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concepts

검색결과 1,530건 처리시간 0.025초

중학생들의 전해질과 이온에 관련된 입자 개념 표현의 일관성 분석 (Analysis of Coh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Representation of Particulate Concepts)

  • 윤회정;이윤하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580-589
    • /
    • 2014
  • 학생들이 특정 내용 영역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개념은 맥락의 영향을 받기도 하며, 맥락과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유지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특정 내용 영역에서 사용하는 입자 개념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입자 개념에 미치는 맥락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고체 상태와 수용액 상태의 전해질을 설명할 때와 수용액 상태의 서로 다른 전해질이 혼합되어 고체 상태의 앙금을 형성하는 현상을 설명할 때 입자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해질과 이온' 단원의 수업이 끝난 후에 검사를 실행하고, 개발한 분류틀에 따라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체 상태와 수용액 상태의 전해질을 설명한 응답의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입자 개념을 가지고 각각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앙금 생성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학생들이 사용하는 입자 개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많은 학생들이 화학기호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약 57%의 학생들이 과학적 개념을 일관적으로 적용하여 수용액 상태의 입자에 대해 전해질과 앙금 생성 반응을 설명하였고, 비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을 모두 포함했을 때 일관성 있는 설명을 제시한 학생들은 전체의 약 79%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여러 맥락에서 입자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7학년 학생의 과학 태도 수준에 따른 광합성 관련 개념의 근접성 변화 분석 (Analysis of Concept's Proximity of 7th Grade Students' Photosynthesis Concepts by the Level of Science Attitude)

  • 이희정;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524-1536
    • /
    • 2012
  • 과학 태도는 학습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 과학 교육에서 중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이다. 과학 태도 수준에 따라서 인지적 영역의 구조적 측면, 특히 개념간의 근접성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 태도 수준에 따라서 광합성 관련 개념의 근접성이 수업 후에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7학년 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수업 전과 수업 후의 과학 태도와 광합성 개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광합성 개념은 '광합성이 일어나는 장소', '광합성에 필요한 물질', '광합성결과생성 되는 물질',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광합성 개념의 근접성은 다차원 척도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구체적인 개념을 습득함으로써 개념의 근접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습을 통해 과학태도 상집단이 중 하집단에 비해 과학적 개념의 근접성이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3) 과학 태도의 모든 수준의 학생에서 비과학적 개념이 수업 후에도 계속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과학적 개념이 광합성과 관련된 과학적 개념 사이의 근접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학생들은 광합성과 관련된 4개 영역에서 서로 관련된 개념은 가깝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광합성에서 광합성 장소와 필요 물질을, 광합성 결과 생성되는 물질과 필요 물질을 가깝게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립개념의 증거적 비판논의와 반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 물리 개념변화 모형 (The conceptual change model for physics concepts based on the critical discussion about rival concepts and the reflective thinking)

  • 김익균;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7-89
    • /
    • 1992
  • According to many previous researches on the students' physics conceptions, in spite of school science learning the students' preconceptions were either not changed or reinforced. Although many researchers argued that the presentation of conflict situations which can not be explained by the students' preconceptions is prerequisite to their conceptual changes, some other researchers argued that such a presentation could be useless. In this study, a model of students' conceptual change in physics, which encourages students to recognize actively the conflicting situations and to control the process of their conceptual changes, was developed. In this model, the critical discussion on rival concepts and the reflective thinking were regarded as two important factors for students' conceptual changes.

  • PDF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고등학교 해석 기하 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ynamic Geometry Software in Solving High School Analytic Geometry Problems.)

  • 황우형;차순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341-360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dynamic software in solving high school analytic geometry problems compared with traditional algebraic approach. Three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revealed high performance in mathematic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at they mastered the basic concepts of equations of plane figure and curves of secondary degre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the followings: 1) In what degree students understand relationship between geometric approach and algebraic approach in solving geometry problems? 2) What are the difficulties students encounter in the process of using the dynamic software? 3) In what degree the constructions of geometric figures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mathematical concepts? 4) What are the effects of dynamic software in constructing analytic geometry concepts? 5) In what degree students have developed the images of algebraic concep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mathematical connections between geometric approach and algebraic approach was complementary. And the students revealed more rely on the algebraic expression over geometric figures in the process of solving geometry problems. The conceptual images of algebraic expression were not developed fully, and they blamed it upon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 PDF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과학 기반 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based STEAM Program using a Portfolio on Elementary Students' Formation of Science Concepts)

  • 강주희;주은정;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593-60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cience-based STEAM program using a portfolio on elementary students' formation of science concepts and investigate students' opinion about the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1 experimental class(10 boys and 12 girls) and general science lessons, using a science textbook, was applied to 1 controlled class(11 boys and 13 girls) of $5^{th}$ grade students at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rough a total 6 sessions. Concept tests of the solar system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lessons and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ience-based STEAM program using a portfolio was effective to form science concepts. Second, students opinion about science-based STEAM program using a portfolio was positive. Students think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science contents, promoting thinking, self-motiv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basic material to expand STEAM in science education.

