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anum nigrum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8초

수확시기에 따른 까마중 열매의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 변화 (Changes of usefu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olanum nigrum Linne fruit according to different harvest time)

  • 최성규;윤경원;김용두;진성우;김경제;강경윤;고영우;임승빈;정상욱;서경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49-856
    • /
    • 2017
  • 본 연구는 까마중 열매의 수확시기에 따른 성분변화, 항산화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분석하여 최적 수확시기를 구명하였다. 까마중 열매의 유리당은 4가지가 검출되었으며, 유리당 중 fructose는 대체적으로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까마중 열매의 주요 유기산은 malic acid와 acetic acid로 나타났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10월 18일과 10월 25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0월 18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 10월 11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 및 10월 25일에 수확한 까마중열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확시기별 까마중 ethanol 추출물들의 항산화효과와 항염증효과 검정을 위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와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를 수행하였으며, 항염증 효과 측정을 위하여 lipopolysaccharide(LPS)로 염증을 유발시킨 RAW 264.7 cells을 NO 저해실험에 사용하였다.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는 10월 18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 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10월 18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는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였다. 까마중 열매의 수확시기에 따른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 실험 결과, 까마중 열매의 최적 수확시기는 성숙 중기인 10월 18일과 10월 11일로 밝혀졌다.

민간약 "가지"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Folk Medicine 'GaJi')

  • 김성룡;배지영;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9-93
    • /
    • 2010
  • Korean folk medicine 'GaJi' has been used to treat a boil, cough, mushroom poisoning and stomach cancer.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never been studied pharmacognostically.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GaJi',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ems of Solanum species growing in Korea, i.e. S. japonense Nakai, S. lyratum Thunb., S. melongena L., S. nigrum L.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GaJi was the stem of Solanum melongena L.

독도에 서식하는 가지과식물로부터 분리된 근권세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Rhizobacteria Isolated from Family Solanaceae Plants in Dokdo Island)

  • 함미선;박유미;성혜리;;류충민;박승환;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0-117
    • /
    • 2009
  • 독도에 자생하고 있는 야생 가지과 식물근권세균들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까마중을 채집하였다. 까마중 근권으로부터 총 44종의 포자형성세균 혹은 질소고정세균을 분리하였다. 이 균주들은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부분 동정하였다. PGPR로써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옥신 생산능, 인 가용능, 그리고 Siderophore 형성능을 측정하였다. 식물 생장호르몬인 옥신을 형성하는 균주는 19종, 난분해성 인을 분해할 수 있는 균주는 8종, 식물병원균을 억제하는 siderophore를 형성할 수 있는 균주는 13종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가지과식물인 담배와 고추에 직접 적용하여, 식물의 생장 촉진 효과 및 식물 전신유도저항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KUDC1009는 식물의 생장 촉진 효과 그리고 식물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등 다기능의 능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독도의 근권세균들은 다양한 스트레스 환경하에서 야생 까마중이 생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을 추측 할 수 있었다.

항생제 대체 감초와 용규 혼합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체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 and Solanum nigrum L. Mixture for Alternate the Antibiotics on Productivity and Blood Composition in Broiler Chickens)

  • 조성구;김혜인;이민경;이정주;곽용철;이석천;이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5-222
    • /
    • 2009
  • 항생제 대체제 개발을 위한 용규와 감초 건조분말 복합제를 육계사료에 첨가 급여 하여 생산성과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7일령 이후 육계 숫병아리(Ross)를 3단 케이지에 5처리 3반복, 반복당 10수씩, 총 150수를 공시하여 5주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사료는 무첨가구, 항생제(avilamycin) 첨가구, 항생제 대체 용규 감초 건조 분말 0.5%(0.25+0.25), 1.0%(0.5+0.5%) 및 2.0%(1.0+1.0) 첨가구로 구분하여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도체중은 4주령에서 용규 감초 1.0% 첨가구에서 높았으며(P<0.05), 6주령시에는 용규 감초 1.0% 첨가구에서 약간 높았다. 도체율은 4주령과 6주령에서 처리구간에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간장 중량은 4주령과 6주령에서 용규 감초 0.5% 첨가구에서 무거웠다(P<0.05). 비장중량은 4주령과 6주령에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4주령과 6주령시 혈중 protein, albumin, glucose, total bilirubin 농도와 GOT 및 GPT, TG,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농도에서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용규 감초 복합 첨가급여는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서 처리간의 차이가 없었음은 항생제 대체 물질로서의 사용가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무기염류, 생장조절물질 및 타이아민이 장기간 계대배양한 Solanum과 Lycopnicon종의 캘러스 생장과 식물체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organic sale, Growth Regulators, and Thiamine on the Callus Growth and Plant Regeneration from long-term Cultured Solanum and Lycopenicon Genotypes)

