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검색결과 3,012건 처리시간 0.03초

스마트폰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Smartphone Users)

  • 임순택;이동건;이상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129-138
    • /
    • 2013
  • 최근 스마트폰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정적 측면들이 쟁점화 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첨단 기술은 테크노스트레스로 이어지며 잠시라도 손에서 스마트폰이 멀어지면 불안하고 당황하여 할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디지털 중독 현상이 사회문제로 비화되고, 이러한 디지털 중독을 해결 하려는 디지털 디톡스와 첨단 기술의 사용으로 인한 테크노스트레스가 쟁점화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내적 요인들을 도출하고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테크노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디지털 디톡스와 지각된 유용성, 플로우를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사용자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정의하는 이론적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설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크노스트레스, 디지털 디톡스가 스마트폰 사용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장애인 스마트폰 중독 실태 연구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of the Disabled)

  • 서보경;김인혜;남길우;권미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85-197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 및 중독 특성을 알아보고 장애인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해소를 위한 대응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장애인 20~59세 총49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 스마트폰중독위험군 비율은 12.55%였다. 장애인의 스마트폰, 모바일메신저, SNS 및 게임 사용시간은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의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위험군과 비슷하거나 더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중독에 관한 인식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2/3 정도가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중독관련 상담기관을 알고는 있었으나, 실제 도움을 받을 의향이 있는 사람은 그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 홍보와 장애인을 위한 제도적, 구조적 기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청주지역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간식 선호도, 식행동 및 생활습관 (Lifestyle, Dietary Behavior and Snack Preference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eongju according to the Usage Time of Smartphones)

  • 김하연;배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0-52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ength of exposure to smartphone and its association with dietary behavior toward snacks, lifestyle, and nutrition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Subjects were 372 5th and 6th grade schoolchildren in Cheongju, Korea, and data was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 time spent using smartphone: moderate (< 2 hours/day) and overexposure (${\geq}2$ hours/day).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hi}^2$-test, and independent t-test as well as analysis of covariance when necessary. Results: Approximately half of subjects (41.4%) reported spending ${\geq}2$ hours/day using smartphone. That habit was more frequent among students in the 6th grade, those who received more monthly allowance, and who has a working mother. 63.4%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consumed snacks while watching television, using a computer and/or a smartphone and 48.1% said that they consumed snacks while they use a smartphone. Both situations were most prevalent among those with overexposure to smartphone (${\geq}2$ hours/day). We also observed that a higher percentage of subjects from the overexposure group spent more money on snack foods with the preference for ice cream, fast food, and carbonated drinks. Further, those in the overexposure group consumed more ice cream, cookies, and carbonated drinks. In addition, they had less desirable dietary behavior and health-related lifestyle (sleep duration and frequency of regular exercise) compared to those with moderate smartphone usage (< 2 hours/day).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nutrition knowledge among children with different degrees of smartphone usage.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at longer smartphone use was associated with less desirable snack preference/consumption and other dietary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us interest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s healthy snacks and diet should be reinforced in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especially for those who are prone to use smartphones.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 Kim, Kyung 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73-18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스마트폰의 건전한 이용을 장려하는 데 유용한 기초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 공격성,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G광역시 5개 대학교 재학생 집단으로부터 회수된 설문지 332부를 통계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통제력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격성의 하위요인 중 분노성향은 스마트폰 중독을 높이는 반면,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사회체험은 스마트폰 중독을 낮추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우울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Mediating Effects of Anger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Yu, Pyeong-su;Hwang, Hey-ye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7호
    • /
    • pp.161-16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level on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on smartphone addic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smartphone addiction, anger level, and school adjustment of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anger level and school adjustment?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vel of anger in the process of affecting the school adjustment to smartphone addiction by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 city schools and seven municipal schools in J-do, among which 450 students were enrolled from April 23 to May 18, 2018. A total of 439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11 unexplained questionnaires or unfairly responded to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Among them, tolerance is on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er relationship. The sub-fa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hav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ger expression, anger control, and anger suppression. Second, the effect of sub-fa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on the level of anger was 3.6%, and th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was 4.2%. Third, The anger level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ed the school adjustment by the smartphone addic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0.8%.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Negative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 임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85-196
    • /
    • 2018
  • 본 연구는 성인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 상담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인 300명(남 146명, 여 154명)에게 지각된 스트레스척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 부적 정서척도, 스마트폰 중독진단척도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 정서는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정서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상담과정에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정을 통한 부적 정서의 완화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또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Need Assessment for Smartphone-Based Cardiac Telerehabilitation

