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behavior modeling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1초

사회적 비용을 이용한 이동 행위 평가 모델 - 기숙사의 위치와 사회적 비용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도시 계획으로의 활용방안 고찰 - (Social Costs Estimation to Evaluate Urban Trip Activity - An application of student housing and social costs analysis for urban planning -)

  • 신동윤;송유미;김성아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9-28
    • /
    • 2016
  • Social costs analysis seeks to reveal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transportation policy. It delivers a sense of the effects of the public's daily travel and the costs that are or would be incurred from individual trips. Moreover, the accumulated total number of trips will uncover the effects of travel on society. This article show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conomic outcomes of travel using social costs estimation methods. In order to support urban planning tasks, this research implemented analysis tool for social costs estimation by travel behavior. For a case study, a jave based application which can convert people's trip data into social costs is developed. the application used for simulating student-housing effects by estimating social costs changes. The analysis included the attributes, building scale and locational changes of the student housing as well as transforms of the students' trips.

Student Group Division Algorithm based on Multi-view Attribute Heterogeneous Information Network

  • Jia, Xibin;Lu, Zijia;Mi, Qing;An, Zhefeng;Li, Xiaoyong;Hong, M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12호
    • /
    • pp.3836-3854
    • /
    • 2022
  • The student group division is benefit for universities to do the student management based on the group profile. With the widespread use of student smart cards on campus, especially where students living in campus residence halls, students' daily activities on campus are recorded with information such as smart card swiping time and location. Therefore, it is feasible to depict the students with the daily activity data and accordingly group students based on objective measuring from their campus behavior with some regular student attributions collected in the management system. However, it is challenge in feature representation due to diverse forms of the student data. To effectively and comprehensively represent students' behaviors for further student group division, we proposed to adopt activity data from student smart cards and student attributes as input data with taking account of activity and attribution relationship types from different perspective. Specially, we propose a novel student group division method based on a multi-view student attribute heterogeneous information network (MSA-HIN). The network nodes in our proposed MSA-HIN represent students with their multi-dimensional attribute information. Meanwhile, the edges are constructed to characterize student different relationships, such as co-major, co-occurrence, and co-borrowing books. Based on the MSA-HIN, embedded representations of students are learned and a deep graph cluster algorithm is applied to divide students into groups. Comparative experiments have been done on a real-life campus dataset collected from a university.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our method can effectively reveal the variability of student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and accordingly achieves the best clustering results for group division.

융복합 시대에서 대학생의 성격강점(인간애) 및 자기통제력과 이타행동의 관계: 도덕적 고양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s(Humanity), Self-Control, and Altruistic Behavior in the Times of Convergence: The Mediating Effect of Moral Elevation)

  • 장용희;김경자;이재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445-4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시대에서 대학생의 성격강점(인간애) 및 자기통제력과 이타행동의 관계에서 도덕적 고양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청주에 소재한 C대학교 재학생 647명을 대상으로 네 가지 측정도구인 성격강점(인간애), 자기통제력, 도덕적 고양, 이타행동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SPSS 프로그램과 AMOS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적합도 지수는 CFI=.937, TLI=.917, RMSEA=.077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결과는 첫째, 성격강점(인간애)와 자기통제력은 이타행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덕적 고양은 성격강점(인간애), 자기통제력과 이타행동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회적지지가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스트레스 및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Youth Student-Athletes' Stress and Deviant Behavior)

  • 권욱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198-5206
    • /
    • 2015
  • 이 연구는 친구, 선후배 및 코치의 사회적지지가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 및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비확률 표본추출법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D시와 G시에 소재한 2개의 체육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체육특기생 350명을 표집 하였다. 최종 회수된 217부의 설문지 중 질문문항의 일괄적인 처리 혹은 무응답과 오기입 등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어지는 35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18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사회적지지는 청소년 운동선수의 운동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스트레스는 일탈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는 운동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일탈행동에 유의한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취업에 관한 대학생들의 신념, 태도 및 취업의도에 관한 연구 (University Student's Beliefs, Attitudes and Intention with Regard to Applying for Jobs in SME)

