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pe revegetation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45초

전라북도 민유임도의 시기별 공종변화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Change of Construction Type for the Non-national Forest Road in Jeollabuk-do)

  • 손재호;박종민;이준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652-660
    • /
    • 2007
  • 1989년부터 2005년까지 시공된 전라북도 내의 민유임도 216개 노선의 설계도서를 대상으로 임도 설계상의 주요 공종변화를 분석하였다. 전라북도의 연평균 민유임도 시설거리는 녹색임도 정책 시행 이전단계에 비해 녹색임도 정책 시행 이후 대폭 감소하였다. 토사절취작업은 1990년부터 블도저에서 블도저와 굴삭기 혼용으로 바뀌었다. 비탈면 녹화공은 초기에는 잔디심기와 족제비싸리심기가 주종을 이루었는데, 녹색임도정책 시행단계(2단계)부터 종자뿜어붙이기와 줄파종의 혼용, Coir net 또는 볏짚거적 덮기 등으로 발전하였다. 횡단배수관의 경우, 배수관의 설치 간격은 3단계에 평균 92 m로 감소하였고, 규격은 2단계 이후에 대부분 600 mm 이상으로 확대되었으며, 재료는 모두 파형강관으로 설계되었다. 콘크리트포장은 1단계의 평균 40 m/km에서 3단계에는 240 m/km로 현저히 증가하여 임도의 안정성과 기능성이 제고되었다. 비탈안정구조물은 석축이 주종을 이루고 있지만, 1993년 이후부터 콘크리트옹벽과 돌망태옹벽 등도 많이 설계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요 공종을 대상으로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임도시설에 관한 관리자 집단 간의 의식성향 분석 (Preference Analysis between Two Administrator Groups on Forest Road Facilities)

  • 지병윤;권형근;황진성;정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449-455
    • /
    • 2016
  • 본 연구는 임도사업의 계획과 유지관리 단계에서 임도 관리자 집단의 의식성향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임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임도의 계획과 유지관리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임도 노선의 계획시 고려사항으로는 육림작업, 산지재해 예방, 목재수확 등의 항목에서 높은 중요도를 보였으며, 간선임도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도 유지관리 작업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인력 및 예산부족으로 인한 어려움(92.9%)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임도의 개설로 우려되는 주요 피해형태로는 사면붕괴로 인한 인명피해, 사유지 통행에 대한 분쟁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실행하고 있는 임도 유지 관리작업의 주요 내용으로는 배수시설의 정비와 노면정비가 높게 나타났다. 임도시설에 대한 주요 보완사항으로는 배수시설, 비탈면 녹화와 안정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산사태 붕괴사면에 있어서 표면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강우강도와 그에 따른 유출토사량의 변화 (Rainfall Intensity Regulating Surface Erosion and Its Contribution to Sediment Yield on the Hillslope Devastated by a Shallow Landslide)

  • 권세명;서정일;조호형;김석우;이동균;지병윤;전근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4호
    • /
    • pp.314-323
    • /
    • 2013
  • To examine surface erosion and sediment export patterns on a hillslope, which was devastated by a shallow landslide and which was slowly revegetating by natural plant species, we surveyed variations in surface erosion depth on the upper-, middle- and lower-section of the hillslope, and subsequent sediment yield from the whole hillslope. The result showed that, with the passing of year, surface erosion on the devastated hillslope was regulated by higher rainfall intensity due to the supply-limitation of exportable sediment, and its variation range decreased. In addition, surface erosion on the upper-section with steep slope was regulated by higher rainfall intensity, which might result in raindrop erosion, compared to it on the lower-section with relatively gentle slope. Besides, the sediment yield from the devastated hillslope had nonlinear relationship with surface erosion depth on the hillslope because sediments on the hillslope are exported downwards while repeating their cycle of transport and redistribution. Our findings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trategy to prevent sediment-related disasters occurred during torrential rainfall events, which was based on the continuous field investigation on the hillslope devastated by landslides.

