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IgG antibody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2초

The Reactivity of Antiserum Raised against Nativ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with Denature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in Competitive ELISA

  • Kim, Moon-Hee
    • BMB Reports
    • /
    • 제31권5호
    • /
    • pp.519-523
    • /
    • 1998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at anti-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 serum raised against native G6PD (nG6PD) enzyme recognized nG6PD antigen poorly in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m, 1997).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anti-G6PD serum raised against nG6PD can react with denatured G6PD effectively in competitive ELISA. We used partially active G6PD (paG6PD) by repeated freeze-thawing or SDS-denatured G6PD (SDS-G6PD) as both immobilized and soluble antigens, and anti-G6PD serum raised against nG6PD for competitive ELISA. The polystyrene cuvettes coated with either paG6PD or SDS-G6PD were challenged with a mixture of a limiting amount of anti-G6PD serum and various doses of paG6PD or SDS-G6PD as competitors, followed by incubation with alkaline phosphatase-anti-IgG conjugate. The competitive ELISA with paG6PD or SDS-G6PD antigen exhibited the sigmoidal dose-response curve characteristic of competition immunoassays. Furthermore, Triton-denatured G6PD (Triton-G6PD) was used in competitive ELISA. The paG6PD, SDS-G6PD, or Triton-G6PD used as competitors increased the inhibition of antibody binding to immobilized either of nG6PD or denatured G6PD compared with nG6PD competitor. The inhibition by denatured G6PD competitors was more pronounced at high competitor concentrations than at low counterparts. We conclude that anti-G6PD serum raised against nG6PD can effectively react with denatured G6PD in competitive ELISA and that our anti-G6PD serum recognizes denatured enzymes better than active enzymes.

  • PDF

이종 조직판막 도관 혹은 판막 이식술 직후 면역 글로불린 항체 G, M의 혈중 농도 변화 (Serum Lmmunoglobulin G and M Level after Xenograft Valve or Valved Conduit Implantation)

  • 곽재건;유재석;윤선희;김웅한;김경환;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23-228
    • /
    • 2008
  • 배경: 동물조직의 생체조직이식시 이종항원 물질인 알파-갈(${\alpha}$-Galactose) 항원결정인자에 대한 환자의 면역반응에 많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이종 판막 이식 후 체내에서 ${\alpha}$-Galactose에 대하여 면역반응이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면역글로불린 G, M (IgG, IgM)의 변화를 일반적인 혈액 검사에 의한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면역반응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7년 1월까지, 개심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이종 판막 이식 환자 (실험군, 10명), 이종 장기가 이식되지 않은 환자(대조군, 9명))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10.3{\pm}9.1$세, 체중은 $31.4{\pm}20.3kg$이었다. 환자들에게서 수술 전, 수술 후 2일째, 수술 후 10일째에 일반적인 혈액 채취를 통하여 IgM, G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수술 이전에 이종 장기가 이식되어있던 환자들과 그렇지 않았던 환자들을 비교하여 면역 글로불린의 수술 전 기저치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이전의 상태가 수술 후 면역 글로불린의 혈중 농도 변화에 영향을 주었는지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얻어진 혈중 농도로 두 군 간에 수술 후 면역 글로불린의 혈중 농도 변화와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술전 이종 장기가 이식되어 있던 환자들과 그렇지 않은 환자들 사이에 면역글로불린의 혈중 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IgG; p-value=1.00, IgM; p-value=0.898). IgG, M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각 군 내에서 수술 전에 비하여 수술 후 2일째 혈중 농도가 감소하였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는 일정한 변화의 경향을 보였고, 그 변화 정도가 시간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달라졌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는 그 변화의 정도, 경향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IgG; p-value=0.393, IgM; p-value=0.193). 결론: 이종조직 판막이식 후 혈액 채취를 통해 얻은 혈중 농도 변화는 이종조직판막 이식을 하지 않는 수술을 받은 환자와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면역 글로불린의 혈중 농도 변화 정도가 술 후 양 군 간에 차이가 없다기보다는, 일상적인 혈액 채취를 통한 면역 글로불린의 혈중 농도 측정으로는 면역 반응에 의한 면역 글로불린의 변화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종조직판막이식 후의 이종동물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의 체내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alpha}$-Galactose에 대한 항체의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echet씨 병에 발생한 폐동맥류: 치험 1례 (Pulmonary Artery Aneurysm in Behcet`s Disease - Report of a Case -)

