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school teacher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3초

학교수학에서 제시하는 분모의 유리화 분석 및 대수적 고찰 (The analysis and algebraic consideration on the rationalizing denominators in school mathematics)

  • 최지훈;김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23-34
    • /
    • 2023
  • 교과서에서 제시된 분모의 유리화는 수학과 교육과정의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분모의 유리화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학교수학에서 분모의 유리화가 왜 필요하고 왜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명확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학생들이 분모의 유리화 방법에 대해서는 이해하고 있으나 그 필요성과 중요성에 관해서는 모른다고 주장하는 연구도 존재한다. 이를 확인해보기 위해, 학교수학으로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분모의 유리화에 대해 살펴보고, 학문수학으로서 대수학적으로 분모의 유리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 임의로 선정된 중학교 3학년 3종 수학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시된 분모의 유리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적합한 대수적 구조 분석을 통하여 분모의 유리화에 대한 대수학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학교수학과 학문수학에 적합한 분모의 유리화의 정의를 제시하고, 이를 지도하기 위해 교사가 알아야하는 수학적 내용-특별한 형태의 무리수를 대수적인 관점에서 표준적인 형태의 수로 해석-을 제시하였다.

초등 영재학생의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교우관계 분석 (A Study of Gifted Students' Peer Relationship in an Elementary School's General and Gifted Classes)

  • 권혁천;하민수;정덕호;이준기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757-777
    • /
    • 2012
  • 교우 관계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발달에 영향을 주는 학습의 중요 변인 중 하나이다. 또한 일반 학생들과 차별적인 프로그램에 속해 있는 영재학생들은 일반학급 학생들에 비하여 다른 교우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과학영재학생들의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 나타나는 교우관계의 구조적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남부권 소재 시교육청 영재교육원에 수학중인 5명의 초등 과학영재들이 참여하였다. 사회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하여 참여 학생들의 교우관계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해당 영재 학생의 담임교사 면담을 통하여 학생들의 교우 관계에서 나타나는 심층적이고 맥락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의 교우관계에 대하여 '똑똑한 외톨이', '나의 공부친구', '우리 반에서는 내가 최고', '어디서나 좋은 친구'의 네 가지 경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영재들이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교우관계를 맞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영재 학생들의 교우 관계를 바탕으로 그들의 프로그램이 특별히 계획되어야 하는 것을 보여준다.

학교 작업치료사의 근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Work Experience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 배원진;정남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6-55
    • /
    • 202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작업치료사의 근무 경험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참여자는 학교 작업치료사 7명으로 모두 여성이고, 평균 근무경력은 5년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학교 작업치료사로서의 근무 경험에 관하여 일대일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부가적인 인터뷰 내용 확인은 이메일을 활용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녹음하였고, 연구자가 녹음을 여러 번 듣고 전사하여 Colaizzi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2개의 주제와 10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제로는 어려움과 희망이 도출되었다. 어려움에는 행정업무에 대한 부담, 물리적 환경 제약, 교사 또는 교직원의 인식 부족, 불안정한 고용, 학교에 근무하는 '의료기사' 작업치료사가 있었고, 희망에는 아동에 대한 사명감, 같은 목표를 가진 팀원, 학교 작업치료를 원하는 아동들, 교사의 만족, 작업치료발전에 대한 책임감이라는 하위 주제가 있었다. 결론 :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질적으로 향상된 학교 작업치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교 작업치료에 대한 제도적 개선과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한국과 중국의 초등영재교육의 분석 및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Primary Gifted Education Systems in Korea and China)

  • 권치순;오인자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primary gifted education systems in Korea and Chin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objectives of the gifted children education of two countries are same. They intend to dig out hidden talent and giftedness of gifted children. They emphasize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the gifted children through the various special teaching methods. (2) Korea has been doing the gifted education limitedly focused on the 4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fter regular school curriculum, but China has performed gifted education from primary school to university quite systematically. (3) Korea tend to select the students based on the objective sources such as teachers' observation, recommendation, school scores, but this has limit to find out the real potential genius. China has the similar problems, but they consider of the comprehensive talented and abilities in students at school unit level. (4) Both countries have the teacher training systems for study to make more efficient programs and methods in gited education. It has bee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gifted education to expand the range and target. Most of all it is very essential to train the teachers to manipulate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The government should be persue the multiplicity and professionality now. So there are so many things to learn from China since they managed the gifted education in a regular curriculum of the school.

환경교육의 장(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s about the Fiel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김인호;김귀곤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1호
    • /
    • pp.195-216
    • /
    • 1998
  • This study was planned to define the concept and the patterns of the fiel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theory review about the fiel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were important at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field-experience learning, and to survey the using status of the fiel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practically students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use of the fiel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is necessary aspect of the importance of field-experience learning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trategy through personalization of environment and is essential to the substantiality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concept of the fiel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s defined that it is used as place(spa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s located most outdoor space, promote students the concern and consciousness about environment. The patterns of the fiel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may be classified the field for nature observation learning surrounding, the fields for nature observation and field survey, the fields for visit and field trip, and the fields for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by the contents and the purpose of educational program.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eacher's awareness survey, most responded teachers gave an affirmative answer about the necessity of practical use of the fiel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t was used mainly in special lecture, weekend, and legal holiday. Also, it was surveyed that time for using the fields was brought as the most serious obstacle by teachers. In particular, teachers preferr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ields for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above all others. Third, from the results about the using status of the fiel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mostly have been taught in indoor classroom, school landscape(school grounds) was evaluated the most easily useful the fiel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formal lecture, because it can solve the lack of time. Also, it was proved that eco-park, stream, and river were fit for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with small students group.

