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factors

검색결과 7,881건 처리시간 0.034초

Spatial Analysis of Colorectal Cancer in Iran

  • Pakzad, Reza;Moudi, Asieh;Pournamdar, Zahra;Pakzad, Iraj;Mohammadian-Hafshejani, Abdollah;Momenimovahed, Zohre;Salehiniya, Hamid;Towhidi, Farhad;Makhsosi, Behnam Rez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sup3호
    • /
    • pp.53-57
    • /
    • 2016
  • Colorectal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cancers. Due to demographic changes, it is predicted that the incidence of this cancer will increase. Variations of its incidence rate among geographical areas are due to various contributing factors. Since there have been a lack of studies on this topic in our country, the present assessment of spatial patterns of colorectal cancer incidence in Iran was performed. In this ecological study, the new cases of colon cancer were extracted from Cancer Registry Center report of the Health Deputy of Iran in 2009. The reported incidences of the disease were standardized on the basi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opulation and the direct method. Then the data were inserted into the GIS software, and finally, using the analysis of hot spots (Getis-Ord Gi) high-risk areas were drawn. Provinces that are higher or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1.9 SD) were considered hot spots or cold spots, significant at the level of 0.05. A total of 6,210 cases of colorectal cancer were registered in Iran in 2009, of which 3,727 were in men and 2,783 in women (age-standardized rates of 11.3 and 10.9 per 100,000 popul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in central and northern Iran including Isfahan, Qom, Tehran, Qazvin and Mazandaran significant hot spots in men were present (p <0.05). In women also we have high incidence in northern and central states: Mazandaran province (p<0.01) and the province of Tehran (p<0.05) had higher incidences than the national average and were apparent as significant hot spots.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olorectal canc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areas pointing to the necessity for further epidemiological studies into the etiology and early detection.

자원동원성 연구논문 분석 (An Analysis of Resourcefulness Research)

  • 서순림;이은옥;김정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2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s of resourcefulness researche studies for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study. Study design, types of subjects, measurement tools, study concept, and outcome were examined by reviewing 61 research studies published from 1980 to 199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24 works in the 1980s and 37 works in 1990, according to the published year of resourcefulness study. Nonexperimental studies like descriptive study, correlational study and comparative study were more frequent than experimental studies. 2. Research studies that consisted of 30- 100 subjects were the most numerous with 27 studies in all. The majority of study subjects was shown as healthy students and depressive patients. 3. Most studies used Rosenbaum's Self Control Schedule(SCS) for assessing resourcefulness. Reliabilities of resourcefulness researches were cronbach ${\alpha}=.70$ or more. According to statisitical tests done for internal validity, SCS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maladaptation.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arsimonious structure was 3 to 6 factors. The total communality variance in the SCS was about 40 %. Other tools used with the SCS were about coping, depression, satisfaction of life and symptoms, self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4. In correlational studies, concepts like depression, anxiety, and psychological symptoms were related to resourcefulness negatively. Adaptive functioning, life satisfaction and self achievement had positive correlations to resourcefulness. 5. Studies on comparison between a healthy person and depressive patient or smoker and non-smoker were done. There were coping, depression, symptom, self efficacy, health problem and self-control as comparative concepts. 6. Study subjects consisted of depressive patients in 9 of 18 experimental studies.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done with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s an experimental intervention.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was revealed in high resourcefulness group. Since the above findings, resourcefulness research increased since 1980 and mostly non-experimental design for quantitative study were done. In the field of nursing, research about resourcefulness was in an initial stage.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needed to be done. Recommendations on the basis of the present research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replicate studies,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enhancing resourcefulness and apply it to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cluding cancer.

  • PDF

NCS(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스포츠계열 공공기관의 채용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An Analysis of Recruitment Importance and Priority of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Sports Public Institution)