중.고등학교 가정관리교육내용에 대한 학생, 가정과 교사, 전공교수의 요구도 분석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Home Management Perceived by Secondary Students, Home Economics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 이연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7-62
    • /
    • 1993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1) determine important home management concepts in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2)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home management perceived by students, home economics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3)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home management concepts, (4) use the findings to make recommendations for defining the area of home management in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Three version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to assess the needs. One questionnaire was for students, one for home economics teachers, and one for professors. A total of 1,029 students, 385 home economics teachers, and 45 professo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one way ANOVA with scheff -test, and factor analysis. Forty home management concep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lated literatures. The respondants perceived these important for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However, 36 home management concepts had differences in perceived importance among students, teachers, and professors. Nine factors emerged from the factor analysis. The three factors that were judged of most importance by students were communication and stress management, making money and helping household tasks, and leisure time activities. The professors and teachers perceived decision making and management process and knowing and utilizing resources most important.

  • PDF

유전 관련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비유 만들기 수업의 적용 효과 (The Effects of Applying Instruction Using High School Students' Self-Generated Analogies for Concepts in Genetics)

  • 김동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24-4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비유 만들기 수업에 대한 효과측면, 문제점 측면, 문제점해결 방법 측면, 교사의 역할 측면의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전 관련 개념에 대한 비유물 창안하기, 목표물과 비유물 사이의 불일치 점 찾아내기, 새롭게 알게 된 유전 개념 발표하기 단계로 비유 만들기 수업을 실시하였고, 본 수업을 통해 유전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동기 검사, 면담을 통하여 학생들의 비유 만들기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유 개발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워크숍 결과, 생물 학습에서 유전과 관련된 개념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으로 이런 어려운 과학적 개념 이해를 위해 비유 만들기 수업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학생들은 유전관련 개념에 대한 비유 소재를 일상생활에서 찾았으며, 학생들은 자신과 다른 친구들이 만든 비유물을 비교해보고 토론 과정을 거치면서 목표물과 비유물 사이의 불일치 점을 찾아내고, 유전 개념에 대한 올바른 과학 개념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비유 만들기 수업은 전통적 설명식 수업보다 학업 성취도 향상과 학습동기 유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의 특성에 대한 중학생의 거시적 개념과 미시적 개념의 비교 (A Comparison of Middle School Students' Macroscopic and Microscopic Conceptions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Substances)

  • 이재원;이병진;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43-252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물질의 특성에 대한 거시적, 미시적 수준의 개념을 비교하였다. 기초 입자 개념 검사와 녹는점, 용해도, 밀도 개념에 대한 거시적, 미시적 수준의 개념 검사를 개발하여 371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을 거시적 수준과 미시적 수준의 개념 이해 여부에 따라 네 가지로 범주화하고 범주별 비율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거시적 수준의 개념을 이해한 학생들은 미시적 수준에서 다양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많은 학생들은 물질의 특성과 관련한 미시적 수준의 개념뿐 아니라 거시적 수준의 개념 이해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거시적 수준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 학생들은 대부분 미시적 수준에서 거시적 수준의 응답과 일치하는 응답을 하지 못하였다. 기초 입자 개념 문항에 옳은 응답을 한 학생들도 물질의 특성 관련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거시적 수준의 개념을 이해한 경우 미시적 수준의 개념도 함께 이해한 비율이 높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물질의 특성 관련 개념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및 향후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대학수학에서 정의, 공식, 정리의 이해도 검사 (A Survey Research on Students's Understanding of Definition, Formula, and Theorem at College Mathematics Classes)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11-335
    • /
    • 2008
  • 정의의 정확한 이해, 수학개념의 이해, 정리나 공식의 이해와 활용에 대해 이해력의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에게 이들에 관한 문제를 이용한 검사를 하고 수학의 기본개념과 내용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하면, 1) 검사에 이용된 문제가 정확히 이해도를 측정했는지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2) 정의, 공식, 정리의 이해와 활용에 예나 반례를 보이고 조건이 빠지면 변화되는 상황에 대한 설명이 더 체계적이어야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3) 새로운 내용이 도입될 경우 기본개념의 중요성을 그 때마다 강조하고 반복 제시를 통해 확실한 이해에 도달하도록 하며, 4) 이해도 측정을 위한 좋은 문제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대학수학 문제 개발에 수학지도 교수의 관심을 필요로 하며, 5) 학습지도에서 이들 문제를 이용하는 것이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5, 6학년 학생들의 대표값에 대한 비형식적 개념 분석 (An Analysis of Informal Concepts of Average Found in Fifth and Sixth Graders)

  • 이춘재;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3호
    • /
    • pp.319-34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ifth and sixth graders recognize average and to find out suggestions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of average by examining which difference there is depending on the way of the word problem presentation. For the this purpose, was conducted experiment study with the way of the world problem presentation set up as experimental treatment.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since students who did not learn the regular course of average had various informal concepts already, it is needed to consider handling more various concepts of average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expand flexible thoughts. Second, compared with fifth and sixth graders showed a wide difference in informal concepts of average depending on the way of the word problem presentation. In expect data with given average, concepts of mean as algorithm, balance point, and mode indicated similar percentage, while in estimate average with given data,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showed the concept of mean was very high at 67.6%. That may be because problems related to mean in the current textbooks are items of 'estimate average with given data', so in types of 'estimate average with given data', students solve questions with mean as algorithm without considering situations of problems.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way of the word problem presentation even in textbook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informal concepts of averag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s.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 in the concepts of average depending on gender or attributes of discrete quantity and continuous quant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