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shipping and logistic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해운항만업체의 품질경영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Scheme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Shipping & Port Operation Company)

  • 안기명;홍석민;김현덕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75-683
    • /
    • 2006
  • 90년대초 품질경영 시스템을 시작으로 98년 안전경영 시스템, 그리고 2002년 ISPS Code 발효에 따른 보안시스템까지 해운항만업체는 필요에 따라 또는 외부적 요인에 의해 최근 10여년에 걸쳐 경영시스템에 몰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영모델, 협약, 코드는 일부 또는 전부의 도입 및 시행으로 해운항만관련회사에 경영시스템으로 자리 잡아 상호 유기적인 연관성을 갖고 직 간접적으로 밀접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이들 각각의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요건들 중 개선여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시스템 도입에 따른 요건들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가장 효과적인 시스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동아시아의 환경변화와 한국해운·조선산업의 중흥과 부산항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Environment in East Asia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n Shipping and Shipbuilding Industry in Busan Port)

  • 서문성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9-162
    • /
    • 2019
  • 한국의 해운기업에 대한 정책지원이 제한적이고 금융지원 등도 규모적인 면이나 지원시기 등에서도 적합성, 적기성 등에 문제가 해소 되어야 하며, 산업회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며, 선사 스스로도 경쟁력확보를 위해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며, 향후 환경규제 강화에 대비하고, 해운기업의 특성상 탄력적인 대응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함이 필요하다. 조선산업은 극심한 불황속에서 작년 호전되는 시기를 맞았으나, 외부 및 내부 구조적 문제대한 쇄신이 필요하며, 미래 선도적인 산업의 특성을 갖추기 위해서 정부 합동으로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핵심기술 확보와 경쟁국가간 차별화되고 특화된 산업경쟁력 확보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환경 규제 대응 선박 및 경제적 선박 건조 능력을 갖출수 있다. 부산항의 경쟁력은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특성을 살리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국가 중추 기간 허브항만으로서의 위상 발전을 도모하고, 동아시아 물류 선진국가 위치를 확고히 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항만 운영의 질적인 변화와 선진화, 스마트 항만화, 원양 메가캐리어 기항 확대, 항만운영 신속화 및 저비용 창출 항만으로 인한 선주 화주의 경제성도모하고, 선주 화주의 이용성 확대전략 확립이 필요하며, 동북아시아 4개국의 네트워크 구축으로 러시아 랜드브릿지 시스템과 중국 랜드브릿지 시스템을 활용한 유라시아와 구주지역까지의 물류망 구축 등 장기적인 글로벌 연계망 구축도 필요하다.

냉동창고 관리를 위한 모바일 프레임워크의 설계 (Design of a Mobile Framework for Managing Refrigerated Warehouses)

  • 반재훈;김수현;김광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7-109
    • /
    • 2012
  • 물류의 입출고 및 재고현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냉동창고 관리 프로그램은 대부분 COBOL로 구성되어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며 소비자인 화주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전무한 상태여서, 기본적인 수 발주를 위해서 팩스나 전화를 이용해 업무의 효율화, 신속성, 오류와 부정확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낙후된 기존 시스템의 문제와 냉동창고 소비자인 화주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폭발적인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 환경을 기반으로 냉동창고 관리를 위한 모바일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모바일 프레임워크는 JSP 기반의 서버와 안드로이드 기반의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며 구현을 통해 실용성을 증명한다.

  • PDF

물류 및 유통산업의 블록체인 활용과 정책 방향 (Application and Policy Direction of Blockchain in Logistics and Distribution Industry)

  • 김기흥;심재현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6호
    • /
    • pp.77-85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bdivide trade transaction-centered structure in a logistics/distribution industry system to apply blockchain, to establish and resolve with which types of technology, and to provide policy direction of government institution and technology to apply blockchain in this kind of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previous researches centered on cases applied in various industry sectors on the basis of blockchain technology. Results - General fields of blockchain application include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IoT platform, e-Commerce, real-estate transaction, decentralized app. development(storage), certification service, smart contract, P2P network infrastructure, publication/storage of public documents, smart voting, money exchange, payment/settlement, banking security platform, actual asset storage, stock transaction and crowd funding. Blockchain is being applied in various fields home and abroad and its application cases can be explained in the banking industry, public sector, e-Commerce, medical industry, distribution and supply chain management, copyright protection. As examined in the blockchain application cases, it is expected to establish blockchain that can secure safety through distributed ledger in trade transaction because blockchain is established and applied in various sectors of industries home and abroad. Parties concerned of trade transaction can secure visibility even in interrupted specific section when they provide it as a base for distributed ledger application in trade and establish trade transaction model by applying blockchain. In case of interrupted specific section by using distributed ledger, blockchain model of trade transaction needs to be formed to make it possible for parties concerned involved in trade transaction to secure visibility and real-time tracking. Additionally, management should be possible from the time of contract until payment, freight transfer to buyers through land, air and maritime transportation. Conclusions - In order to boost blockchain-based logistics/distribution industry, the government, institutionally, needs to back up adding legal plan of shipping, logistics and distribution, reviewing standardization of electronic switching system and coming up with blockchain-based industrial road maps. In addition, the government, technologically, has to support R&D for integration with other high technology, standardization of distribution industry's blockchain technology and manpower training to expand technology development.