  • 김동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409-1417
    • /
    • 2020
  • 스포츠계열 공공기관 채용에 대한 중요도 우선순위를 알아봄으로써 체육계열 학생들의 공공기관 취업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스포츠계열 교수 4명, 스포츠분야 NCS 전문위원 3명, 스포츠 공공기관 심사위원 2명, 공공기관 채용 담당자 2명 등 총 11명을 유목적 표집(purposeful sampling)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2020년 1월 3일부터 3월 12일까지 NCS 직업기초능력 주요 항목 요인을 사용하여 계층구조분석을 이용해 중요도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통계처리를 하기 위해 Window 용 SPSS/PC (ver.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EC-2000을 이용하여 계층구조분석 하였다. 첫째, 스포츠계열 공공기관 채용 대영역에서 의사소통능력(.231), 조직이해능력(.177), 자원관리능력(.128), 대인관계능력(.110), 직업윤리(.082), 문제해결능력(.061), 정보능력(.056), 수리능력(.054), 자기개발능력(.052), 기술능력(.049)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평가항목에 있어서는 의사소통은 의사표현능력(.442), 수리능력은 기초연산능력(.512), 문제해결능력은 사고력(.722), 자기개발능력은 자기관리능력(.587), 자원관리능력은 시간관리능력(.531), 대인관계능력은 팀웍크능력(.382), 정보능력에서는 컴퓨터 활용능력(.677), 기술능력에서는 기술이해능력(.599) 순으로 분석되었다.

교육서비스 품질이 관계관리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유통 관점에서 (Effect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Relationship Management from the Service Distribution Perspective)

  • 조현진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41-49
    • /
    • 2015
  • Purpose - Universities are placing a greater emphasis on relationship management as a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due to increasingly competitive environments and social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education service quality,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 distribu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ole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with regard to relationship management. In this study, education service quality is divided into lecture, job assistance, student-faculty interaction, student-student interaction, facility welfare, and scholarship welfare quality components; relationship quality is composed of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is divided into recommendation and defection inten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various element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affect satisfaction. Further, it aims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commitment, recommendation intentions, and defection intentions. Distribution and marketing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experiment. Out of the 380 administered questionnaires, a total of 361 respondents provided complete and usable data. The sample consisted of 232 males (64.3%) and 129 females (35.7%). The variables of the proposed model were measured through assessments that were measured on a 5-point Likert scale. Using Lisrel 8.7, a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and the path coefficients were estimated. Results - The overall fit of the model was acceptable (χ2=1121.8 (df=603, P=0.00), GFI=0.967, NFI=0.974, CFI=0.981, RMR=0.021). The results generally supported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of the proposed model, except for Hypothesis 1. First, lecture, job assistance, student-faculty interaction, student-student interaction, and facility welfare quality were reveal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In particular, lecture and facility welfare quality had the strongest effects on satisfaction. However, scholarship welfare qual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Hypothesis 3-2 was not supported. Second,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commitmen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but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defection intentions. Third, commit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recommendation intentions but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defection intentions. Conclusions - This study emphasizes the influence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atisfaction in the long-term. In addition,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university relationship management. Firs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various dimension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have differing effects on satisfaction. In particular, lecture and facility welfare quality a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ncreas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refore, university managers need to prioritize enhancing lecture quality and upgrading educational facilities. Second, satisfaction also improves through job assistance systems and opportunities for social interactions. Therefore, university managers should reinforce their job skills programs and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social relationships to develop. Finally, it is important for university managers to take a relationship approach to maximizing relationship performance. Therefore, university managers should work to increase student recommendations and prevent their defections based on satisfaction and commitment.

시뮬레이션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 디브리핑 경험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briefing Experience in Simulation as Problem-based Learning (S-PBL))

  • 최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59-46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 디브리핑 경험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U지역 간호학과 3학년 2학기 통합 시뮬레이션 실습을 수강한 102명의 간호학생으로 자료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습 수업이 모든 끝난 후에 수집되었다. 자료분석방법은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디브리핑 경험의 하위항목 중 '촉진자의 적절한 안내'가 5점 만점에 3.78점으로 가장 높았고, 문제해결과정과 메타인지 간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r=0.704, p<.001). 메타인지와 디브리핑 경험간에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r=0.197, p<.05) 특히 하위항목인 '관련성 맺기와 학습하기'와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235, p<.05). 그러나 문제해결과정과 디브리핑 경험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 성별과 메타인지가 문제해결과정의 51.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의 이론적 근거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간호학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디브리핑의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와 문제해결능력, 디브리핑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규명을 위한 추후 연구들이 필요하다.