  • 김선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4호
    • /
    • pp.412-417
    • /
    • 1992
  • Pulmonary artery aneurysm is Behcet`s disease is rare and can be fatal due to rupture. We experienced a case of pulmonary artery aneurysm in Behcet`s disease. The patient was 21 year old woman who was adimitted with three month history of dyspnea, fever and cough. On examination, she had aphthous ulcer in the mouth and erythema nodosum on the left popletial fossa and forearm, but didn`t have any lesion at eyes and genitalia. The latex fixation test for rheumatoid factor, VDRL test for syphillis, antinuclear antibody and LE cell test were all negatives. The third and fourth components of complement in the serum, serum immunoglobulin concentrations[IgG, IgM, IgA] were within normal range. The chest radiography revealed a 5x6cm sized radiopaque mass density in the left hilar region. Two months later, the mass was enlarged to 6x7cm. The IV-DSA showed a single aneurysm at the proximal part of left lower lobe artery with lingular segment artery and no distal perfusion by thombotic obstruction. The steroid therapy was done for a month, but symptoms not improved. We performed resection of lingular segment and lower lobe including the aneurysm. The microscopic findings of the operative specimen were intimal hyperplasia and fragmentation of the internal elastic fibers. She was improved without remarkable event, except infection of the operative wound.

  • PDF

소아 신증후군에서 IgG 아군 및 바이러스 항체 값 (The Levels of IgG Subclasses and Vaccine-induced Viral Antibodies in Childhood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 송용훈;이경일;김동언;고대균;이병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2호
    • /
    • pp.143-148
    • /
    • 2005
  • 목 적 : 소아 신증후군에서 알부민을 비롯한 단백들과 IgG 치의 감소가 관찰된다. 신증후군에서 관찰되는 IgG 감소에서 IgG 아군간에 차이가 있는 지와 B형 간염 및 홍역 항체의 양성률이 대조군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방 법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소아과에 신증후군으로 입원하였던 21명과 같은 연령대의 건강한 환아 25명을 대상으로, 혈청에서 IgG, IgM, IgA, IgE 및 IgG subclasses(IgG1, IgG2, IgG3 및 IgG4), B형 간염 표면 항체(anti-hepatitis B suface IgG, anti-HBs IgG) 및 항홍역 IgG 항체(anti-measles IgG)를 측정하였다. 결 과 : 신증후군 환아들의 평균 연령 $6.9{\pm}3.0$세로, 면역글로불린 평균값은 IgG $390{\pm}187\;mg/dL$, IgG1 $287{\pm}120\;mg/dL$를 보였다. 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7.5{\pm}3.4$세로, IgG $1,025{\pm}284\;mg/dL$, IgG1 $785{\pm}19\;mg/dL$이었다. IgE 값에서 250 IU/mL 이상을 보인 경우는 신증후군에서 11명(52.4$\%$), 대조군에서 7명(28$\%$)이 있었다(.P=0.01). 신증후군 환아에서 IgG 및 IgG 아군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01), IgM 값은 증가($251{\pm}183\;mg/dL\;vs.\;153{\pm}55\;mg/dL$, P=0.02)를 보였으나 IgA 값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Anti-HBs의 양성률은 신증후군 환아군에서 42.9$\%$(21명 중 9명), 대조군에서 52$\%$ (13/25명)를, 항홍역 항체 양성률은 각각 76$\%$ (16/21명)와 92$\%$ (23/25명)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소아 신증후군 환아에서 IgG 및 모든 IgG 아군의 감소를 보였다. 예방접종에 의한 B형 간염 및 홍역 항체 양성률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IgG 감소의 기전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bacteria and degenerative aortic stenosis: a pilot study

