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briefing Experience in Simulation as Problem-based Learning (S-PBL)

시뮬레이션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 디브리핑 경험과의 관계

  • 최은진 (울산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5.07.21
  • Accepted : 2015.09.12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in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briefing experience in S-PBL. Study participants were 102 nursing students who took the integrated S-PBL class in their last semester.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into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highest subscale of debriefing experience was 'appropriate facilitator guidance' 3.78 (out of 5). Problem solving process and metacogni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r=0.704, p<.001). Metacogni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briefing experience(r=0.197, p<.05), especially area of 'learning and making connections'(r=0.235, p<.05)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briefing experience. Multiple regression (enter method) showed that gender and metacognition explained 51.2% of problem solving process. This study offers a rationale on simulation debriefing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support effects of experiences of debriefing and factors 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briefing in nursing simu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문제해결과정, 디브리핑 경험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U지역 간호학과 3학년 2학기 통합 시뮬레이션 실습을 수강한 102명의 간호학생으로 자료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습 수업이 모든 끝난 후에 수집되었다. 자료분석방법은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디브리핑 경험의 하위항목 중 '촉진자의 적절한 안내'가 5점 만점에 3.78점으로 가장 높았고, 문제해결과정과 메타인지 간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r=0.704, p<.001). 메타인지와 디브리핑 경험간에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r=0.197, p<.05) 특히 하위항목인 '관련성 맺기와 학습하기'와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235, p<.05). 그러나 문제해결과정과 디브리핑 경험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 성별과 메타인지가 문제해결과정의 51.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의 이론적 근거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간호학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디브리핑의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와 문제해결능력, 디브리핑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규명을 위한 추후 연구들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손영주, 손영아,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과 학습에 대한 PBL과 S-PBL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43-52, 2012.
  2. 송지호, "학습성과와 시뮬레이션 교육," 한국의료시뮬레이션학회지, 제3권, 제1호, p.2, 2014.
  3.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3권, 제1호, pp.90-94, 2007.
  4. 김영희, 강영아, 이명남, 김윤경, 김예진, 이정재, 정현철, "시뮬레이션 학습단계에 따른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교연구: 응급실 내원 호흡곤란 환자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495-505, 2015.
  5. 이정미, 소향숙, 김윤경, 김정이, 안민정,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850-86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850
  6. 김순옥, 김현숙, "모의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자기주도적 학습, 학습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96-408, 2014.
  7. 김정희, 박인희, 신수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한국간호교육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3호, pp.307-319, 2013.
  8. S. J. Reed, "Debriefing Experience Scale: Development of a tool to evaluation the student learning experience in debriefing,"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8, No.6, pp.e211-217, 2012. https://doi.org/10.1016/j.ecns.2011.11.002
  9. J. M. Arafeh, S. S. Hansen, and A. Nichols, "Debriefing in simulated based learning: Facilitation a reflective discussion,"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Vol.24, pp.302-309, 2010. https://doi.org/10.1097/JPN.0b013e3181f6b5ec
  10. R. M. Fanning and D. M. Gaba, "The role of debriefing in simulation-based learning," Simulation in Healthcare, Vol.2, No.2, pp.115-125, 2007. https://doi.org/10.1097/SIH.0b013e3180315539
  11. M. A. Neill and K. Wotton, "High-fidelity simulation debriefing in nursing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7, pp.e161-e168, 2011. https://doi.org/10.1016/j.ecns.2011.02.001
  12. P. R. Jeffries, "A frame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e Education Perspectives, Vol.26, No.2, pp.96-103, 2005.
  13. J. M. Lusk and K. Fater, "Post simulation debriefing to maximize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Nurse Educator, Vol.38, No.1, pp.16-19, 2013. https://doi.org/10.1097/NNE.0b013e318276df8b
  14. T. Levett-Jones and S. Lapkin, "A system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 debriefing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Vol.34, pp.e58-63, 2014. https://doi.org/10.1016/j.nedt.2013.09.020
  15. 김애경, 메타인지 훈련이 귀인양식, 자기효능감 및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전북, 1996.
  16. 우옥희, 문제중심학습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충북, 2000. 1차 문헌.
  17. 장금성, 김남영, 류세앙, 김윤민, 정경희, "간호관리학 임상실습에서 협력학습이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91-198, 2007. 1차 문헌.
  18. 오윤정, 강희영,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에서 메타인지, 학습몰입 및 문제해결력," 기본간호학회지, 제20권, 제3호, pp.239-247, 2013. https://doi.org/10.7739/jkafn.2013.20.3.239
  19. 조미영, 최명옥, "간호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메타인지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13-522,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4.513
  20. 황윤영, 박창승, 주민선, "문제중심학습법으로 학습한 간호학생의 메타인지, 비판적 사고력,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46-155, 2007.
  21. 이우숙, 조갑출, 양선희, 노영숙, 이규영,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간호기본 역량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64-72, 2009.
  22. P. R. Printrick and E. Groot,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ognitive processing during instruc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pp.33-40, 199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23. J. S. Lee, The effects of process behaviors o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on various test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2차 문헌.
  24. P. W. Stewart, S. S. Cooper, and L. R. Moulding, "Metacognitive development in professional educators," The Researcher, Vol.21, pp.32-40, 2007.
  25. 최희정,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메타인지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3권, 제5호, pp.712-721, 2004.
  26. 김덕희, 이윤정, 황문숙, 박진희, 김희선, 차혜경,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실습 프로그램이 일 대학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과 간호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3호, pp.499-509, 2012.
  27. C. A. Tanner, "Thinking like a nurse: A research-based model of clinical judgmen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6, No.6, pp.204-211, 2006.
  28. 김은정, "시뮬레이션에서의 간호대학생의 임상적 판단기술 분석: Tanner의 Clinical Judgement Model을 적용하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12-222, 2014.
  29. C. A. Tanner, "The curriculum revolution revisited,"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6, No.2, pp.51-52, 2007.
  30. J. Osborne, "Measuring meta cognition in the classroom: A review of currently available measures,"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retrieved July, 29, 2001, 2차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