하천 고수부와 제방 비탈면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표토의 집토와 부설 (The Stockpiling and Spreading of Topsoil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Floodplains and the Levee Slope of a Stream)

  • 한승완;김형준;채병구;김정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99-104
    • /
    • 2015
  • 다수의 매토종자를 함유하고 있는 표토는 중요한 생태복원 재료로서 많이 알려져 있으나, 이를 실제로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하천복원 재료로서 표토의 가치에 대해 재평가하였다. 또한 실제로 황구지천 하천환경정비사업에서 완경사 호안, 고수부 복원, 식재 등에 표토를 활용한 결과 생태적, 치수적, 경제적 및 시공적 측면에서 자연친화적 하천 복원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결론적으로 표토가 하천복원의 유용한 재료인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잔디 줄기를 이용한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공법의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oil-Media Hydroseeding Measures Using Zoysiagrass's Lateral Stems)

  • 민창현;김남춘;최준수;송원경;주상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4
    • /
    • 2015
  • A manipulation of zoysiagrass's lateral stems and soil-media; used for slope revegetation,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grass. To study the influences on the growth of zoysiagrass depending upon various soil-media conditions, two different types of soil are used. The results obtained - through investigation of its cover rates, leaf color and number -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mountain regions soil,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and development of grass in treatments: zoysiagrass's lateral stems treatments with 1cm, 2cm, and 3cm soil-media and treatment with only seeding. Zoysiagrass, in most of the treatments, show about the same growth rates, and at the end, fair visual quality. Zoysiagrass's lateral stems treatments with 2cm, 3cm show slightly better growth, however, thickness of soil-media need not be more than 1cm to obtain an expected quality of lawn. In decomposed granite soil, there appear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growth of the grass in treatments: zoysiagrass's lateral stems treatments with 1cm, 2cm, and 3cm soil-media and treatment with only seeding. The thicker the soil-media, the better the growth of grass, and that in treatment with seeding-only shows poor quality in general. And therefore, it is efficacious to plant in 3cm soil-media when quick formation of lawn is necessary; however, using 2cm soil-media is ultimately the most cost-efficient way of formation. But, when time allows - that is, more than three months - 1cm soil-media in decomposed granite soil is reasonable to formate just as effective lawn. And so when performing seeding, additional covering, fertilization or increasing the quantity of seed must be considered.

숏크리트 및 식생공의 사면방향에 따른 유지관리상의 문제점 (The Problems of Shotcrete and Revegetation Methods according to Slope Direction)

  • 배성우;신창건;박재영;장범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309-1314
    • /
    • 2010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로 구성되어 있어 도로준설 시 절토사면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므로 사면의 안정성확보를 통해 인명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막기 위해 보호 및 보강공을 실시하게 된다. 표면보호공법은 절토사면이 조사시점을 기준으로 안전율을 확보하고 있으나, 향후 우수나 풍화진행 등으로 안전율의 감소 방지와 예상치 못한 낙석 등에 대처하기 위한 공법이다. 그러나 식생공, 숏크리트 등의 표면보호공법 시공시 경사방향에 따른 일조량의 차이로 인해 구조물들의 변형 및 유지관리상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식생공의 경우 사면방향이 북향일 경우 일조량의 부족으로 식생들이 정착을 하지 못하게 되고, 이때 사면은 표면보호기능이 상실되어 우수나 풍화진행 등으로 안전율이 감소하게 된다. 숏크리트의 경우는 남향의 사면에서 주간에 일조량이 과할 경우 열에 의해 팽창되고 주?야간 팽창 수축을 반복하여 대류열차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숏크리트가 파손되어 도로로 유입시 교통안전에 위협을 가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면방향에 따른 표면보호공법 선정시 문제점을 논의해 보고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Study for Phytostabilization using Soil Amendment and Aster koraiensis Nakai i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of Abandoned Metal Mine

  • Jung, Mun-Ho;Lee, Sang-Hwan;Ji, Won-Hyun;Park, Mi-Jeong;Jung, Kang-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27-634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elect optimal soil amendments through analysis of heavy metal availability in soil and uptake to Aster koraiensis Nakai for forest rehabilit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of abandoned metal mine. A. koraiensis was cultivated for 6 months at contaminated soil with several soil treatments (bottom ash 1 and 2%, fly ash 1 and 2%, waste lime+oyster 1 and 2%, Acid mine drainage sludge (AMDS) 10 and 20%, compost 3.4%, non-contaminated natural forest soil, and control). The analysis result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he soil by Mehlich-3 mehthod, growth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A. koraiensis showed that waste oyster+lime 1% and compost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amendments for phytostabilization. However, it is needed comprehensive review of factors such as on-site condition, slope covering to reduce soil erosion and vegetation introduction from surround forest for revegetation to apply forest rehabilitation.

