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teacher

검색결과 1,340건 처리시간 0.029초

교사 학생 심층신경망을 활용한 다채널 원거리 화자 인증 (Multi channel far field speaker verification using teacher student deep neural networks)

  • 정지원;허희수;심혜진;유하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83-488
    • /
    • 2018
  • 원거리 발성은 화자 인증 시스템의 성능을 하락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 학생 학습을 이용하여 원거리 발성에 의한 화자 인증 시스템의 성능 하락을 보상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교사 학생 학습은 미리 학습된 교사 심층신경망의 출력과 학생 신경망의 출력이 같아지도록 학생 신경망을 학습하는 기법이다. 여기서 교사 신경망에는 근거리 발성을, 학생 신경망에는 원거리 발성을 입력한 뒤, 두 신경망의 출력을 동일하게 만드는 과정을 통해 원거리 발성을 보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하지만 원거리 발성을 보상하는 과정에서, 근거리 발성에 대한 인식률이 저하되는 현상을 실험적으로 발견하였다. 위와 같은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교사 심층신경망을 학생 심층신경망의 초깃값으로 사용하는 기법과 학생 심층신경망을 근거리 발성에 대해서도 학습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모든 실험은 원 음성을 입력 받는 심층신경망을 활용해 수행하였다. 동일한 발성을 각각 4 채널로 근거리와 원거리에서 자체적으로 수집한 문장 종속 데이터셋을 활용하였다. 동일 오류율을 기준으로 근거리 / 원거리 발성에 대한 화자 인증 성능을 평가한 결과 교사 학생 학습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2.55 % / 2.8 %, 기존의 교사 학생 학습을 사용할 경우 9.75 % / 1.8 %, 제안한 기법들을 적용한 경우 2.5 % / 2.7 %의 오류율을 확인하였다.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및 역할수행과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 Creative Instructional Behavior, Role-Performance,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육명신;박명신;박용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450-2464
    • /
    • 2015
  • 본 연구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및 역할수행과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과 역할수행은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은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과 역할수행은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및 역할수행과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학교교육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로서 학교교육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TIMSS 2011 결과에 나타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교사 변인과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effects on fourth-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based on TIMSS 2011 results)

  • 김성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2호
    • /
    • pp.195-20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 on fourth-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using data from TIMSS 2011.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cluded interest in learning mathematics, interest in mathematics lessons, and confidence in their mathematics ability. Teacher factors included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confidence in teaching mathematics, teach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and enhancing student mathematical thinking. The two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factors and student attitud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centered mathematics instru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confidence about their mathematics abil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school systems and mathematics educators need to provide teachers with the curriculum, assessment, and research-based practices and knowledge to overcome the obstacles to change their mathematics classroom.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과 교사의 담론 구조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eachers-students and teacher's discourse structures in mathematization processes)

  • 최상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1호
    • /
    • pp.17-2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른 교사의 담론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법을 20년 이상 실행한 경력 교사의 한 학기 수업 44차시 중에서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서로 다른 상호작용 양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경우 각각 1차시 수업을 비교분석하였다(근거 이론). 분석 결과, 학생들의 참여 양상을 고려한 교사의 담론 구조는 수학화 과정 경험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라 수학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구체화함으로써 수학화를 위한 교실 담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와 교육실습생의 의사소통 과정 및 내용분석 (Communication Processes and Contents of the Supervisory Conferences between the Cooperating Teacher and the Student Teacher in Kindergarten)

  • 이애리;박은혜
    • 아동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13-224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mmunication processes and contents between cooperating teachers and their student teachers during student teaching conferences. To reach this purpose,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generated. 15 cooperating teachers and their 15 student teachers from 9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Ilsan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nferences of each dyad were tape-recorded for further analysis. "Analyzing System for Interaction of Learning" designed by Thies-Sprinthall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operating teachers talked more than the student teacher during the conference. Second, the cooperating teachers used more directive talk than indirective talk. Third, the speaking patterns of the student teachers revealed that student teachers express their opinions frequently(55.6% of total pattern). Fourth, cooperating teachers focused their remarks more on the instructional issues(48.5%). The cooperating teachers emphasized on the operation of class(23.1%), other subject(12.3%), practical guidance(10.7%), self-assesment(5.4%) in order. Fifth, the most emphasized issue by student teachers was the instructional matters which was reported by 53.4% of the entire subjects.