  • 문선정
    • 중소기업연구
    • /
    • 제39권3호
    • /
    • pp.57-76
    • /
    • 2017
  • 오늘날 국내외 경기 침체로 전반적인 실업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대졸자들의 중소기업 취업 기피현상으로 인한 인력수급의 불균형과 사회적 불안요인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중소기업 취업에 관한 신념과 태도가 어떻게 중소기업 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바탕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Ajzen이 제시하는 2단계 실증 조사방법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1단계 설문조사에서는 중소기업 취업과 관련된 부각된 신념, 규범적 준거인 및 통제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2단계의 본 설문을 설계하여 조사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기법으로는 2세대 다변량 분석기법에 속하는 구조방정식 모형 중 특히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이는 본 연구가 탐색적 성격을 지니므로 공분산 기반 구조방정식보다 PLS 구조방정식이 보다 적합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연구 결과, Ajzen의 TPB 이론이 대학생들의 중소기업 취업의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인 모형임을 입증하였다. 우선, 성별 요인은 중소기업 취업의도와 영향요인 간에 유의적인 조절변수로 작용함을 보였다. 중소기업 취업과 관련하여 여학생들은 사회적 압력을 나타내는 주관적 규범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반면, 남학생들은 중소기업 취업의 결과에 대한 태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은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들이 보다 유능한 대졸 취업자 채용을 위한 홍보와 채용결정에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추후 다양한 전공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매개변수와 조절변수를 포함하는 후속 연구들이 요구될 것이다.

Models and Modeling Behavior: A Look at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Biology Majors

  • Partosa, Jocelyn D.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81-1294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the types of models that biology majors use and how they go about making their models in learning key concepts in biology such as the cell membrane, cytoskeleton and cell structure. Initially, a total of 44 biology students from all year levels enrolled in the second semester of calendar year 2008-2009 were asked to make their respective models of the cell membrane, cytoskeleton and cell structure. They were also asked to answer an open-ended questionnaire. Of the 44, only 20 (five from each year level) were randomly selected for a one-on-one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generated models from all year levels were mostly analogies, some textbook definitions and occasional drawings. In making their model, students first read the text; second, outline similarities in structure and function or both; and third, make the model. Data suggest that models are good diagnostic tools for identifying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In this case, students mostly demonstrate the ability to recognize similarities in structure and function between the concept and their model. Some senior students demonstrated integration and reflective thinking in making their models. Thus, more opportunities for student-generated models must be available if students were to develop integration and reflective thinking in their models.

A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in a Tall and Narrow Atrium

  • Sugawa, Osami;Takahashi, Wataru;Ohtake, Masanori;Satoh, Hiroomi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353-360
    • /
    • 1997
  • The modeling on fire safety assessment for a tall and narrow atrium is carried out using a reduced and full scale atrium models based on the performances of flow behavior in and near comer fire and smoke ventilation system. The comer (or wall) effects on the flame behavior considering air entrainment into a flame was evaluat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Temperature, upward velocity, inlet air velocity, and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trium space and atmosphere were measured systematically in a reduced scale model. The performance of the modeling to estimate temperature rise and natural air ventilation volume was verifi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Smoke filling rate from a model fire source set at the center of a tall and narrow atrium is fastest in the other cases in which fire source set in or near a corner. This suggested that the centering of the fire source is acceptable as the fire source position to assess the fire safety design for a tall and narrow atrium.

  • PDF

학생 개인요인, 학교 구조적 요인, 교사요인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Organizational Factors, and Teacher Factors on Students' School Violence: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 이지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4호
    • /
    • pp.77-100
    • /
    • 2014
  • 본 연구는 학교폭력가해에 대한 학생 개인요인, 학교의 구조적 요인, 교사요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고, 이를 HLM 7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50개 중학교의 총 1,777부 학생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학생수준 변수에서 폭력에 대한 태도, 아동학대, 비행친구접촉, 학교수준에서는 교사의 폭력적 훈육이 학교폭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해소를 위한 실천 및 정책방안이 논의되었다.

  • PDF

인공지능 활용 교육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한 수학교육 연구 방향의 함의 (An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Trends of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Using Topic Modeling)

  • 노지화;고호경;김병수;허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19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교육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토픽모델링과 시계열 기반 트렌드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컴퓨터 활용 교육 연구에 초점을 두는 '교육에서의 인공지능 국제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에서 발행하는 SCOPUS 저널에 2003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총 352편의 논문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을 조합하여 8개의 토픽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연구에서 중요시 여기는 관점을 파악해 나감과 동시에 교과별로 인공지능을 교육에서 활용하는 내용과 목적에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학습 시스템에서 학생 행동 모델을 분석하고 학생 응답 및 반응에 대한 피드백을 개발하는 연구는 점차 증가한 반면,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는 최근 들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육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에 필요한 주제 및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Healthy Food Awareness, Behavioral Intention, and Actual Behavior toward Healthy Foods: Generation Y Consumers at University Foodservice

  • Joung, Hyun-Woo David;Choi, Eun Kyong Cindy;Ahn, Joo;Kim, Hak-Seon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36-341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among healthy food awareness, behavioral intention toward healthy foods, and actual behavior of Generation Y consumer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Generation Y consumers are aware of healthy foods and more likely to eat healthy foods while avoiding junk foods. According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ll hypothesized pa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that the three constructs in the model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Results showed that this group of college students is generally aware of healthy foods and have positive intentions toward healthy food choices. Therefore, university foodservice management needs to continue to improve their menus in order to attract this new generation of college student consu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