컨테이너터미널 야드 트럭 배차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Yard Truck Dispatching Model in Container Terminal)

  • 신재영;박형준;이수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5-386
    • /
    • 2022
  • 현재 전세계 해운물류 선진국들은 앞다퉈 자동화 터미널, 공유플랫폼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며 스마트항만을 구축하고 있다. 이처럼 자원 활용 효율 향상 및 작업 유휴시간 최소화를 통한 항만 전반에 걸친 효율화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원 활용 효율 향상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 개선된 Y/T(Yard Truck) 배차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배차 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한 제약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Y/T 배차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또한, 부산 신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미널 혼잡 상황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시나리오에 대해 기존 배차 방식과 Y/T 배차 알고리즘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험을 실시한 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Y/T 배차 알고리즘 활용에 따른 운영적 효과를 평가한다.

  • PDF

우리나라 항만에서의 스마트 항만 도입 과제와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Smart Port Introduction Tasks and Improvement Plans in Korean Ports)

  • 송종무;김환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7-168
    • /
    • 2020
  • 글로벌 경제의 저성장 기조에 따라 해운기업들과 항만기업들은 다양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하지만 성장의 기조가 정체되어 있는 현 시점, 성장의 돌파구를 4차 산업혁명의 기술로 풀어나가고자 하는 시도가 다양한 산업과 기술에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다가올 스마트항만의 원활한 구축을 위해 현재 우리나라의 항만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고, 보다 원활한 정책 도입과 기술 도입을 위한 방향은 무엇인지에 대해 진단할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스마트항만과 관련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항만과 관련된 뉴스 기사와 해양수산부의 보고서, 외국 문헌 등을 다양하게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항만 도입과제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항만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항만이미지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in the Port Logistics on Customer Satisfaction, Port Image and Relation Continuity Intention: Focused on Busan Port)

  • 김가현;류동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23-436
    • /
    • 2017
  • 본 연구는 기존의 서비스품질모형에 관한 연구들을 고찰하여 $Gr{\ddot{o}}nroos$의 2차원 모형에 기반을 두고 항만서비스의 과정품질을 환경품질과 전달품질의 2요인 구조로 분화시키고 거기에 결과품질요소를 추가한 서비스품질 모형의 기본적인 프레임을 구성하였다. 또한 서비스 품질 각 요소들의 하위 변수들은 항만서비스의 특성 및 변화하는 항만패러다임을 반영한 최신의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 품질 측정에 적합할 뿐 만 아니라 변화하는 항만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품질 측정 요인들을 종합하여 최종적인 서비스품질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된 서비스 품질모형의 각 특성이 고객만족과 항만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만족이 항만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및 고객만족과 항만이미지가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부산항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선사 및 물류업체, 포워더, 화주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서 Smart-PLS 3.0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서비스 품질차원의 각 요소들은 고객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만이미지에는 상품품질과 환경품질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만족도는 항만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도와 항만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관계지속의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 자율운항기술 분야의 산업경쟁력 분석 연구 - 포터(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기반으로 (A Study on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alysis of Domestic Autonomous Operation Technology Industry Based on the Porter's Diamond Model)

  • 박혜리;박한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03-208
    • /
    • 2022
  • 최근 해사 분야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e-Navigation, 자율운항선박, 스마트선박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 이슈가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해양안전 및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규제를 점차 강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강화된 규제 이행은 해양안전 및 해양환경보호 분야의 신산업 창출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사 분야의 대표적 신산업인 자율운항기술 분야에 대한 산업경쟁력 분석을 위해 포터(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기반으로 산업경쟁력 분석 모델을 설계하고, 총 5개 평가요소 및 13개 세부요소를 기반으로 국내 자율운항기술 산업에 대한 산업경쟁력을 정성적·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산업발전 초기 단계인 자율운항기술 산업은 산업경쟁력 지수화 결과 16.9점으로 평가되었으며, 현재 산업의 범위 정립부터 관련 규제 및 핵심기술 개발 등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러한 산업특성을 고려한 산업경쟁력 분석·평가는 신산업에 대한 전략적 지원 및 정책 추진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 신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해 해운·물류, 항만, 조선·기자재 산업 등 광범위한 연관 산업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효율적인 냉동창고 재고관리를 위한 모바일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Framework for Efficient Inventory Management of Refrigerated Warehouses)

  • 반재훈;김동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41-346
    • /
    • 2013
  • 물류의 입출고 및 재고현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냉동창고 재고관리 프로그램은 폐쇄 클라이언트 서버 환경인 레거시 시스템에서 운용되고 있어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소비자인 화주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전무하며, 기본적인 수 발주를 위해서 팩스나 전화를 이용하므로 업무 프로세스가 낙후되어 업무가 비효율적이며 오류와 부정확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낙후된 기존 시스템의 문제와 냉동창고 소비자인 화주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모바일로 화주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에서 화주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수 발주 업무, 재고량 조회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아 관리 업무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보장하였으며 다양한 서비스를 화주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만족도를 향상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