  • Kataoka, Akihisa;Katagiri, Sayaka;Kawashima, Hideyuki;Nagura, Fukuko;Nara, Yugo;Hioki, Hirofumi;Nakashima, Makoto;Sasaki, Naoki;Hatasa, Masahiro;Maekawa, Shogo;Ohsugi, Yujin;Shiba, Takahiko;Watanabe, Yusuke;Shimokawa, Tomoki;Iwata, Takanori;Kozuma, Ke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4호
    • /
    • pp.226-238
    • /
    • 2021
  • Purpose: Although several reports have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formation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the progression of degenerative aortic stenosis (AS) is lacking. Therefore,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ingle-center, pilot study to provide insight into this potential association. Methods: Data from 45 consecutive patients (19 men; median age, 83 years) with mild or moderate degenerative aortic stenosis were analyzed for a mean observation period of 3.3±1.9 years. The total amount of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titers of serum immunoglobulin G (IgG) against periodontal bacteria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were evaluated. Aortic valve area (AVA), maximal velocity (Vmax), mean pressure gradient (mean PG), and the Doppler velocity index (DVI) were evaluated. The change in each parameter per year ([ParameterLATEST-ParameterBASELINE]/Follow-up Years) was calculated from the retrospective follow-up echocardiographic data (baseline vs. the most recently collected data [latest]). Results: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eriodontopathic bacteria in the saliva and AS status/progression. The anti-P. gingivalis antibody titer in the seru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VA and DVI. Additionall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nti-P. gingivalis IgG antibody titer and mean PG. The hs-CRP concentr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Vmax and mean PG. Meanwhile,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anti-P. gingivalis IgG antibody titer and ΔAVA/year and Δmean PG/year. The hs-CRP concentr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Vmax and mean PG,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rapid aortic stenosis progression (ΔAVA/year <-0.1) than in their counterpart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periodontopathic bacteria such as A. actinomycetemcomitans and P. gingivali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status/progression of degenerative AS. However, inflammation and a lower immune response may be associated with disease progression.

BALB/c 마우스에서 큰리슈만편모충의 감염부위에 따른 궤양형성과 혈청 면역반응 (Skin ulcer and immunoblot patterns by inoculation sites in BALB/c mice infected with Leishmania major)

  • 이미정;이종국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1호
    • /
    • pp.31-38
    • /
    • 1997
  • BALB/c 마우스에서 감염부위와 감염기간에 따른 숙주 체액 면역반응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배양한 큰리슈만편모충의 전편모형(promastigote)을 BALB/c 마우스의 코. 등 발바닥 부위로 나누어 각각 $3{\;}{\times}{\;}10^6$마리씩 피하 감염 후 10-100일 동안에 궤양의 형성과정을 관찰하고 채혈하여 SDS-PAGE와 면역이적법을 시행하여 각 부위별로 나타나는 항체 반응을 관찰하였다. 외관상으로는 감염 15일부터 코에 감염시킨 마우스에서 먼저 궤양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코에 궤양이 나타난 후 2-3일 뒤에 발에서 궤양이 형성되었으며 등에서는 감염시킨 후 90일이 되어서야 궤양이 관찰되었다. 감염후 20일에 실시한 면역이적법에 의하면 코 감염군에서는 202, 139, 98, 83, 81, 67, 65, 62, 59, 54, 52, 42, 26, 23 kDa의 항원성 분획이 관찰되었고 발 감염군에서의 항원 분획양상도 코 감염군과 같았으나 등감염군에서는 202, 83, 81, 65 kDa의 희미한 항원성 분획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감염 후 90일이 경과한 등 감염군에서는 202, 83, 81, 74, 67, 65, 62, 59, 54, 52, 20, 17 kDa의 항원 분획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감염부위와 감염기간에 따라 큰리슈만편모충에 대한 혈청반응이 항원 분획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이 차이는 세 감염부위의 온도차에 의한 결과일 가능성도 있으나 다른 부위에 감염될 경우 한 숙주 내에서도 다른 면역반응이 유발되어 나타날 수도 있다고 추측하였다. 특히 궤양 형성 시기와 혈청 내 67-52 kDa 분획에 대한 항체 출현 시기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궤양 형성에 이 항체가 관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쯔쯔가무시 뇌막염과 연관된 이크론성 감마글로불린병증 (Transient Biclonal Gammopathy Associated With Tsutsugamushi Meningitis)

