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curd residu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42초

비지 단백질로 제조한 가식성필름의 기계적 및 물질투과특성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of Soybean Curd Residue Protein Films)

  • 조승용;박장우;이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16
    • /
    • 1999
  • 두부생산시 부산물로 다량 생산되는 두부비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이로부터 가식성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가소제로서 glycerol과 sorbitol을 사용하였을때 필름형성용액의 pH와 가소제의 농도가 가식성필름의 기계적특성(인장강도와 신장률), 수분투과도, 산소투과도 및 유지투과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건조하지 않은 두부비지에 10배의 물을 가하여 pH 11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면서 단백질을 추출한 후, 등전점(pH 4.3) 처리하고 동결건조하여 농축단백질 시료를 만들고, 이로부터 solution casting 법으로 가식성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용액의 pH를 10으로 조절하여 제조한 가식성필름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된 가식성필름의 인장강도는 가소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15.0 MPa에서 2.9 MPa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sorbitol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보였으며. 수분투과도는 첨가된 가소제의 양과 종류에 따라 $0.48{\sim}0.83nm{\cdot}m/m^2{\cdot}s{\cdot}Pa$의 범위를 보였으며 많은 양의 가소제가 사용될수록 수분투과도가 높았다. 또한 가소제로서 sorbitol을 사용하였을 때가 glycerol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수분투과에 대한 차단효과가 전 가소제 농도 범위 ($0.4{\sim}0.8g$ plasticizer/g protein)에 걸쳐 우수하였다. 또한 이들 필름들은 낮은 산소투과도($29.5{\sim}61.1aL{\cdot}m/m^2{\cdot}s{\cdot}Pa$)와 유지투과도를 보여 산소와 유지의 투과에 대한 차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비지에서 분리된 젖산균의 동정 및 발효특성 (Characteriz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oybean Curd Residue (Biji))

  • 백요셉;이인선;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83-588
    • /
    • 2002
  • 비지로부터 두 균주를 순수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Ent. faecium LL과 L. rhmnosus LS로 확인되었다. 분리된 균을 대두 미세분말용액에서 발효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pH, 산도, 생균수 및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Ent. faecium LL은 대두미세분말 용액에서 발효시 pH 4.9, 산도 0.38%, 생균수 1.8$\times$$10^{9}$ CFU/$m\ell$로 젖산생성 및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L. rhamnosus LS는 대두미세분말 용액에서는 4.6$\times$$10^{8}$ CFU/mL의 생균수를 나타냈지만 젖산의 생성은 매우 미흡하였다. 그러나 대두미세분말 용액에 당을 첨가하거나 skim milk를 첨가할때 산생성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대두미세분말과 skim milk 4 : 1 혼합액에서 Ent. faecium LL과 L. rhamnosus LS에 의한 젖산발효는 37$^{\circ}C$에서 20시간 안에 curd를 형성하였으며, 각각 0.33% 및 0.77%의 산도와 $10^{8}$ ~$10^{9}$ CFU/$m\ell$정도의 생균수를 보였다. HPLC 분석에서 생성된 젖산의 농도는 L. rhamnosus LS가 600 mg%로 Ent. faecium LL의 350 mg%보다 높았다.

Bacillus firmus NA-1 균주를 이용한 비지로부터 혈전분해능효소 및 펩타이드 생산 (Production of Fibrinolytic Enzyme and Peptides from Alkaline Fermentation of Soybean Curd Residue by Bacillus firmus NA-1)

  • 오수명;서지현;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04-909
    • /
    • 2005
  • 일본 청국장에서 분리된 Bacillus firmus NA-1를 이용하여 비지의 수분함량, 생대두미세분말첨가 및 발효시간에 따른 비지 발효물의 혈전용해효소, 점질물, 펩타이드생산 및 풍미 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비살균 D-비지는 30시간 이상부터 청국장 발효가 진행되는 반면, 살균 D-비지는 18시간부터 고초균 발효에 의하여 pH가 증가하였으며 혈전분해효소, 펩타이드 함량이 비살균 D-비지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P-비지의 경우는 18시간 발효시에 가장 높은 pH, tyrisone 함량과 혈전용해효소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P-비지를 건조하여 초기수분함량을 $60\%$로 낮추었을 때 발효비지물의 펩타이드 함량과 혈전용해분해효소활성이 증가하였다. p-비지에 전지활성 생대두미세분말을 $10\%$수준으로 첨가함으로써 혈전분해효소 및 펩타이드 함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점질물의 생성에 따른 점조도 값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특히, 콩미세분말을 $20\%$ 수준으로 첨가하여 발효시킨 비지는 고유한 청국장의 풍미를 나타내었으며, 건조시킨 발효비지물의 조단백질함량은 $27.3\%$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비지의 고초균 발효시에 전지활성 생대두미세분말의 첨가는 비지의 초기수분함량을 낮추면서, 고초균 발효의 촉진을 통한 콩 펩타이드 및 혈전용해효소의 증가, 점질물 생산, 풍미 개선을 비롯하여 발효비지의 단백질 보강이 가능하였다.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비지메주의 항비만 및 지질개선 효과 (Effect of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FSCR; SCR-meju) by aspergillus oryzae on the anti-obesity and lipids improvement)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이지언;최종근;박종필;임종환;서주원;이인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6호
    • /
    • pp.493-502
    • /
    • 2013
  • In this study, we designed to confirm the dietary effect of anti-obesity of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FSCR; SCR-Meju; Biji-meju) by A. oryzae, which is well known as a Korean traditional meju microbe. We observed that body weight gain, serum and hepatic lipid profile, as well as the activity of ROS generating enzyme and ROS scavenging enzyme in high-fat diet induced obese mice fed experimental diet (SCR and SCR-meju). Body weight gain and epididymal fat weight of HC (high-fat diet control) was markedly higher than that of NC (Normal control). Conversely, body weight gain and epididymal fat weight of the SCR (Biji) and SCR-meju (Biji-meju)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C; these of the SCR-meju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SCR group. Furthermore, serum TG and tota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tents of SCR and SCR-meju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HC, and HDL-cholesterol level of the SCR-meju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C. In conclusion, although precise mechanisms of the antiobese effects of SCR-meju in this study are unknown,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experimental evidence that SCR-meju may prevent obesity and obesity related metabolic syndromes, such as hyperlipidemia, hypertension and diabetes, and liver disease by high-fat diet. Nevertheless, further study in this filed will be needed.