  • PDF

CoRe를 활용한 교육실습이 예비 교사들의 PCK 개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actice Teaching Utilizing Content Representation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정유정;이경희;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6호
    • /
    • pp.520-532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CoRe를 활용한 교육실습 수업지도 과정에서 어떠한 내용의 지도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CoRe의 역할과 그것이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1명의 실습 지도교사와 2명의 예비교사의 CoRe 논의과정, 예비교사가 진행하는 수업의 관찰,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CoRe를 바탕으로 한 논의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오개념을 확인하고 개념을 명료화하였으며,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부족한 지식을 보완하며, 새로운 전략을 구성해나갔다. 지도교사는 자신의 구성주의적 교수 지향을 기반으로 자신의 교수 경험을 전달하였다. 이 과정에서 CoRe는 예비교사들에게 지도교사의 지도 과정을 안내하는 역할, 지도교사의 PCK를 드러내도록 도와주는 역할, 논의과정에서 그들의 대화를 도와주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여 교육실습에서 지도교사의 수업지도를 도와주는 유용한 틀임을 확인하였다. 예비교사들은 CoRe 작성과정을 통해 수업 준비를 위한 유용한 틀을 제공받았고, 수업계획 단계에서 지도교사와 함께 CoRe를 개발하면서 교과 내용 지식과 교육과정 지식, 학생의 이해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는 PCK 신장에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 또한, PCK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학생과 교수활동, 과학 교사로서의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경험하였다.

웹 게시판을 활용한 영어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English classes using a web-based bulletin board system)

  • 김지영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3호
    • /
    • pp.227-251
    • /
    • 2007
  •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s (CMC) as a tool for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has grown considerably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learners' particip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EFL classes using web-based bulletin boards. The total number of 77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domains and eight independent variabl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re a learner-related domain (attitudes toward CMC,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ttitudes toward writing), an interaction-related domain (student-student interacti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an environmental domain (physical support and design of the web site). In order to determine interrelation of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ctors predicting a learner's participation were instrumental motivation, attitudes toward writing,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The factors explaining a learner's achievement were learner's participation and attitudes toward writing, and the factors predicting a learner's satisfaction were integrative motivation, student-student interacti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physical support and learner's participation.

  • PDF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 지도 영역에 대한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비교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ognition of Instruction Teacher and Student-teacher about Role of Industry Vocational Subjec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

  • 이상현;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3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생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이 지도 영역의 중요도에 대한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영역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문헌 고찰과 전문가 검증을 통해 공업계열 전문교과 예비 교사 교육 실습 담당 지도 교사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이 영역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교육 실습생에게 지도해야할 지도 영역으로는 7개 대영역, 17개의 중영역, 85개의 세부 지도영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가들은 예비교사에게 교사의 가치관 및 인성 형성 영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학교 업무와 관련된 영역은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지도할 영역으로 그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교육활동 지원 영역'과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 실습생은 대체적으로 모든 영역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전문성 향상 영역', '수업 활동 영역'의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지도 영역은 '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바람직한 교육관 태도 형성 영역'이었다. 반면 교육 실습생은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전문성 향상 영역'이었다. '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 영역', '교육 활동 지원 영역',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두 집단 모두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였다.

초등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학생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적극적 대처의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Active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erception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최사라;김민정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2호
    • /
    • pp.197-22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가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적극적 대처가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203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 성인애착, 인지적 유연성, 적극적 대처, 교사-학생 관계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가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를 인지적 유연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교사의 성인애착이 안정적일수록 인지적 유연성이 증가하여 교사-학생 관계가 향상됨을 의미한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과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함께 고려할 때, 초등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가 지각한 교사- 학생 관계를 적극적 대처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이 적극적 대처로 가는 직접경로가 유의미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셋째, 초등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가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를 인지적 유연성과 적극적 대처가 순차적으로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즉, 초등교사의 애착이 안정적일수록 인지적 유연성이 높아져 적극적 대처를 하게 되므로 교사가 학생과의 관계를 더욱 긍정적으로 지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교육실습생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n Student Teacher Searching for Identity as a Teacher)

  • 진형란;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99
    • /
    • 2014
  • 교육실습은 산란(産卵) 직전의 알이다. 해를 거듭할수록 사범대생에게 교사가 필수가 아니라는 목소리가 증가하고 있다. 그들은 어떤 존재로 부화될 것인가? 닭일까? 오리일까? 나는 55명의 교육실습생이 4주의 교육실습 기간에 교사로 존재 지향점을 찾아가는 과정을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따라 전개하였다. 절차는 현장 들어가기, 현장 텍스트 쓰기, 연구 텍스트 쓰기의 3단계로 이루어졌다. 교육실습생들은 현장에서 관찰한 것과 자극 받은 것 그리고 현장 교사 및 학생들과 인터뷰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주 별 저널을 써 나갔다. 교육실습 카페에서 이루어진 자유롭고 진정성 있는 이야기 220부가 현장 텍스트로 수집되었다. 그리고 연구 텍스트는 각 주별로 탐색, 성장, 반성, 다짐에 대한 시적글쓰기를 통하여 다시 살아내고 다시 이야기하며 내러티브 탐구를 기술해 나갔다. 가정교육과 교육실습생을 비롯한 절대다수의 교육실습생이 교사로서의 삶을 지향하며 부화를 기다리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