대학 창업교육의 고도화를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역량교육에 대한 고찰: 해외의 교육정책 및 사례분석의 시사점 (A Study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Education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Lessons and Implications From Leading Countries' Educational Policies and Cases)

  • 김지영;성창수;박주연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2호
    • /
    • pp.65-7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교육에 있어 중요한 창의적 문제해결역량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고, 해외의 창의적 문제해결역량교육 관련 정책과 우수 대학의 교과과정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의 창의적 문제해결역량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교육의 프레임워크 및 대학의 역할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문제해결 역량에 관한 기존 연구들과 해외 국가 및 대학의 문제해결 교육 정책 및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창의적 문제해결역량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창의적 문제해결역량교육 프레임워크는 크게 문제정의, 문제해결방법, 결과적용의 체계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첫째,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의 첫 번째 단계인 이론기반 교육과 지속적인 지도와 멘토링의 구성이다. 둘째, 해외대학에서 교육의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는 팀기반 학습법이다. 셋째, 체계적인 교육과정평가 개발이다. 넷째, 현장 연계형 및 융합형 패러다임의 구축이다. 이러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국내 창의적 문제해결역량교육의 시사점을 국가, 대학, 교과과정 설계차원으로 제시하고, 창업교육과의 상호관계 및 융합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 PDF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와의 관계 연구: 창업실패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Fear on Business)

  • 김재형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4호
    • /
    • pp.73-82
    • /
    • 2018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 구성요소가 창업실패두려움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K대, S여대, S대, H대 등 서울 소재 4개 대학교의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참가 대학생 356명의 설문을 분석했다. 변수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의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분석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기업가정신 구성요소는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창업실패두려움은 창업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실패두려움은 기업가정신 구성요소 일부와 창업의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미래에 주도적으로 본인의 진로를 개척하며 미래성장을 이끌어갈 대학생의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 기업가정신 구성요소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창업실패두려움을 낮출 수 있도록 스타트업 현장을 체험할 기회를 주어 창업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낮추고 창업함에 발생하는 기회비용으로 창업을 두려워하지 않도록 재학 중 창업경험을 대외적으로 인정되고 취업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자산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 분석 -예비유아교사 및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The analysis of teaching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for high school and high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고은현;박혜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82-188
    • /
    • 2017
  • 이 연구는 수업이 지향해야 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여 선행연구에서 밝혀왔던 좋은 수업의 세부 요소 및 특성들과 더불어 좋은 수업의 가치를 지향할 수 있는 수업의 우세 가치 유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과 관점을 객관적으로 지표화한 TPI를 활용하여, 예비 및 현직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우세 가치 유형을 교차분석 및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Tukey의 HSD)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수업의 우세가치는 학교유형과 관계없이 "양육" 관점으로, 대학교 수업은 "도제"관점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수업에 관한 연구결과는 "양육"이 우세 관점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외 연구 결과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 수업의 경우 영미권에서는 도제 관점을 우세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국내 연구에서는 도제 관점이 우세하여 드러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현직 유아교사가 실습경험 없는 예비교사보다 "도제" 관점을 우세하게 인식하였다. 국내외 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비교 고찰하여 좋은 수업의 가치를 논의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교급과 전공을 세분화하여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 요구된다.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Freshm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 송진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35-345
    • /
    • 2017
  •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시작하는 대학 신입생들에게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사회적 핵심역량이다. 본 연구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과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 지역 D대학교 신입생 26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능력,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적응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능력 하위요인의 처음관계 맺기, 권리 주장, 정서적 지지, 대인갈등 다루기 순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지지 하위요인 가운데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수지지 순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대인관계능력과 가족, 친구, 교수의 사회적 지지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시사하고 있어 대학생활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대인관계능력을 함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남녀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부모, 학업, 친구, 외모, 경제), 학교생활적응과 행복감의 관계성 연구: 매개관계를 중심으로 (A Relationship Study of Adolescents' Various Stress, School-life Adjustment, and Happiness: mediating effects)

  • 김선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61-169
    • /
    • 2020
  • 본 연구는 남녀 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2018년도 조사' 중고등학교 자료 5,144명을 활용했고, 2017년 교육기본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학급을 표집단위로 크기비례확률 추출법을 활용하여 표집했다. 구조방정식과 다중집단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로, 첫째, 청소년들의 행복감에는 학업스트레스, 친구스트레스, 외모스트레스가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도 행복감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였고 각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는 부모스트레스, 경제스트레스와 학업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각 스트레스와 행복감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는 부모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와 경제적 스트레스만 학교생활적응을 통해 유의미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남녀차이에 대한 다중집단 구조분석 결과, 두 집단구조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집단의 매개효과 결과에서는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은 학업스트레스와 경제스트레스만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여학생은 학업, 경제와 부모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을 통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청소년들의 행복감에 대한 개입과 실천적 함의에 대한 제안과 과제가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