subgroup I) and LS-CMV (subgroup II), in terms of its reactions to some host plants. Polyclonal antibody against PaFMl-CMV showed homologous antigenic relationship with LS-CMV, however, the antibody formed a spur between PaFMl- and Mf-CMV, In the comparison of molecular size of dsRNAs of PaFMl-CMV with Mf- and LS-CMV, PaFMl-CMV had a slightly smaller RNAl and larger RNA2, RNA3, and RNA4. When the CDNA product of PaFMl-CMV coat protein (CP) gene was digested with some restriction enzymes, the fragment pattern was identical with that of LS-CMV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of PaFMl-CMV CP gene were 99.5% and 98.6% identical with LS-CMV respectively. The data indicate that PaFMl-CMV belongs to subgroup II of CMV, which is the first report in Korea.

백화산(白華山) 삼림식생(森林植生)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연구(硏究)- (Forest Vegetation of Mt. Baek-Hwa -A Phytosociological Study-)

  • 조현제;이윤원;이동섭;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1호
    • /
    • pp.42-53
    • /
    • 1991
  • 1. 경상북도(慶尙北道) 상주군(尙州郡)과 충청북도(忠淸北道) 영동군(永同郡)의 경계(境界)를 이루는 백화산(白華山) 일대(一帶)에 대하여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삼림군락분류(森林群落分類)와 소산식물상(所産植物相)의 조사(調査)를 행(行)하였다. 삼림식생(森林植生)은 자연림(自然林)으로 계곡부(溪谷部)와 산정부(山頂部)의 일부지역(一部地域)에 느티나무와 달피나무가 소규모(小規模)의 잔재림(殘在林)으로 분포(分포(布))하고 있지만 거의 전지역(全地域)이 이차림(二次林)이나 식림(植林)과 같은 대상식생(代償植生)으로 구성(構成)되어 있다. 2. 백화산(白華山) 일대(一帶)의 삼림군락(森林群落)은 신갈나무, 쇠물푸레 등(等)이 특징(特徵)지우는 신갈나무 쇠물푸레군락(群落)(Table 1 : I)의 산지림(山地林)과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등(等)이 특징(特徵)지우는 물푸레나무-고로쇠나무군락(群落)(Table 1 : II)의 계곡림(溪谷林)의 2개(個) 상급식생단위(上級植生單位)로 크게 구분(區分)되었으며 이들의 하급식생단위(下級植生單位)는 다음과 같다. I. 산지림(山地林)(I-A. 당단풍-지리대사초군(群), I-B. 소나무군(群) : I-B-a. 전형소군(典型小群), I-B-b. 철쭉나무소군(小群)) II. 계곡림(溪谷林)(II-A. 당단풍군(群), II-B. 느티나무군(群) : II-B-a. 전형소군(典型小群), II-B-b. 비목나무소군(小群), II-C. 졸참나무-굴피나무군(群) : II-C-a. 전형소군(典型小群), II-C-b. 비목나무소군(小群)) 3. 삼림군락(森林群落)의 수직분포(垂直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산지림(山地林)은 해발(海拔) 600m를 경계(境界)로 상부(上部)는 당단풍-지리대사초군(群)(I-A)과 전형소군(典型小群)(I-B-a), 하부(下部)는 철쭉나무소군(小群)(I-B-b)이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었으며, 해발(海拔) 600m이하(以下)에서 주로 발달(發達)하는 계곡림(溪谷林)은 해발(海拔) 350m를 경계(境界)로 상부(上部)는 당단풍군(群)(II-A)과 느티나무군(群)(II-B), 하부(下部)는 졸참나무-굴피나무군(群)(II-C)이 분포(分布)하고 있었다. 4. 군락(群落)의 잠재우점성(潛在優占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산지림(山地林)은 중부(中部) 이상(以上)에서는 신갈나무가 당분간(當分間) 도중극상(途中極相)을 중부(中部), 이하(以下)는 서어나무가 기후적(氣候的) 극상(極相)을 계곡림(溪谷林)은 인위적(人爲的) 영향(影響)을 배제(排除)하면 잔존종(殘存種)과 치묘(稚苗) 및 치수(稚樹)의 생육상태(生育狀態)로 보아 느티나무와 물푸레나무가 지형(地形) 및 토지적(土地的) 극상(極相)을 이루는 가운데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비목나무 등(等)이, 국소적(局所的)으로 혼생(混生) 우점(優占)할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5. 일치법(一致法)에 의해 산지림(山地林)과 계곡림(溪谷林)의 구분요인(區分要因)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해발(海拔)보다는 지형(地形)에 의해 좌우(左右)되었다. 6. 백화산(白華山) 일대(一帶) 현존식물상(現存植物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소산식물(所産植物)은 총(總) 709종류(種類)로 108과(科), 371속(屬), 613종(種), 2아종(亞種), 88변종(變種) 및 6품종(品種)이었다.

