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influence model

검색결과 1,313건 처리시간 0.027초

융·복합시대 청년들의 대인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업무환경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Fusion·Integrated Generation of Youth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 이재봉;조옥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81-290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융 복합시대 청년들의 대인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업무환경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페널조사 KLIPS 19차년도 데이터을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에 부합되는 540명의 대상으로 청년들의 대인관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 업무환경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모형을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의 대인관계와 업무환경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들의 대인관계와 업무환경 및 조직몰입도 간의 관계에 있어 업무환경이 완전 매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청년들의 대인관계와 조직몰입도 간에 관계에 있어 성별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가치모형에 근거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상호작용효과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teraction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ry Workers Based on Competing Value Frameworks Model)

  • 신영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51-259
    • /
    • 2018
  • 본 연구는 경영학의 경쟁가치모형을 보육직무에 적용하여 교사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의 영향관계에서 소진의 조절효과를 융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보육교사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V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중심화 기법을 적용한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표면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내면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이직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진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소진과 내면감정노동의 상호작용효과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관리하기 위하여 보육교사의 소진을 완화시키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보육현장에서 교사소진과 내면감정노동의 상호작용효과를 활용하여 이직의도를 관리하는 제도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Variation in Meal-skipping Rates of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Results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Hong, Seri;Bae, Hong Chul;Kim, Hyun Soo;Park, Eun-Cheo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7권3호
    • /
    • pp.158-168
    • /
    • 2014
  • Objectives: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trend of meal-skipping rates among Korean adolescents with their contributing causes and the influence of household income level on meal skipping. Methods: Using 2008, 2010, and 2012 data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22 662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with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We calculated odds ratios for skipping each meal 5 or more times in a week by household socio-economic status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secular change in the meal-skipping rates by the students' family affluence scale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meal-skipping students within each subgroup and odds ratios for the same event over time. Results: Through 2008 to 2012, most of the meal-skipping rates generally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or were almost unchanged in both sexes, except for breakfast skipping in several subgroups. Students in low-income households not living with both parents had the highest meal-skipping rates and odds ratios for frequent meal skipping. In a time-series subgroup analysis, the overall odds ratios for the same event increased during 2008 to 2012, with a slight reduction in the gap between low and higher income levels with regard to meal skipping during 2010 to 2012. Conclusions: Household socio-economic status and several other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adolescent meal-skipping rates. Although the gap in eating behavior associated with household socio-economic differences is currently decreasing, further study and appropriate interventions are needed.

변혁적 리더십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 동일시의 매개 효과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이강민;주시각;전상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83-98
    • /
    • 2016
  • 본 연구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동일시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 및 가설을 개발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했다. 분석을 위해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직원 229명이 제출한 온라인 설문 자료를 사용했고 구조 방정식 분석을 사용해 가설을 검증했다. 설문 조사가 갖는 동일 방법 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하고 전산화된 설문지를 사용했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조직 동일시에 의해서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동일시를 통해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패션 제품 광고 모델이 여대생의 구매의도, 자존심 및 신체 만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Models in Ads on Buying Intention, Self-Esteem and Body Satisfaction of College Women)

  • 정명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14권3호
    • /
    • pp.514-527
    • /
    • 2006
  • It can be said that the ultimate goal of advertising is creating consumers' buying intention and buying behavior toward advertised goods. But literature suggests that ads have both intended and unintended consequences, and one of the unintended consequences is that the idealized images of physical attractiveness found in advertising have negative impact on girls' and womens' self-perceptions. Thus, this study, using social comparison theory as a framework,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images of models in ads portrayed in TV and fashion magazines on the purchasing intention, self-esteem and body satisfaction of college women. Using an experimental stimulus, a moving picture representing thin and attractive models in the context of advertising fashion goods, two conditions were manipulated and the subjects were placed into one of two groups randomly,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only was exposed to the ads portraying highly attractive models.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groups using same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two-way ANOVA,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thin and attractive image of models in ads on buying inten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buying intention(p<.05). 2. The thin and attractive image of models in ads had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s on self-esteem(p<.05). 3. The thin and attractive image of models in ads had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body satisfaction(p<.05). 4. The ideal body internaliza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s on body satisfaction(p<.05), but interaction effect of model's image and ideal body internalization on body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 PDF

가상경제 유형론-온라인 게임을 중심으로 (Virtual Economy Typology-Focus on Online Games)