  • Chang Yeon YU;Byong Ho CHANG;Dong Ha CHO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9-76
    • /
    • 1994
  • 일반적으로 캘러스상태로 오랫동안 계대배양시 식물체분화능력 이 상실되거나 감소한다. 캘러스배양이나 현탁배양을 이용하여 제초제 및 각종 저항성 식물체를 선발하고저 할 때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장기간 계대배양된 세포나 캘러스로 부터 식물체를 분화시키는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은 2년 이상 캘러스상태로 기내에서 장기간 계대배양한 수종의 Solanum과 Lycopenicon종으로 부터 캘러스 생장 및 식물체분화에 미치는 무기염류, 생장 조절물질 및 타이아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캘러스 생장 및 식물체분화에는 MG배지가 다른 MS, Gamborg, White배지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낮은 농도의 IAA와 높은 농도의 BA가 조합처리 되었을때 높은 식물체분화율을 보였다. 타이아민이 첨가되었을때가 무처리보다 식물체분화와 생장을 증가시켰으며 타이아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물체분화와 생장을 증가시켰으며 그 농도는 10 mg/L에서 30mg/L까지가 적합한 것으로 보였다.

  • PDF

경남북지역(慶南北地域) 수로변(水路邊)의 잡초식생(雜草植生)에 관(關)한 연구(硏究) (Weed Vegetation Analysis by Two 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Along the Waterway of Kyungnam and Kyungpook Provinces)

  • 김길웅;권순태;백경환;김학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5-82
    • /
    • 1990
  • 1989년(年) 9월(月) 경남 북(慶南.北) 수로변(水路邊)에서 조사(調査)된 초종(草種)은 각각(各各) 33과(科) 88종(種) 및 33과(科) 96종(種)이었으며, 2차원적(次元的) 분류방법(分類方法)에 의(依)하여 경남지역(慶南地域)에 3개(個) 군락형(群落型)과 경북지역(慶北地域)의 5개(個) 군락형(群落型)이 조사(調査)되었다. 경남지역(慶南地域)의 군락(群落)은 피(Echinochloa crusgalli)군락(群落), 여뀌(Persicaria hydropiper)군락(群落) 및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군락(群落) 등(等)이었고, 경북지역(慶北地域)은 환삼덩굴-미국가막사리(Humulus japonicus-Biden frondosa)군락(群落), 까마중(Solanum nigrum)군락(群落), 고마리-환삼덩굴(Persicaria thunbergii-Humulus japonicus)군락(群落),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군락(群落) 및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군락(群落) 등(等)이었다. 경남 북지역(慶南 北地域) 공(共)히 고마리, 여뀌 군락(群落)이 조사(調査)되었고 수생잡초(水生雜草)인 고마리, 여뀌가 수로변(水路邊)이 대표적(代表的)인 초종(草種)으로 조사(調査)되었다.

  • PDF

암세포 특이적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자생식물 추출물의 항암 효과 (Anti-cancer Activity of Korean Local Plant Extracts Inducing Apoptosis in Various Carcinoma Cells)

  • 윤이관;이승은;이동진;노문철;성정숙;박충범;장영주
    • 생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12
    • /
    • 2009
  • Thirty five methanol extracts from 19 natural local plants, which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anti-cancer medicine, were prepared. They were analyzed the cytotoxic effects on primary fibroblast cells and carcinoma cells. The root extract of Solanum nigrum were highly toxic in both cell lines with $IC_{50}$ values of less than $0.01{\mu}g/{\mu}l$, and 26 of 35 extracts were toxic in all cells with $IC_{50}$ values of $0.1{\sim}2{\mu}g/{\mu}l$. Three extracts including the fruit extracts of Solanum nigrum and Morus alba had no cytotoxic activity in both cell lines. Five of 35 extracts were highly toxic in cancer cells than in primary cells. Because primary cells were more resistant on these extracts, the five extracts were selected for anti-cancer agent candidates. Apoptosis or programmed cell death has an essential role in chemotherapy-induced tumor cell killing. Recently, inducers of apoptosis have been used in cancer therapy. When two of 5 cancer cell-specific cytotoxic extracts (Ulmus parvifolia and Zelkova serrata) were treated in concentration of $0.02{\sim}0.1{\mu}g/{\mu}l$, apoptosis were increased at 3-5 times in cancer cell lines. Finally, the apoptotic effects of these extracts were confirmed by cleavages of both poly-(ADP-ribose)-polymerase and caspase-3 as apoptotic markers. In this report, we suggested that two of 35 medicinal herb extracts can be useful anti-cancer drug candidates inducing apoptosis in several carcinoma cell lines.

