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mart HACCP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경기ㆍ인천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스마트 HACCP 사용의 직무수행도, 직무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mart HACCP Utilization: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mong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in Gyeonggi-do and Incheon)

  • 박소연;박찬윤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30권2호
    • /
    • pp.95-111
    • /
    • 2024
  • The Smart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management system, which integrates information technology (IT) to automate and analyze big data, has been introduced into school food servic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f employees in school food services using Smart HACCP.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from 350 employees in school food services who utilized Smart HACCP and worked in Gyeonggi-do or Incheon. The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information, workplace characteristics, HACCP education status,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se of Smart HACCP, and general job stress. The responses showed that 92.3% of the participants had received HACCP education in the workplace, and 66.6% understood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Among the HACCP process stages, CCP2 (Food Handling and Cooking) and CCP3 (Cooking Completion and Distribution) were the stages at which all participants were using Smart HACCP. CCP3 had the highest percentage (61.4%) of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feeling the maximum reduction in their tasks by using Smart HACCP. The Smart HACCP job performance at CCP1 (Inspection) and Smart HACCP job satisfaction were higher in workplaces with 6~10 employees, compared to those with 10≤ employees (both P<0.05). The Smart HACCP job performances at of CP1 (Refrigeration and Freezer Temperature Management) and CP2 (Cleaning and Disinfection of Food Contact Surfac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work area. General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oks than in cook practitioners, higher in employees with cook certification than in those without it, and higher in employees with work experience (<1 year), compared to those with 5~10 years or 10~15 years' experience. In conclusion,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Smart HACCP need to be enhanced to improve hygiene in school food service. This requires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ir job stress.

스마트 HACCP 효과 분석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smart HACCP effectiveness analysis model)

  • 이한철;강주영;박은지;박민지;오도경;김찬영;정은선;김재명;안영순;김중범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4권3호
    • /
    • pp.184-195
    • /
    • 2021
  • Smart HACCP is a system that can check the monitoring of critical control point (CCP) in real time to implement improvement measures immediately after departure from limit criteria and prevent falsification of data by digitizing handwritten records.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analysis model for the effectiveness ofsmart HACCP to compare and analyze with existing HACCP. By introducing of smart HACCP system, the evaluation index value of HACCP effectiveness for HACCP-certificated companies on a small scale increased by 9.25 points, corresponding to 11.52% of increase rate. General HACCP-certificated companies showed 4.52 point and 5.00% of increase rate by introducing of smart HACCP system.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oduction of smart HACCP system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and especially i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HACCP-certificated companies on a small scale than general HACCP-certificated companies.

스마트 HACCP 핵심 성과지표 분석 (Analysis of key performance indicator for smart HACCP)

  • 서연범;박정일;고지훈;이제명;황수진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4권2호
    • /
    • pp.73-81
    • /
    • 2021
  • 스마트 HACCP을 통한 기록관리 자동화는 센서를 이용하여 중요관리점(CCP)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한계기준 이탈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알람기능 구현을 통해 개선조치에 이르기까지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식품업체의 HACCP 업무운영 효율성·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조공정의 자동화를 통해 수작업에 대한 병원성미생물의 교차오염도를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하여 식품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종사자의 비의도적 실수와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게 해 소비자에게 식품안전에 대한 보다 신뢰성 높은 믿음을 줄 수 있다. 이렇듯 스마트 HACCP은 정부·기업·소비자 모두에게 공공의 이익을 가져다줄 새로운 미래이다.

HACCP 인증 현황 및 발전방안 (HACCP certification status and development plan)

  • 구경민;김태웅;한선하;안영순;전예정;이제명;황수진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4권2호
    • /
    • pp.62-72
    • /
    • 2021
  • HACCP 인증업체의 자율관리 능력을 제고하고 관리가 미흡한 업체 등에 대한 집중관리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더불어 스마트 HACCP의 확대, 보급을 통해 HACCP 운영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향상 시켜야 한다. 이처럼 HACCP 제도의 내실화와 스마트화 뿐만 아니라 동시에 적용분야를 지속적으로 발굴, 확대하는 것이 우리나라 HACCP이 나아가야할 방향이다.