암벽면녹화공법개발(岩壁面綠化工法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I) - 담쟁이덩굴류(類)의 이용성개발(利用性開發) - (Studies on the Bare Rock-slope Conservation Measures (I) -Conservation and Revegetation by Parthenocissus spp.-)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6
    • /
    • 1978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最近)에 경부고속도로(京釜高速道路)를 비롯한 경인(京仁), 호남(湖南), 남해(南海), 영동(嶺東), 구마고속도로(邱馬高速道路)의 건설(建設)을 위해서 자연산지(自然山地) 사면(斜面) 절취(切取)하여 대규모(大規模)의 인공(人工) 암벽사면(岩壁斜面) 발생(發生) 노출(露出)되어 국토보전(國土保全)과 환경녹화면(環境綠化面)에서 국가적(國家的) 과제(課題)로 다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관안산(冠岳山)과 백운산(白雲山)과 같은 기존 암석산지(岩石山地)의 녹화기술(綠化技術) 개발문제(開發問題)도 큰 과제중(課題中)의 하나로 중요시(重要視)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問題)에 대한 해결방법(解決方法)의 일환(一環)으로 만경식물(蔓莖植物)의 이용법(利用法)에 관(關)해서, 특(特)히 담쟁이덩굴류(類)의 이용성(利用性)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하였다. 담쟁이덩굴류(類)의 환경녹화면(環境綠化面)에서의 이용개발(利用開發) 가능성(可能性)과 그 효용(効用)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담쟁이덩굴류(類)의 분류학상(分類學上)의 특징(特徵) 및 종류(種類), 생태적(生態的)인 특징(特徵) 및 번식기술(繁殖技術), 그리고 이용성(利用性) 개발(開發) 및 녹화상(綠化上)의 특징(特徵)에 대(對)한 조사(調査) 시험(試驗) 수행(遂行)하였다. 이 연구(硏究)에서 조사(調査)된 담쟁이덩굴류(類)에는 우리나라 담쟁이덩굴, 미국담쟁이, 중국담쟁이, 톰손담쟁이, 칠엽(七葉)담쟁이, 숲담쟁이, 덴마크담쟁이, 히마라야당쟁이와 같은 8종(種)이 있으며, 또 담쟁이덩굴의 3 변종(變種)과 미국담쟁이의 3 변종(變種)에 대(對)해서도 조사(調査)되었다. 담쟁이덩굴속(屬)은 포도과(科)에 속하는 다년생목본(多年生木本) 덩굴식물(植物)로서 일반적(一般的) 줄기에 덩굴손(부착근(付着根))과 겁반(昅瀊)을 가지고, 벽면(壁面)이나 바위 또는 나무줄기위를 기어 올라가서 환경(環境) 녹화(綠化)하며, 가을에는 아름다운 홍엽(紅葉)이 되고 겨울에는 다량(多量)의 장과(奬果)를 나무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야생동물(野生動物)의 먹이로 이용(利用)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국토녹화(國土綠化) 및 환경보전면(環境保全面)에서 가장 유용(有用)한 담쟁이종(種)은 우리나라 자생종(自生種)이며, 이것은 암벽면녹화공법개발(岩壁面綠化工法開發)에 이용(利用)할 수 있는 대단히 효과적(効果的)인 식물(植物)임이 밝혀 졌다.

  • PDF

성숙임목벌채지(成熟林木伐採地)에서 운재로(運材路)의 침식(浸蝕)에 미치는 환경요인(環境要因)의 영향(影響) (Influence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Soil Erosion of the Logging Road in Timber Harvested Area)