Bacillus firmus NA-1 균주와 Bacillus subtilis G7-D 균주를 이용한 발효비지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Residue Fermented by Bacillus sp.)

  • 오수명;김찬식;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5-120
    • /
    • 2006
  • 일본 청국장에서 분리된 Bacillus firmus NA-1과 재래청국장에서 분리 한 Bacillus subtilis GT-D를 이용하여 전지활성 생 대두미세분말(MFS)첨가 및 발효시간에 따른 비지 발효물의 혈전용해효소, 가수분해효소, 점질물, 펩타이드 생산 및 풍미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84\%$의 수분함량을 포함하는 비지에 대두미세분말을 10, 15, $20\%$ 첨가함으로써 78, 74, $70\%$로 수분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tyrosine함량이 증가하였으며, B. firmus NA-1 균주보다는 B. subtilis GT-D 균주를 사용하는 경우에 높은 값을 보였다. 발효비지의 점조도는 B. firmus NA-1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이 높은 값을 보였으며, 두 균주 모두 MFS $20\%$를 첨가한 후 26시간 발효한 발효물에서 2.18, $0.35\;Pa{\cdot}s^n$로 가장 높은 점조도 값을 나타내었다. 혈전용해효소 역시 B. firmus NA-1 균주를 이용한 비지 청국장에서 $1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발효 22시간까지 증가하다가 26시간 부터는 큰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20\%$의 MFS를 첨가한 후 $42^{\circ}C$에서 22시간 동안 발효하는 것이 발효취 생성을 최소화하는 조건이라 사료되었다. 비지청국장의 동결건조는 청국장 냄새 및 수분함량을 $6\%$ 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으며, 혈전용해효소의 활성을 포함하였다. B. firmus NA-1 균주를 이용한 시료에서는 615 unit/g의 가장 높은 protease의 활성을 보였으며, B. subtilis GT-D 균주를 이용한 시료에서는 $1903\;mg\%$의 tyrosine 함량 및 180 unit/g의 a-amylase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Bioconversion of Soybean Curd Residues into Functional Ingredients with Probiotics

  • Oh, Soo-Myung;Kim, Chan-Shick;Lee, Sam-P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38-143
    • /
    • 2004
  • Soybean curd residues (SCR) obtained from hot and cold manufacturing processes were fermented by indigenous microorganisms, Lactobacillus rhamnosus LS and Bacillus firmus NA-l for 15 h at 37$^{\circ}C$. The pH, acidity, viable cell counts, and tyrosine content were evaluated in samples with variations in sugar, starter and type of SCR. The raw Doowon SCR (D-SCR, cold-processed) fermented by indigenous microorganism had a 0.9% acidity and 6.7 ${\times}$ 10$^{7}$ CFU/g viable cell counts, compared with the 0.11 % acidity and 6.7 ${\times}$ 10$^{6}$ CFU/g viable cell counts of raw fermented Pulmuwon SCR (P-SCR, hot-processed). After fermentation of raw P-SCR with 1 % glucose and 1 % L. rhamnosus LS starter, the viable cell counts, tyrosine content and acidity were 4.7 ${\times}$ 10$^{8}$ CFU/g, 16.3 mg% and 0.9%,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aw P-SCR fermented with Bacillus firmus NA-l as co-starter had a 0.45% acidity, 2.4 ${\times}$ 10$^{8}$ CFU/g lactic acid bacteria, and 3.3 ${\times}$ 10$^{6}$ CFU/g Bacillus sp. In particular, the tyrosine content was increased 5 fold. The drying of fermented SCR was completed by hot-air drying (5$0^{\circ}C$) within 12 h; the dried P-SCR and D-SCR had 1.8 ${\times}$ 10$^{7}$ CFU/g and 5.3 ${\times}$ 10$^{6}$ CFU/g viable cell counts, respectively. The concentrate of methanol extract from fermented D-SCR inhibited the initial cell growth of E.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in liquid culture.