WCDMA-LTE 기반의 Smart HACCP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단말기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vices for Smart HACCP Systems with WCDMA-LTE Based)

  • 장문기;박진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90-49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초 중 고등학교의 급식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급식소의 냉 온장고 및 각종 주방 기기의 온도와 습도를 모니터링하여 WCDMA-LTE 망을 이용하는 스마트 HACCP 시스템을 제안한다. 단말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특정서버로 전송되며 더욱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위해 식중독지수와 비교된 후,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의 식중독지수를 LCD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 주요 요소가 WCDMA-LTE 망 기반의 온습도 측정 및 모니터링 시스템 전용 단말기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른 단말기와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424 MHz 및 블루투스 4.0 무선모뎀을 포함한 LTE 단말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향후 본 시스템은 비닐하우스의 온도감시 시스템 또는 원격 환경감시 시스템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HACCP의 연구동향 (Current research trends in HACCP principles)

  • 황태영;이선용;유재원;김동주;이제명;고지훈;김명호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4권2호
    • /
    • pp.93-101
    • /
    • 2021
  • 1993년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HACCP 지침서를 발간하고 적용할 것을 권장하면서 HACCP 제도는 국제적인 교역에서도 필수적인 제도가 되기 시작했다. 국내의 경우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축산과 식품을 우선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수산물, 급식, 외식 등 식품 원료, 제품 전 분야를 망라하는 구조로 확대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의 HACCP은 축산, 식품으로 이원 적용되었기 때문에 두 제도간의 일원화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HACCP 적용에 따른 효과 검증 연구가 축산, 식품 등 다양한 제품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학술정보 검색엔진(ScienceON)을 활용하여 연도 제한 없이 'HACCP'을 검색어로 검색 시 총 6,173건의 연구보고가 검색되었다. 관련한 연구보고 중 관리, 효과 관련 연구가 492건으로 전체의 5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중복을 감안하더라도 많은 연구가 이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HACCP 적용 시의 식품안전, 품질 및 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고, HACCP 적용에 따른 소비자 인식 변화 및 이를 통한 기업에의 영향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급변하는 기술변화와 발맞춰 HACCP 제도에도 블록체인 등 다양한 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할 수 있도록 추진되고 있다. HACCP관련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들 연구 자료의 활용을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과 같은 방법론을 적용하여 좀 더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연구 방향 설정 및 정책 반영에 활용하는 것이 좋겠다.

스마트-해섭(Smart-HACCP) 적용을 위한 식품안전 검시기술 동향 (Current status of food safety detection methods for Smart-HACCP system)

  • 임민철;우민아;최성욱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4권4호
    • /
    • pp.293-300
    • /
    • 2021
  • 식품안전사고는 2009년 이후 해마다 5천건 이상 매년 2%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환경오염 및 농수산물 원산지표시 위반 등이 증가하고 있어 먹거리 안전에 대한 국민 불안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식품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빨리 검사하는 방법이라고 대부분 알고 있지만 식품생산 및 유통 현장에 분석 비전문가 수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검사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현장진단기술 중 시료에서 검사까지 가능한 STA 기술을 중심으로 유전자 기반 식중독균을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사람이 아닌 원격지 무인으로 식품위해인자를 직접적으로 검사하여 식품안전정보를 위변조 없이 생성할 수 있다면 현재의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로부터 보다 정확한 위험을 예측할 수 있어 오염원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는 현재 클라우드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서도 활용 가능한 수준이기 때문에 영세사업장이나 공공 단체급식 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소재 활용을 위한 국내 수산가공부산물의 통계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Statistical Status of By-products from Korean Seafood processing for Utilization of Biomaterials)

  • 안소언;장덕희;강도형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4-132
    • /
    • 2022
  • By-products from fisheries produced in Korea are of the same industrial material as imported raw materials and are valuable resources for marine bioindustries. Securing raw materials for the mass production of functional materials is one of the main objectives for marine bioindustrial development. The use of fishery by-products as raw materials is anticipated to increase rapidly as the biomarket is growing into a promising industry. In this study, data were acquired from an open-source environment to perform exploratory data analysis, and various visualization methods were used to compare fishery production to the production of marine processed products in the year 2020.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mount of seafood processing, types of processing items, and areas where fishery processing residue is generated, should be able to secure hygienic raw material supply in large quantities. Thus far, it has been found that the Gyeonggi-do and Busan province, where HACCP-certified processing facilities are concentrated, and the local government Seafood Cluster and the Smart Aquaculture Cluster are at the forefront of stable, mass production of raw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