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ersity Student's Beliefs, Attitudes and Intention with Regard to Applying for Jobs in SME

중소기업 취업에 관한 대학생들의 신념, 태도 및 취업의도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7.05.16
  • Accepted : 2017.07.14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While the unemployment rate is rising rapidly due to recent economic recession at home and abroad, university students' reluctance to apply for jobs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causes instability in manpower supply and demand and social unrest. To provide insights for solving the problem, this study explores how beliefs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 their intention to apply for jobs in SME's us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proposed by Icek Ajzen. This study followed the 2-stage survey methodology suggested by Ajzen. In the first stage of pilot study, a small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was used to illicit readily accessible behavioral outcomes, normative referents, and control factors. In the second stage of main study, the standard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administered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sed using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echnique. PLS-SEM was used instead of Covariance Based (CB)- SEM considering the exploratory nature of this study. In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TPB is very effective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the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apply for jobs in SEM's. Gender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moder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 between intention and its influence factors. Student's scholastic performa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ntion. More research efforts need to be exerted to better understand university student's job seeking behavior.

오늘날 국내외 경기 침체로 전반적인 실업률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대졸자들의 중소기업 취업 기피현상으로 인한 인력수급의 불균형과 사회적 불안요인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중소기업 취업에 관한 신념과 태도가 어떻게 중소기업 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바탕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Ajzen이 제시하는 2단계 실증 조사방법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1단계 설문조사에서는 중소기업 취업과 관련된 부각된 신념, 규범적 준거인 및 통제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2단계의 본 설문을 설계하여 조사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기법으로는 2세대 다변량 분석기법에 속하는 구조방정식 모형 중 특히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이는 본 연구가 탐색적 성격을 지니므로 공분산 기반 구조방정식보다 PLS 구조방정식이 보다 적합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연구 결과, Ajzen의 TPB 이론이 대학생들의 중소기업 취업의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인 모형임을 입증하였다. 우선, 성별 요인은 중소기업 취업의도와 영향요인 간에 유의적인 조절변수로 작용함을 보였다. 중소기업 취업과 관련하여 여학생들은 사회적 압력을 나타내는 주관적 규범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반면, 남학생들은 중소기업 취업의 결과에 대한 태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은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들이 보다 유능한 대졸 취업자 채용을 위한 홍보와 채용결정에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추후 다양한 전공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매개변수와 조절변수를 포함하는 후속 연구들이 요구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