  • PDF

초등특수교사의 읽기·쓰기 지도실태 및 요구도 분석 (An Analysis on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Practices and Need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김은정;박순길;류성용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69-179
    • /
    • 2016
  • 이 연구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및 쓰기 지도 실태와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광주, 대구, 부산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7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은 학생의 읽기 및 쓰기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표준화된 검사도구보다 직접 제작한 검사도구를 주로 사용하였다. 학생 지도 시 문제해결 방법과 신뢰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자신의 지도 경험과 동료 및 선배의 조언을 이용하였고 학교에서 배운 지식의 활용의 사용빈도는 낮았다. 학생의 읽기 및 쓰기 지도 시 주로 통문자를 통한 지도가 이루어졌으나 교사의 지도경험과 교재의 다양성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지도를 위한 교육 참여의 요구도에서는 쓰기의 교수방법, 장애특성에 따른 교재 및 교구, 읽기 및 쓰기발달, 읽기 및 쓰기장애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았다. 학생 지도 시 어려움과 요구도에서는 다양한 교재, 교구의 개발, 충분한 교재 및 검사도구 구비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지도 시 어려움으로는 읽기, 쓰기에 대한 지식의 부족, 선별/평가도구 부족, 장애 특성에 따른 평가와 지도 등에서 어려움이 나타났다.

일반학급에서의 초등 수학 영재아 지도 방안 연구 (A Study of a Teaching Plan for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es)

  • 김명자;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3-19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정규교육과정 내에서 초등학교 일반학급 수학 영재아를 위한 효율적인 영재교육 방안을 탐색해 보고, 영재의 특성을 고려한 심화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로 일반학급의 교수 학습 환경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일반학급 수학 영재아 지도를 위한 복식수업 형태의 영재교육 방안을 제시하였고, 수학영재 심화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1학년 한 학급 6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일반학급에서 복식수업 형태로 수학 영재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수학 영재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었다. 둘째, 수학영재 심화학습 프로그램은 수학 영재아의 수학적 사고력과 창의성 계발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셋째, 수학 영재아 선발 과정에서 교사의 추천과 영재성 검사는 둘 다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영재교육이 방과후 교육 형태의 특별교육으로만 운영될 것이 아니라 정규교육과정 내에서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운영함으로써 수학 영재아의 요구에 부합되면서도 영재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 PDF

초등학교 정서장애 학생의 행동 개선을 위한 휴머노이드 활용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Humanoid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in the Elementary School)

  • 신용수;김동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5-56
    • /
    • 2014
  •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최근 대두되고 있는 문제 가운데 과잉행동장애나 주의력 결핍 등 학생들의 심리 정서적 장애에서 비롯된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이 아닌 초등학교 일반학급에 속해 있는 아동들 가운데 심리 정서적인 장애나 그에 준하는 문제 해동을 보이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아동들이 갖고 있는 장애와 문제 상황을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돌아보게 함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 대상들의 변화된 모습으로는 주의력결핍성, 과잉 충동성 및 폭력적 성향, 반항적 행동의 감소와 교사의 지시에 불복하거나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등의 품행 장애적 행동에 대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검증되었다.

강원도 초등학교 구강보건교육 실태 (Oral Health Education Status of Elementary School in Gangwon-Do)

  • 류다영;마득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3-41
    • /
    • 200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p lanning oral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l. Methods conducted using a postal,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questionnaire containing 19 questions about oral health education which was provided by health teachers in elementary schol was used for data colle ction. Total response rate was 64.3% (119 out of 185). Results : Oral health education except one through textbooks was conduc of which taught oral health themselves. The contents of oral he alth education through special clas was mainly focusing on the tothbrushing method, dental caries, and the use of fluo ride. Acording to the grades clasified by the level of education, the order was the 3rd, 1st, and 2nd grade, which mea ns that the lower grades got more training than the h was acquired through the internet (72.2%), health-related organizations or academies (51.5%). Also, materi als for oral health education were obtained from health-related organizations or academies (67%), self-productio n (49.5%). According to the data during the past 5 years it was found that 13.4% health teachers had oral health-related that more traing neded to be conducted from 89.7% health tea chers. The most dificult problem in oral health education were insufficient time (56.7%). Conclusion : For 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there needs a developmen t of targeted goal to achieve a systemic oral health education for each grades as wel as a ned for as health teachers to eficiently acquire knowledge and materials for oral health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hold regular workshops for health teachers, and develop and distribute appro priate educational materials.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Multimedia Rich Project Based Learning)

  • 이영민;류진선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3-232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전략을 개발하고, 수업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에 대한 학습자들이 인식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J기계공업고등학교 환경에서 시행된 현장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3학년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관찰, 설문조사,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되었고, 백분율로 처리 되었다. 결론적으로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 효과로서 전공교과내용의 종합적 이해, 컴퓨터 멀티미디어 처리능력과 자료 탐색 및 조직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학습자들은 인식하였다. 또한, 학습 동기, 학습자들 간의 협동 활동, 학습 참여 정도, 학습의 만족감, 학습에 대한 자신감,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과 학습 흥미 등이 높아진 것으로 학습자들은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