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Practices and Need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초등특수교사의 읽기·쓰기 지도실태 및 요구도 분석

  • Received : 2015.12.03
  • Accepted : 2015.12.24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in reading and writing to universit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we surveyed 71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in Gwangju, Daegu and Busan. As a result, in order to identify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they were more likely to use their own tests which they made for themselves than standardized tests. When teaching students, they used their own teaching experiences and advices from colleagues and senior teachers regarding problem-solving methods and reliable information while the knowledge they learned at school showed low frequency in use. Despite using mainly whole-word approach when instructing reading and writing, it appeared that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nd diversity of textbooks also have an influence. Regarding needs of education participation for teaching students, there were high needs and interests in teaching methods of writing,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by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reading and writing development, reading and writing disabilities. In case of difficulties and needs in teaching students, there was a high demand of development of a wide variety of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and, preparation for sufficient textbooks and test tools, while difficulties in teaching appeared in lack of knowledge about reading and writing, lack of screening/evaluating tools, and evaluating and teaching oriented to each disability characteristic.

이 연구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및 쓰기 지도 실태와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광주, 대구, 부산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7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은 학생의 읽기 및 쓰기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표준화된 검사도구보다 직접 제작한 검사도구를 주로 사용하였다. 학생 지도 시 문제해결 방법과 신뢰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자신의 지도 경험과 동료 및 선배의 조언을 이용하였고 학교에서 배운 지식의 활용의 사용빈도는 낮았다. 학생의 읽기 및 쓰기 지도 시 주로 통문자를 통한 지도가 이루어졌으나 교사의 지도경험과 교재의 다양성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지도를 위한 교육 참여의 요구도에서는 쓰기의 교수방법, 장애특성에 따른 교재 및 교구, 읽기 및 쓰기발달, 읽기 및 쓰기장애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았다. 학생 지도 시 어려움과 요구도에서는 다양한 교재, 교구의 개발, 충분한 교재 및 검사도구 구비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지도 시 어려움으로는 읽기, 쓰기에 대한 지식의 부족, 선별/평가도구 부족, 장애 특성에 따른 평가와 지도 등에서 어려움이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