  • PDF

The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Control Charts

  • Jeon, Jae-Kyeong;Goo, Bon-chul;Song, Suh-ill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2-180
    • /
    • 1991
  • The null hypothesis being tested by $the{\bar{X}}$ control chart is that the process is in control at a quality level ${\mu}o$. An ${\bar{X}}control$ chart is a tool for detecting process average changes due to assingnable causes. The major weakness of $the{\bar{X}}$ control chart is that it is relatively insensitive to small changes in the population mean. This paper presents one way to remedy this weakness is to allow each plotted value to depend not only on the most recent subgroup average but on some of the other subgroup averages as well. Two approaches for doing this are based on (1) moving averages and (2)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s of forecasting method.

  • PDF

RAPD 지문을 통한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3 균주의 유전적 다양성 평가 (Evaluation of the Genetic Diversity of Biovar 3 Strains of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Isolated in Korea)

  • 이영선;김경희;고영진;정재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
    • /
    • 2020
  • 키위 세균성 궤양병의 원인균인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는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다섯 개의 biovar (1, 2, 3, 5, 6)로 나뉘어 진다. 그 중 biovar 3에 속하는 균주가 2008년 이래 전세계적으로 대유행을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biovar 3균주들의 집단 구조를 밝히고 그들의 기원을 추적하는데 있다. 13개의 우리나라 대표 균주와 2개의 중국 균주를 포함하는 15개 biovar 3 균주의 유전적 다양성을 RAPD-PCR로 평가하였다. RAPD 결과 연구에 사용된 균주들은 8개로 나누어져 이들을 subgroup I - VIII로 명명하였다. Subgroups II와 III은 중국 균주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biovar 3 균주는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6개의 subgroup (I, IV, V, VI, VII, VIII)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ew Zealand와 Europe균주에 특이적인 각각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했을 때 subgroups V와 VI에 속하는 균주가 예상했던 DNA 절편을 증폭시켜 이들이 각각 두 지역에서 유입된 균주임을 시사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biovar 3 균주인 subgroup VIII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개발하여 조사한 결과 이 subgroup 균주는 처음 출현한 이후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다.

G(f)-SEQUENCES AND FIBRATIONS

  • Woo, Moo-Ha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709-715
    • /
    • 1997
  • For a fibration (E,B,p) with fiber F and a fiber map f, we show that if the inclusion $i : F \to E$ has a left homotopy inverse, then $G^f_n(E,F)$ is isomorphic to $G^f_n(F,E) \oplus \pi_n(B)$. In particular, by taking f as the identity map on E we have $G_n(E,F)$ is isomorphic to $G_n(F) \oplus \pi_n(B)$.