  • Kim, Ji-Su;Yun, Doeun;Kim, Hyun Joo;Ryu, Ho-Youl;Oh, Jaewon;Kang, Seok-Min
    •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283-291
    • /
    • 2018
  • Objective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martphone usage and to describe the needs for smartphone-based cardiac telerehabilitation of cardiac patients. Methods: In 2016,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a supervised ambulatory cardiac rehabilitation (CR) program in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with the participation of heart failure or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who were smartphone users.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smartphone usage, demands for smartphone-based disease education, and home health monitoring systems. Results were de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principal diagnosis. Results: Ninety-six patients (66% male; mean age, $5{\pm}11$ years), including 56 heart failure and 40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completed the survey (completion rate, 95%). The median daily smartphone usage time was 120 minutes (interquartile range, 60-300),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smartphone function was text messaging (61.5%). Of the patients, 26% stated that they searched for health-related information using their smartphones more than 1 time per week. The major source of health-related information was Internet browsing (50.0%), and the least sought source was the hospital's website (3.1%). Patients with heart failure expressed significantly higher needs for disease education on treatment plan, home health monitoring of blood pressure, and body weight (${\chi}^2=5.79$, 6.27, 4.50, p < 0.05).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expressed a significant need for home health monitoring of body temperature (${\chi}^2=5.25$, p < 0.05). Conclusions: Heart failure and heart transplantation patients show high usage of and interest in mobile health technology. A smartphone-based cardiac telerehabilit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high demand areas and modified to suit to each principal diagnosis.

Change in Each Vertebral Segment During Smartphone Usage with Both Hands while in the Standing Position

  • Cho, Sung-Hak;Moon, Hyun-Ju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1호
    • /
    • pp.41-46
    • /
    • 2019
  • Purpose: Continuous use of a smartphone increases the angle of forward bending of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causing pain in the shoulders and back, including the thorax, lumbar region, and vertebrae.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changes in the cervical spine due to smartphone usage, the changes in the shoulders, thoracolumbar spine, and pelvic have rarely been compa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spinal segments, shoulders, and pelvic when using a smartphone with both hands while in the standing positio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5 adults in their twenties.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those in a similar age group, thus excluding postur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to those who did not have specific diseases or pain in the spinal and musculoskeletal system for 12 months prior to the study. In this study, we used a 3D spinal diagnostic imaging system (Back Mapper, Frickenhausen) to compare the changing conditions in each vertebral segment before and during smartphone usage with both hands while in the standing position. Posture differences according to smartphone usage were compared using the paired t-test for the motion of each spinal segment.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thoracic and lumbar angle increased posteriorly during smartphone usage (p<0.05). In addition, the anterior rotation angle of the shoulder bon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occurred in the pelvic reg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martphone usage with both hands while in the standing position showed that the spine, as a whole, forms a kyphotic curve. Therefore, we propose to present a postural guideline for correct smartphone usage, considering the change in each vertebral segment.

공통평가기준 3.1 기반 스마트폰 운영체제 보호프로파일 개발 (An Efficient Mixnet for Electronic Voting Systems)

  • 전웅렬;김지연;이영숙;원동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17-130
    • /
    • 2012
  • 2007년 애플의 아이폰과 구글의 안드로이드 OS를 채택한 일명 안드로이드 폰들이 잇달아 발표되면서 스마트폰 열풍이 시작되었다. 2010년 한해 스마트폰 사용자는 2010년 1월 약 100만명에서 2010년 12월 약 710만명으로 700% 증가한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2011년 3월 현재에는 천만명의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만큼 많은 보안문제도 대두되었다. 스마트폰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은 다른 IT 기기에 비해 엄격한 보안기술이 적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 보안에 대한 인식이 미비하여 여러 가지 보안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스마트폰의 보안 강화를 위해 스마트폰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스마트폰 운영체제를 평가하기 위한 스마트폰 운영체제 보호프로파일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스마트폰 운영체제와 기존 운영체제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보안문제, 보안목적, 보안기술요구사항을 도출한다.

고등학생들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스마트폰 과의존과 우울과의 관련성 연구 (Study abou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for Life Care of High School Students)

  • 손성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09-31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그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고등학생 50명이다. 대상자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에 대한 분석은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우울 수준에 대한 분석은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분석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통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를 감소시키고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며,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인과관계와 영향력을 밝히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