  • 박현영;김수성;이학승;장혁;조광호;김요식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1권2호
    • /
    • pp.71-73
    • /
    • 2009
  • Biclonal gammopathy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two different monoclonal immunoglobulins, and the clinical findings of biclonal gammopathy are similar to those of monoclonal gammopathy. An association between biclonal gammopathy and tsutsugamushi meningitis has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Here, we report a case of a 55-year-old man presented with fever and decreased mentality. A cerebrospinal fluid (CSF) test and an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st for Orientia tsutsugamushi revealed tsutsugamushi meningitis. CSF and serum immunofixation electrophoresis revealed biclonal gammopathy (IgG-${\kappa}$, IgG-${\lambda}$). His symptoms improved after antibiotics treatment, and serum biclonal gammopathy completely disappeared.

  • PDF

폐흡충 감염 마우스에 있어 Anti-lgE 단일크론 항체 처치시 혈청내 총 IgE, 비장 B 세포표면의 $Fc{\varepsilon}RII/CD23$ 발현 및 충체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i-IgE mAb on serum IgE, $Fc{\varepsilon}RII/CD23$ expression on splenic B cells and worm burden in mice infected with Paragonimus westermani)

  • 신명헌;민홍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1호
    • /
    • pp.47-54
    • /
    • 1997
  • 윤충 감염시 증가되는 기생충 특이 IgE 항체는 항기생충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총 IgE 항체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비특이성 IgE 항체의 역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실험에서는 폐흡충 감염 마우스에 anti-lgE 단일크론 항체를 처치한 후 혈청내 IfgE. 비장 B 세포 의 $Fc{\varepsilon}RII/CD23$의 발현 및 충체수를 관찰하여 비특이성 IgE가 숙주의 방어면역에 미치는 역할을 알아보았다. Anti-lgE를 처치한 폐흡충 감염 마우스의 혈청내 총 IgE 항체의 양은 실험 기간 동안 억제되어(($<{\;}1{\;}{\mu\textrm{g}/ml}$) PBS로 처치한 감염군에 비해 유의한 수준(P < 0.05)으로 감소되었다 또 한 Anti-IgE를 처치한 폐흡충 감염 마우스에서의 $Fc{\varepsilon}RII/CD23$ 양성인 비장 B 세포수 및 그 발현도 PBS로 처치한 감염군에 비해 실험 기간 동안 유의한 수준(P < 0.05)으로 감소되었다. 충체 회수율에 있어서도 anti-lgE를 처치한 감염 마우스는 6주에 44%로 PBS로 처치한 감염군(75%)에 비해 유의한 수준(P < 0.05)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폐흡충 감염 마우스에서 높게 증가되는 비특이성 IgE는 숙주의 방어면역을 방해하여 오히려 충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면역이적법을 이용한 아질아메바와 동형아메바의 감별진단 (Differentiation of Entomoeba histolyticn and Entcmoeba dispor in cyst-passers by immunoblot)