  • PDF

ON THE SOLVABILITY OF A FINITE GROUP BY THE SUM OF SUBGROUP ORDERS

  • Tarnauceanu, Marius
    • 대한수학회보
    • /
    • 제57권6호
    • /
    • pp.1475-1479
    • /
    • 2020
  • Let G be a finite group and ${\sigma}_1(G)={\frac{1}{{\mid}G{\mid}}}\;{\sum}_{H{\leq}G}\;{\mid}H{\mid}$. Under some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conjugacy classes of (non-normal) maximal subgroups of G, we prove that if ${\sigma}_1(G)<{\frac{117}{20}}$, then G is solvable. This partially solves an open problem posed in [9].

국내 패션프루트(Passiflora edulis)에서 분리한 Cucumber Mosaic Virus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in Korea)

  • 김예영;박태선;박지수;민동주;신유섭;홍진성
    • 식물병연구
    • /
    • 제30권1호
    • /
    • pp.60-65
    • /
    • 2024
  • 2020년 7월, 전라남도 해남에서 퇴록병반과 엽맥녹대 등 바이러스 병징이 보이는 패션프루트(Passiflora edulis) 잎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했으며, RT-PCR 검정과 염기서열 결정을 통해 CMV-HN2를 동정하였다. 패션프루트에 감염하는 CMV의 생물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0개 지표식물에 CMV-HN2를 접종한 결과, CMV-Fny와 비교하여 전형적인 CMV의 감염 패턴을 나타냈다. CMV 패션프루트 분리주들의 외피단백질에 대한 계통발생학적 분석한 결과, CMV의 패션프루트 분리주들은 subgroup I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CMV-HN2는 subgroup IA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패션프루트 CMV 분리주들 사이의 subgroup 차이가 확인되었다. 패션프루트 분리주 간의 외피단백질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였을때, CMV-HN2는 다른 분리주들과 특이적으로 4-8개 아미노산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패션프루트 CMV 분리주들의 외피단백질에서 유전적 다양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반도 지열수의 지화학적 연구: 환경동위원소 및 수문화학적 특성 I. 부곡 지역 (Geochemistry of Geothermal Waters in Korea: Environmental Isotope and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I. Bugok Area)

  • 윤성택;고용권;김천수;소칠섭
    • 자원환경지질
    • /
    • 제31권3호
    • /
    • pp.185-199
    • /
    • 1998
  • 1995~1996년중 부곡 지열수 지역에서 채수한 유형별 자연수를 대상으로 수문지구화학 및 환경동위원소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지역에는 물리화학적으로 뚜렷히 구분되는 세 유형의 자연수, 즉 (1) 군접 I (지열수 지역의 중심부에서 산출되고 최대 $77^{\circ}C$의 용출 온도를 갖는 $Na-SO_4$ 유형), (2) 군집 II(외곽부에서 산출되며 다소 낮은 온도를 갖는 $Na-HCO_{3}-SO_{4}$ 유형) 및 (3) 군집 III(지표수나 천층 냉각 지하수로서 $Ca-HCO_3$ 유형)이 함께 산출된다. 군집 I은 Ia 및 Ib로 세분된다. 수문지구화학적 진화는 수 암 반응의 증가에 따라 군집 III$\rightarrow$II$\rightarrow$I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군집 II 및 III의 자연수는 비교적 낮은 수-암 반응, 특히 방해석 및 Na-사장석의 용해 반응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군집 I은 사장석, K 장석, 백운모, 녹려석, 황철석 등과의 높은 수-암 반응에 의해 형성되었다. 용존 황산염의 농도 및 황동위원소 조성은 지열수의 기원 및 전화를 해석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된다. 용존 황산염은 퇴적 기원 황철석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거나 (군집 Ib의 경우), 또는 열수의 상승 통로인 단열대에 존재하는 마그마 열수기원 황철석의 용해에 의해 생성되었다 (군집 Ia의 경우). 지열 저장지의 온도 규명을 위한 알칼리 이온 지옹계의 적용성은 화학조성을 변화시키는 요인들, 특히 마그네슘이 풍부한 지표수와의 혼합에 의해 제한된다. 그러나 다성분 광물/물 평형계에 대한 열역학적 계산 및 유체포유물 설험 결과, 심부 지열 저장지 (냉각중인 화성암체?)의 온도는 $125^{\circ}C$에 이르는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동위원소 (산소-수소, 삼중수소) 연구에 의하면, 자연수는 모두 상이한 충진 특성을 갖는 강우로부터 기원하였다. 특히 군집 Ia의 물은 심부 지열 저장지까지 심부 순환한 오래된 (40년 이상) 강우로부터 기원하였으며 지표부 물과의 혼합 정도도 낮다. 본 논문에서는 황산염이 풍부한 국내 지열수의 성인 및 진화에 관한 모델을 제시한다.