잿빛공팜이에 대한 길항균 Bacillus Iicheniformis N1의 배양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licheniformis N1 against Botrytis cinerea)

  • 이재필;문병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3-180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production of antibiotic, and the selection of optimal media for mass culture of Bacillus licheniformis N1 isolate which was previously reported as an antagonistic bacterium to Botrytis cinerea. We investigated initial pH, temperatures and shaking speed for good cultural conditions and antibiotics production by N1 isolat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optimal conditions of initial pH, temperatures, and shaking speed were determined to be pH 5.0~5.5, 30~35$^{\circ}C$ and 250 rpm, respectively. Also,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antagonism by N1 isolate highly appeared in the initial pH as 5.0, and the mycelial growth inhibition was high when the substances used such as glucose or corn starch as carbon sources, and biji(soybean curd residue) flour as a nitrogen source. Furthermore, inhibitory area was significantly expanded, when 3% or 5% of corn starch was added into 5% of Biji flour as nitrogen source, were respectivley selected for mass culture of N1 isolate. Among them, 5% Biji flour medium showed higher cell density more than 10 times that in NB medium after 48 hour incubation. Therefore, the optimal medium was determined as 5% biji flour added 3~5% of corn starch for high density of cells.

  • PDF

팽이버섯의 배지조성에 따른 균사 배양 및 자실체 수량 비교 (Comparison of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ies yield according to substrate in Flammulina velutipes)

  • 정종천;이찬중;문지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7-121
    • /
    • 2014
  • 본 시험은 팽이버섯 병재배용 배지의 혼합수준에 따른 전탄소(T-C), 전질소(T-N) 함량과 균배양기간, 버섯발생기간, 자실체 수량 등 재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지재료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팽이버섯의 경우 [콘코브75+미강20+건비지5] 배지에서 자실체 수량이 190.5 g/850 ml로 가장 높았으나(20.4% 증가), 균 배양기간이 28일로 대조구보다 8일 지연되었다(대조구 [미송톱밥75+미강25]: 수량 158.2g, 배양기간 20일). [미송톱밥75+미강20+건비지5] 배지는 팽이버섯의 자실체 수량이 172.7 g(9.1% 증가), 균 배양기간이 21일로 대조구보다 1일 지연되었다.

버섯재배용 배지재료의 성분분석 (Composition analysis of raw material constituting the medium for mushroom cultivation)

  • 김선영;정민화;김민근;임착한;김경희;김태성;김동성;정종천;홍기성;류재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08-213
    • /
    • 2013
  • 버섯의 혼합배지에 사용되는 배지원료의 아미노산과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순단백질(아미노산) 함량은 대두박이 44.02%로 가장 높았고, 건비지가 31.5, 면실박이 30.6%로 나타났다. 주요 질소원 배지지료의 비단백태질소화합물(NPN)의 조단백질에 대한 비율은 대두박이 2.4%, 건비지는 5.6%였지만, 탄소원 배지재료인 미강과 밀기울은 17.6%로써 높았다. 조단백질/가격(원)은 채종박이 6.0으로 가격대비 조단백질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균사생장에 관여하는 가용성무질소물(NFE)는 알파콘이 72.9%, 소맥피B가 57.2%로 높았다. 산성세제불용섬유(ADF)는 콘콥이 51.88%로 높았는데, 잣버섯 등 갈색부후균이 이용하기 어려운 리그닌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대두부산물의 지방세포분화 유도유전자의 발현저해 및 전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 최미선;김지인;정진부;이수복;정재남;정형진;서을원;김택윤;권오준;임재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8-367
    • /
    • 2011
  • 대두는 여러 종류의 파이토케미컬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에 의한 항산화, 항염증, 항비만 효능 등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대두 부산물 성분의 비만억제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Oil-Red O 염색법과 정량 PCR을 통하여 지방세포분화억제 및 지방생성억제 효능을 분석하였다. 분화유도물질인 isobutylmethylanthine (IBMX), dexamathasone 및 insulin 처리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유도와 함께 대두부산물-침지수, 순물, 두유-의 처리는 세포손상 없이 지방세포분화 연관 유전자-PPAR${\gamma}$, Fabp4, Scd1, adipsin, apolipoprotein (APOE), adiponectin (ADIPOQ)-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였다. 또한 대두에서 잘 알려진 isoflavone -daidzein과 genistein- 분석을 통하여 대두 부산물에 포함된 두 종류의 isoflavone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대두부산물에는 지방세포분화유도 유전자의 발현억제를 통한 전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부생산 시 발생하는 대두부산물은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능을 바탕으로 이를 이용하는 건강기능 식품제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