  • 이미정;홍성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4호
    • /
    • pp.247-254
    • /
    • 1996
  • 임상증상 없이 검변을 통하여 검출된 이질아메바 포낭양성자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오랫동안 논란이 있었으나 이중에서 병원성이 강한 이질아메바(E. histolytica)만 치료하고 병원성이 없는 동형아메바(E. dispar)는 치료하지 않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져 있다. 따라서 이 두 종을 감별하는 것이 실제적으로 중요하게 되었고 이를 위하여 동위효소 분석 유전자 분석. 혈청학적인 검사가 가능하다. 그러나 앞의 두 분석법은 원충을 배양하여야 가능하기 때문에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혈청학적인 감별이 실제적으로 유용하다. 이 연구는 우리 나라에서 무균배양에 성공한 이질 아메바 YS-27의 항원성을 확인된 아메바 감염자 혈청과 면역이적법으로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증상 포낭배출자에서 두 종의 감염을 감별하고자 하였다. 시스테인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E64를 첨가한 이질아메바의 항원은 117. 110. 99. 68. 66. 60. 54. 52 46. 45 kDa 분획이 이질아메바 감염이 확인된 사람의 혈청내 IgG 항체와 반응하였고 동형아메바 대장아메바 Beastnystis 및 대조군의 혈청과는 117 kDa 분획이 미약하게 반응하였다. 포낭양성자의 혈청내 IgA 항체와 많은 분획이 반응하였으나 두 종 양성자간에 차이가 없었고 혈청내 IgM과 IgE 항체와 반응하는 분획이 없었다. 동형아메바의 항원은 두 종 양성자 혈청내 모든 군의 항체와의 반응에서 두종을 감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질아메바의 항원과 혈청내 IgG 항체 반응이 두 아메바 감염 을 감별할 수 있었다. 증상이 없는 포낭배출자 24명의 혈청을 면역이적 반응시킨 결과 2명에서 46 과 45 kDa 분획을 제외한 다른 모든 분획과 반응하여 이질아메바 감염자로 확인하였고 22명은 동 형아메바 양성자로 확인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하면 우리 냐라에서 검출되는 단순 포낭배출자 의 90% 이상은 이질아메바가 아니라 동형아메바 감염자이고. 이에 따라서 포낭양성자 중 환자가 많지 않은 사실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질아베바 조항원을 이용한 면역이적법은 증상이 없는 아메바 포낭배출자 중 치료를 꼭 필요로 하는 사람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폐포자충증에 대한 이종항혈청 내 1gG 항체의 예방 및 치료효과 (The effect of heterogeneous hyperimmune IgG antibody on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Pneumocystis carinii infection in rats)

  • 이미정;조상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2호
    • /
    • pp.127-132
    • /
    • 1998
  • 폐포자충증에 대한 이종항혈청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검증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횐쥐 (위스타)를 15마리씩 나누어 9개 실험군을 설정하고, 스테로이드 주사로 면역억제시켜 폐포자충의 감염을 유발하였다. 흰쥐 유래의 폐포자충 조항원을 토끼에 투여하여 얻은 면역혈청 중에서 IgG 항체만을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실헙군에 따라 면역억제 시작 2주전부터 억제 후 6주후 사이에 면역항체 주입을 시작하였고, 주 2회씩 7곤주 동안 주입하였다 대부분의 실험군에서는 면역항체를 일회에 0.4 ml (단백질량 0.976 mg)씩 주입하였고, 용량에 따른 예방 및 치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0.2 ml (단백질량 0.488 mg)와 0.6 ml (단백질량 1.464 mg) 주입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별로 실험기간인 7틱주간 살아남고 폐에 세균감염이 없는 흰쥐 2-12마리에서 결과를 얻었다. 폐도말검사 결과 모든 개체에서 폐포자충이 확인되었고, 실험군에 따라 포낭형 수의 평균이 최저 13.5 (3군)에서 최고 52.5 (1군) 사이에 있었다. 통계학적인 검증 결과 기준이 되는 1군에 비하여 유의한 병원체의 감소가 확인된 실험군은 0.4 nU의 항체를 주 2회씩 7주간 주입한 3군, 5주간 주입한 4군, 3주간 주입한 5군과, 0.2 U를 7주간 주입한 8군이었다. 면역항체를 0.4 ml씩 9주간 주입한 2군과 항체를 0.6 ml씩 7주간 주입한 9군은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 항체는 폐포자충의 표면에 있는 주항원 당단백질인 MSG (m3iorsurfaceycoprotein) 중에서 40-55, 92, 116, 200 kDa 분획과 주로 반응하였다. 이들 항원 분획이 숙주의 방어기전과 관련된 항체를 유발하는 항훤이며, 이 항원자극에 의하여 형성된 이종항체가 흰쥐의 폐포자충 감 염초기에 수동면역의 효과가 있어 예방이나 치료에 활용될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