  • 유병준;도현명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43-52
    • /
    • 2009
  • 온라인 게임을 필두로 가상 세계는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리고 그 가상 세계에 있는 가상 자산과 그 자산이 유통되는 가상 경제가 현실 경제와 맞물려, 주고받는 영향력 또한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에 가상 세계나 경제 혹은 자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의 법적 환경적 조건과 기업의 정책에 따라서 가상 경제의 양상이 매우 다양해질 수 있다는 점은 간과되고 있다. 그 까닭에 실천적인 관점에서 가상 경제의 영향력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세계를 6개의 주체와 5종류의 거래를 가진 시스템으로 보고, 거래 조합의 경우가 24가지로 도출될 수 있음을 보이며, 그 중 4가지 대표 유형을 뽑아 그 특성을 정리했다. 이와 같은 유형 분류는 특징을 더 잘 이해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함의들을 통하여 향후 가상세계의 관리 및 개선 노력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배달음식 앱의 서비스 품질 만족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of Delivery Food App. of Korean and Chinese Customer)

  • 황윤성;박재기;왕연;서용모;이병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39-250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 간의 배달음식 앱에 대한 고객만족과 서비스 품질 요소의 영향력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MOBISQUAL이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품질 측정 도구를 통해 가설구조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소비자는 유희성과 충족성이 고객만족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소비자는 유희성, 유용성, 개인화, 디자인, 용이성, 안전성이 고객만족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들에게 배달음식 앱이 고객만족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간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관련 기업에서 고객만족을 위해 고려해야할 부분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오프라인 영화 관람객의 가치 인식 유형에 따른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브랜드이미지, 구매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nd Image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Multiplex Cinemas according to the Types of Value Perceptions of Offline Movie Viewers)

  • 이강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94-504
    • /
    • 2021
  • 넷플릭스를 대표하는 OTT(Over-The-Top) 서비스의 확산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현상은 국내 멀티플렉스 영화관에 있어 전반적인 악재로 작용했다. 이에 더해 디지털 시프팅(Digital Shifting) 현상이 가미되며 국내 오프라인 영화관은 새로운 성장의 판로를 모색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소비자의 가치 인식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가치 인식 유형에 따른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브랜드이미지와 구매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총 350명의 연구대상자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표집한 뒤, 연구 모형에 따른 실증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프라인 영화 관람객의 가치인식 유형 중 실용성이 브랜드이미지 구축에 대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기충실성이 오프라인 영화 관람의 구매 만족도에 대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오프라인 영화관의 브랜드이미지는 영화 관람객들의 구매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오프라인 영화관의 뉴노멀 시대 속의 새로운 생존 전략을 제시하였다.

중장년 직장인의 창업 개인역량 및 창업기회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기회평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and Perception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Assessment)

  • 진주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3호
    • /
    • pp.45-6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창업기회평가를 매개하여 중장년 직장인의 창업 개인역량과 창업기회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창업 개인역량의 하위변수로는 사전지식, 긍정적 태도, 사회적 네트워크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창업에 관심이 있는 전국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약 15일간(2023.02.06.~2023.02.20.) 네이버 오피스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62부를 수집하여 결측치 12부를 제외한 250부를 대상으로 SPSS Ver.24.0과 PROCESS MACRO Model 4.0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창업자 개인역량의 사전지식과 사회적 네트워크 및 창업기회인식은 높을수록 창업기회평가와 창업의도가 증가하는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창업자 개인역량 중 긍정적 태도는 창업기회평가 및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기회평가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창업기회인식, 사전지식, 사회적 네트워크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장년 직장인의 창업에 대한 긍정적태도는 COVID-19로 인한 창업환경 위축, 창업준비 부족으로 인한 실패의 두려움, 과잉자신감에 따른 인지편향의 오류로 인한 창업실패 사례 속출 등으로 창업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창업자 개인역량과 창업기회인식이 통제된 상황에서 창업기회평가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기회평가는 창업자 개인역량의 사전지식, 사회적 네트워크 및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긍정적 태도와 창업의도 간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기회평가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 창업자 개인역량보다 창업기회인식이 더 크게 나타나 창업기회인식의 중요함이 확인하였다. 다섯째, 창업자 개인역량인 사전지식과 네트워크가 창업기회평가 및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창업사전지식 함양 및 경험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창업교육을 강화하면 중장년 직장인들의 창업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PDF

계획행동이론을 통해서 본 팟캐스트 이용행태: 국내 팟캐스트 이용자를 대상으로 (Explore to Use of Pod cast Through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Case of Korean Pod casting Users)

  • 홍숙영;조승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183-19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매체로 확산 중에 있는 팟캐스트 이용자들의 이용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팟캐스트의 이용동기를 살펴보는 한편 계획행동이론의 독립변인들인 팟캐스트 이용에 대한 사회적 규범, 이용태도, 자기효능감이 팟캐스트 이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팟캐스트의 이용동기는 생활정보추구, 오락추구, 전문정보추구, 현실도피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용동기 가운데 생활정보추구와 현실도피 요인이 팟캐스트 이용빈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획행동이론은 팟캐스트 이용행동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