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pirituality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2초

노인의 기능적 능력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unctional Capacity and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ity)

  • 박선애;허준수
    • 한국노년학
    • /
    • 제37권1호
    • /
    • pp.125-1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통합이론(Brief, Butcher, George, & Link, 1993)을 기반으로, 노인의 기능적 능력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영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인천 및 경기도에서 노인복지관, 경로당, 종교기관의 노인대학을 이용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들이다. 편의표본추출방법으로 2015년 4월부터 5월까지 면접조사에 의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총 413부의 설문지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IADL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영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대한 실존적 영성의 영향력이 종교적 영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교적 영성과 실존적 영성 사이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는데 종교적 영성이 실존적 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복지실천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교적 영성과 실존적 영성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이 요구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노인복지실천현장에 영성관련 제도를 마련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함으로 영성적 실천의 토대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사회적기업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일터영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place Spirituality in the Social Enterprises)

  • 정현우;서정기;류태모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35-5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인 목적과 사회적인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에서 최근 들어 기업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는 윤리적 행동에 관한 리더십인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의 자발적이고 직무외적인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영향력에 구성원들의 정신과 관련된 개념인 일터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진흥원에 등록된 사회적 기업의 367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윤리적 리더십 하위차원인 투명성, 공헌성, 정직성이 모두 조직시민행동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일터영성에는 윤리적 리더십의 하위차원인 투명성, 공헌성, 정직성 모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셋째, 일터영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윤리적 리더십의 하위차원인 투명성, 공헌성, 정직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일터영성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일터영성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조직에서 구성원들에게 조직에 바람직한 행동으로 자발적이고 직무외적인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윤리적 리더십과 일터영성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치위생(학)과 재학생의 영성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pirituality on Clinical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오나래;김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63-471
    • /
    • 2019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영성을 알아보고 영성이 임상실습 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영성, 임상실습스트레스, 일반적 특성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조사는 K지역에 위치한 치위생과 재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부터 7월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성과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차이는 t-test,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영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치위생과 재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영성, 전공만족도, 학과성적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과에 지원한 동기가 성적일 경우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치위생과 재학생의 영성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비하여 구체적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치위생과재학생에 대한 영성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이에 대처할 전략적 모색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일터영성이 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Team Productivity :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Creativity)

  • 전기석;데이비드 패스모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13-524
    • /
    • 2019
  • 본 논문의 목적은 일터영성이 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 속에서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최근 한국에서는 조직의 실무자들과 연구자 그룹에서 일터영성에 대한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한국 조직의 맥락에서 일터영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터영성과 팀 생산성, 그리고 창의성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창의성은 내적 동기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일터 영성은 내적 동기요소로서 임직원의 창의성을 촉진하는 것 뿐 아니라 이를 통해서 조직의 성과에도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 임직원 514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일터영성 세 가지 요소인 내적 삶과 의미 있는 일, 그리고 조직소속감은 창의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창의성은 일터영성과 팀 생산성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이에 따라 이론과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완화의료 전문인들의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ity)이 말기환자 돌봄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alliative Care Practitioners' Workplace Spirituality on Caring for Terminally Ill People)

  • 홍영준;임성희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7호
    • /
    • pp.69-9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일터영성(공동체 의식, 일의 의미)과 돌봄수행(정서적, 사회적, 영적) 그리고소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일터영성이 돌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전국 68개 완화의료 전문기관의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14부를 SPSS Statistics 21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터영성의 하위요인중에서 공동체의식은 심리적 돌봄에 영향을 미치고, 일의의미는 사회적 돌봄과 영적 돌봄에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진은 돌봄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않지만 소진의 독립적 영향력을 측정한 사후분석에서 사회적 돌봄과 영적 돌봄에 미미한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소진은 일터영성이 돌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카리스마 리더십과 영성의 인과관계 연구 (A Empirical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harisma Leadership and Spirituality)

  • 윤천성;홍두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34-44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 안팎에서 사용되고 있는 카리스마와 영성의 인과관계를 통하여 교회 공동체의 영향력과 리더십의 미래를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목회자의 카리스마리더십은 일반성도들의 영성 즉 하나님과의 관계의 하위요소인 양육, 기도, 전도, 제자도, 지도자에 영향을 미치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회자의 카리스마리더십은 일반성도들의 영성 즉 사람들과의 관계의 하위요소인 양육, 기도, 전도, 제자도, 지도자에 영향을 미치며 중요한 요인이다.

유아교사의 일터영성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 임정수;심은주;이경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717-735
    • /
    • 201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WSSECT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tatistical tests. The initial version with 40 items based on two dimensions of spirituality in individual and professional level was constructed. Then, it was revised twice for improving reliability and validity. Finally the WSSECT was constructed of 4 factors - i.e. 'calling for ECE teacher job', 'meaning for life', 'membership in educational community' and 'awareness of inner life' - including the 23 items. The scale will be expected to identify workplace spirit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용서치료가 알코올 의존자 부인의 극복력, 자존감 및 영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Forgiveness Therapy on Resilience, Self-esteem, and Spirituality of Wives of Alcoholics)

  • 김희경;이미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7-247
    • /
    • 2014
  • Purpos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orgiveness therapy on the resilience, self-esteem, and spirituality of wives of men suffering from alcohol abuse was examined.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Forgiveness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12 weeks. Data were obtained from March 2012 to December 2013. Participants were chosen from women in two Alcohol Counseling Centers. Of the 29 participants, 16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3 to the control group.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2$-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s for resilience, self-esteem, and spiritua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giveness therapy improved the resilience, self-esteem, and spiritua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In follow-up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 only in self-esteem. Conclusion: This study results show that forgiveness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resilience, self-esteem, and spirituality in wives of men suffering from alcohol abuse. Therefore, forgiveness therapy can be considered a useful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improvements in emotional stability and provide pain relief for these wives.

예비유아교사의 일터영성신념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the Workplace Spirituality Belief Scale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

  • 이경화;조준오;심은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290-1302
    • /
    • 2015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for measuring prospective teacher's belief on workplace spirituality. The researchers revised the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Lim, 2014)' into the draft of 'Workplace Spirituality Belief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 (WSBS_PECT)' and then validated the draft of WSBS_PECT statistical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64 prospective teachers participating 5 early childhood teacher programs. EFA, CFA, Correlations and some statistical methods were carried out for testi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As a result, the WSBS_PECT with 21 items of 4 factors - i.e. 'awareness of meaning of life', 'belief on calling for ECE teacher job', 'belief on relationships in community', and 'belief on membership in community'- was developed and identified as a available measurement for prospective childhood teachers.

뇌졸중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영성과 삶의 질 모델: 경로분석 (Spirituality and Quality of Life Model of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Patients with Stroke: Path Analysis)

  • 이지영;용진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9-627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to test a structural model of spirituality and the quality of life of stroke survivors' caregivers in order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33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Data collection using survey questionnaires was done from May, 2013 to February, 2014. Results: Fitness of the hypothetical model was appropriate. Physical component of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is directly affected by two variables (51.5%), burden and depression. Mental component of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is directly affected by three variables (77.6%), depression, burden, and functional dependence of patients. Depression as well as burden were directly affected by spirituality and functional dependence of patients respectively. Thus, spirituality directly affected depression and burden and indirec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Conclusion: Therefore, spiritual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troke caregivers' quality of life might be necessary to support and strengthen their spirituality as a mediating variable that can contribute to decreasing their depression and bu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