구강암에 대한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TI-ORAL CANCER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 이영훈;김여갑;김정희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1호
    • /
    • pp.53-58
    • /
    • 2000
  • Treatment of oral cancers with chemotherapeutic agents are evaluat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remission to reduce cancer proliferation nowadays. But, minimization of side-effects such as bone marrow suppression, gastrointestinal toxicity and renal damage is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Thus, a possible approach to develop a clinically applicable chemotherapeutic agents is to screen anticancer activity among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which have been used for thousands of years with very low side-effects in orient. In this study we focused on screening anti-oral cancer activities among 14 traditional medicinal plant extracts that revealed anticancer activities on other solid tum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Methanol extract of Lepidium apetalum showed the highest anti-oral cancer activity against A253 cells. At concentration of $4{\mu}g/ml$, the cell viability was 48% under our experimental condition. $IC_{50}$ value obtained was $4{\mu}g/ml$. 2. Methanol extract of Coptis japonica and Solanum nigrum were effective on KB cells. Cell viability observed were 62% and 67% at concentration of $4{\mu}g/ml$, and $IC_{50}$ values were $12{\mu}g/ml$ and $10{\mu}g/ml$ respectively. 3. When the methanol extract of Lonicera caerule was combined with $2{\mu}g/ml$ of cisplatin, the anticancer activity was synergistically increased. One hundred ${\mu}g/ml$ of Lonicera caerule showed 92%(alone) or 59%(combined with cisplatin) cell viabilities. $IC_{50}$ value of Lonicera caerule extract against KB cells was reduced from $301{\mu}g/ml$ to $126{\mu}g/ml$ when combined with $2{\mu}g/ml$ of cisplatin. 4. Medicinal plant extracts effective on both A253 and KB cells were Coptis japonica, Lepidium apetalum, Solanum nigrum, Caesalpiniae Lignum, Curcuma aromatica.

  • PDF

몇 가지 식물 추출물의 밀 녹병 방제 특성 (Antifungal activities of Several Plant Extracts against Wheat Leaf Rust)

  • 최경자;김진철;장경수;이선우;김진석;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7-95
    • /
    • 2002
  • 야외에서 채집한 27종 식물의 메탄올 추출물의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녹병 및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실험하였다. 벼 도열병에 대하여는 환삼덩굴, 비비추, 맥문동, 황기 추출물이, 잿빛곰팡이병에 대해서는 닭의장풀 추출물이, 보리 흰가루병에 대하여는 황기 추출물이 그리고 밀 녹병에 대하여는 비비추, 맥문동, 까마중 그리고 황기 추출물이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들 중 밀 녹병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우수한 4종 시료를 선발하여 이들의 방제 특성을 조사하였나. 맥문동과 까마중 추출물은 밀 녹병에 대한 예방효과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며, 치료효과는 황기 추출물은 우수하였으나 까마중 추출물은 다소 미약한 치료활성이 있었다. 식물 추출물의 침투이행성은 엽육이행과 엽간이행으로 실험하였는데, 4종 추출물 모두 엽간이행은 거의 없었으나, 엽육이행은 우수하였다. 식물추출물의 약효지속성은 대부분 좋았으며 특히 비비추와 까마중 추출물은 약제처리 7일 후에도 95% 이상의 방제가를 보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4종 식물 추출물 특히 까마중 추출물은 포장에서 밀 녹병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이리라 생각된다.

Miscanthus sinensis와 타 식물과의 친근성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on affinity between Miscanthus sinensis and other plants)

  • 이일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3권4호
    • /
    • pp.1-11
    • /
    • 1970
  • Althought allelopathy has been cleary established for Pinus densiflora by Lee-Monsi, the auther suspected that Miscanthus sinensis which grows vigrously in such Korean pine forests might also exhibit the phenomenon. A total of 33 species having an affinity in the Miscanthus group were recorded in the filed. Out of these, five species; Patrinia scabiosaefolia, Lespedeza crytobotrya. Oenothera odorata, Raphanus sativus var. acanthiformis, and Zoysia japonica were considered the "A" group. Five other species which have no affinity to Misanthus sinensis, Amaranthus patulus, Solanum nigrum, Capsella bursa-pastoris var. triangularis, Chem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and Alopeculus amurensis were considered the "B" group. Extracts of Miscanthus sinensis were applied to determine relative germination and growth. It was found the growth in the "B" group was promoted by a cold water extract of Miscanthus stems and leaves, but inhibited remarkably by an extract obtained by passing cold water through Miscanthus root. As expected, growth in the "A" group was promoted by both experimental treatments.romoted by both experimental treat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