  • PDF

The Inhibitory Effect of Opioid on the Hyperpolarization-Activated Cation Currents in Rat Substantia Gelatinosa Neurons

  • Seol, Geun-Hee;Kim, Jun;Cho, Sun-Hee;Kim, Won-Ki;Kim, Jong-Whan;Kim, Sang-Je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5권5호
    • /
    • pp.373-380
    • /
    • 2001
  • The action of opioid on the hyperpolarization-activated cation current $(I_h)$ in substantia gelatinosa neurons were investigated by using whole-cell voltage-clamp recording in rat spinal brain slices. Hyperpolarizing voltage steps revealed slowly activating currents in a subgroup of neurons. The half-maximal activation and the reversal potential of the current were compatible to neuronal $I_h.$ DAMGO $(1\;{\mu}M),$ a selective- opioid agonist, reduced the amplitude of $I_h$ reversibly. This reduction was dose-dependent and was blocked by CTOP $(2\;{\mu}M),$ a selective ${\mu}-opioid$ antagonist. DAMGO shifted the voltage dependence of activation to more hyperpolarized potential. Cesium (1 mM) or ZD 7288 $(100\;{\mu}M)$ blocked $I_h$ and the currents inhibited by cesium, ZD 7288 and DAMGO shared a similar time and voltage depend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tivation of ${\mu}-opioid$ receptor by DAMGO can inhibit $I_h$ in a subgroup of rat substantia gelatinosa neurons.

  • PDF

한국에서 서식하는 흰넓적다리붉은쥐 한 아종 Apodemus peninsulae peninsulae Thomas(포유강: 설치목)의 미토콘드리아 DNA 절단단편의 변이 (Variation of Mitochondrial DNA Restriction Fragments within One Subspecies of Korean Field mice, Apodemus peninsulae peninsulae Thomas (Mammalia: Rodentia), from Korea)

  • Hung Sun Koh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2호
    • /
    • pp.291-299
    • /
    • 1995
  • 한국의 6개 지역에서 채집한 흰넓적다리붉은쥐(Apodemus peninsulae p peninsulae)를 사용하여. 8개 제한효소로 절단한 미토콘드리아 DNA(mtDNA) 의 단펀들을 분석하였다. 총 29개의 절단단편들이 나타났고. 7개 mtDNA의 clone이 밝혀졌다. 이들 m mtDNA clone간의 nucleotide-sequence divergence(p)는 0.42-2.01%였으 며, 이들은 평균 divergence가 1. 52%인 3개 소군으로 나뒤어졌다. 한 소군은 3 개 clone으로써 3개 지역의 18마리(청주 16. 소백산 1. 설악산 1)였고, 다른 한 소군은 3개 clone으로 4개 지역의 8p1-리(청주 2. 월악산 2. 가야산 2. 해남 2)였 다 나머지 한 소군은 1개 clone으로 청주의 2마리였다. 뿐만아니라, 이들 3개 소 군은 Stu I의 genotype에 있어서 서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전자의 2개 소군과 마지막 소군과는 Pvu II의 genotype이 달랐다. 이들 뚜렷한 mtDNA 소군의 분류학적 위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내 여러지역 의 더 많은 표본들을 사용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