  • 박재현;우보명;정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239-246
    • /
    • 1995
  • 이 연구(硏究)는 대규모(大規模) 벌채지(伐採地) 운재로(運材路)에서의 침식(浸蝕) 및 퇴적(堆積)에 관련되는 주요(主要) 인자(因子)와 그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할 목적(目的)으로 1993년부터 1994년까지 2개년간 백운산(白雲山) 지역(地域)(서울대학교(大學校) 농업생명과학대학(農業生命科學大學) 부속(附屬) 남부연습림(南部演習林) 제(第)26임반(林班)에 개설된 운재로(運材路)에서 수행한 연구(硏究)로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운재로(運材路) 노면(路面) 침식(浸蝕)의 설명에 유의한 인자(因子)는 누가강우량(累加降雨量), 침식거리(浸蝕距離), 운재로(運材路)의 횡단(橫斷)물매, 토양경도(土壤硬度) 등(等) 4개(個) 인자(因子)이었으며, 누가강우량(累加降雨量)이 많을수록, 운재로(運材路) 시점(始點)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운재로(運材路)의 횡단(橫斷)물매가 급할수록 운재로(運材路)의 노면(路面) 침식량(浸蝕量)은 증가하였다. 2. 우재로(運材路)에서 절토사면(切土斜面) 침식량(浸蝕量)의 설명(說明)에 유의한 인자(因子)는 절토사면(切土斜面)의 모양(模樣), 침식(浸蝕)편의 위치(位置), 식생피복도(植生被覆度), 토양경도(土壤硬度), 모래함유율(含有率), 누가강우량(累加降雨量), 점토함유율(粘土含有率), 미사함유율(含有率) 등(等) 8개(個) 인자(因子)이었으며, 식생피복도(植生被覆度)가 낮을수록, 누가강우량(累加降雨量)이 많을수록, 토양중(土壤中)의 모래함유율(含有率)이 많을수록 운재로(運材路)의 절토사면(切土斜面) 침식량(浸蝕量)은 증가하였다. 3. 운재로(運材路)에서 발생된 총침식량(總浸蝕量)의 설명에 유의한 인자(因子)는 총강우량(總降雨量), 강우(降雨)횟수, 토양경도(土壤硬度) 등(等) 3개(個) 인자(因子)이었으며, 강우량(降雨量)이 많을수록, 강우(降雨)횟수가 많을수록 운재로(運材路)의 성토사면(盛土斜面) 침식량(浸蝕量)은 증가하였다. 4. 운재로(運材路)d서 발생된 총침식량(總浸蝕量)은 운재로(運材路) 개설(開設) 당해연도(當該年度)에는 $5.04{\times}10^{-2}m^2/m^2$, 그 다음 해에는 $7.37{\times}10^{-2}m^2/m^2$로, 이중 노면(路面) 침식량(浸蝕量)은 운재로(運材路) 개설(開設) 당해연도(當該年度)와 그 다음 해에 각각 운재로(運材路) 총침식량(總浸蝕量)의 32.7%, 57.1%, 절토사면(切土斜面) 침식량(浸蝕量)은 각각 총침식량(總浸蝕量)의 30.4%, 21.0%, 성토사면(盛土斜面) 침식량(浸蝕量)은 각각 총침식량(總浸蝕量)의 36.9%, 21.9%이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해 볼 때 산림벌채(山林伐採)를 위하여 개설(開設)된 운재로(運材路)에서 침식(浸蝕)을 저감(低減)하기 위해서는 운재로(運材路) 개설시(開設時) 환경보전적(環境保全的)으로 적절한 노선(路線) 설계(設計)가 이루어져야 하며, 절 성토사면(切 盛土斜面)에는 조기(早期) 식생피복(植生被覆)을 위한 안정(安定) 녹화(綠化) 방안(方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자연표토 복원공법에 의한 암절취비탈면의 생태적 복원에 관한 연구 : 원주사례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Rock-exposed-cut-slope by Natural Topsoil Restoration Methods : In Case of Won-Ju Experiment)

  • 남상준;석원진;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54-63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ecological restorat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revegetation technology for the rock-exposed cut-slopes by the Natural Topsoil Restoration Methods (NTRM) with the following restoration objectives; (1) prevention or reduction of wind and water erosion, (2) provision of food and cover for variety of animal species, (3) improvement of the visual or aesthetic quality of the disturbed slopes. On Nov. in 1995, the 5cm thick layer of artificial soil and 2cm thick layer of straw-mulching was attached at rock-exposed cut-slopes by NTRM without using anchor wire and anchor pin. The main results during four years surveying on the ground-coverage effect, plant growth, species diversity and importance valu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rtificial soil attached at rock exposed cut-slopes was not eroded until recovered by tree and herbaceous vegetation in spite of not using anchor wire and anchor pin. Also it shows low soil hardiness and has almost the same amount of bacteria and fungi with in surrounding natural topsoil. 2. In 'combination for the woody vegetation', Lespedeza cyrtobotrya, Albizzia julibrissin, Rhus chinensis, Indigofera pseudo-tinctoria occupied upper layer vegetation. Since three years after seeding, Indigofera pseudo-tinctoria had overwhelmed the other woody plants and cool season foreign grasses, Erigeron canadensis, Taraxacum mongolicum, Commelina communis, Arundinella hirta (Thunberg) and Oenothera erythrosepala grows at lower part of the vegetation, 3. The heights of the Rhus chinensis grows 1.8m, Indigofera pseudo-tinctoria 2.0m, so it seems that the objectives of woody vegetation with native plants could be accomplished. 4. After 4 years later after seeding in 'combination for the herbaceous vegetation', the most dominant plant was Indigofera pseudo-tinctoria, the next was in order of cool-season grasses, Taraxacum mongolicum, Erigeron canadensis, lxeris dentata (Thunberg), Oenothera erythrosepala, Arundinella hirta (Thunberg). The diversity index in 'combination for woody vegetation' was higher than that in 'combination for the herbaceous vegetation'. The tendency of the intrusion of secondary succession plants was more effective in 'combination for the herbaceous vegetation' than in 'combination for the woody vege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